
출처 : 뉴스1
27일 제주도에서 안구 파열 사고를 당한 70대 남성이 전국 병원 10여 곳에서 ‘의사가 없다’라며 수술 불가 통보를 받았다가 어렵사리 인천에서 수술을 받고 실명 위기를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인천 나은병원은 지난 25일 오전 제주도 한 사찰에서 70대 A 씨가 톱으로 나무를 정리하는 봉사활동을 하던 중 길이 3∼4㎝ 나뭇조각에 눈을 맞았다고 밝히며 해당 사실을 전했다.
특히 A 씨는 사고 이후 119 구급대를 통해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각막 열상을 동반한 안구파열을 진단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A 씨의 안구는 조직 파열 및 구조 손상으로 인해 실명 위험이 높아 몇 시간 내에 수술하지 않으면 실명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상황에 부닥쳤다.
실제로 병원 측은 A 씨를 실명 위험이 큰 중증외상 환자로 분류한 뒤, “하루 안에 수술을 받지 않을 때 시력 보존이 어려울 수 있다”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출처 : 뉴스1
이후 A 씨와 그의 보호자는 제주뿐만 아니라 부산, 경남, 대구,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영남권 주요 응급의료기관 10여 곳에 문의해 수술 가능한 병원을 찾았으나, 모두 “수술할 의사가 없어 응급 수술이 불가하다”라고 답해 실명의 위험성이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인천 나은병원이 환자의 시급한 사정을 고려해 응급 수술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A 씨는 긴급 항공편을 이용해 인천에 온 직후 응급 수술을 받고 실명 위기를 넘길 수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A 씨는 수술 이후 “여러 병원에서 수술이 어렵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이대로 한쪽 눈이 실명되는 게 아닌가 싶었다”라며 “실명을 피할 수 있게 해준 의료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강릉에서 250㎞ 떨어진 병원으로 이송되던 70대가 심정지 끝에 결국 숨지는 등 환자 이송을 거부하는 일명 ‘응급실 뺑뺑이’가 지속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는 지난해부터 계속되는 의정 갈등의 영향으로 전문의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병원 측이 응급실 이송을 거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댓글1
나은병원 의료진님께 감사드립니다 아직은 살만한 세상인것 같습니다 언제나 수고 많으신 의료진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