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조종사 1명 사망” 경북 산불 진화하던 헬기 추락했다

이시현 기자 조회수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26일 닷새째 산불이 이어지는 경북 의성군에서 산불을 진화하던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 당국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51분께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493번지에서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임차한 중형 헬기(기종: S76) 1대가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당국은 “노란색 헬기 한 대가 떨어졌다는 목격자 신고가 있었다”라며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현재까지 헬기에 탑승하고 있던 사람은 기장 1명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사고 즉시 전국에서 투입된 산불 진화 헬기에 대해서 안전을 위해 운항 중지토록 조처했다”라고 밝혔다.

특히 추락 헬기는 1995년 7월 생산돼 30년 가깝게 운항해 온 노후 기종으로 확인됐다. 업계에서는 산불 진화의 핵심 장비인 진화 헬기 3분의 2 이상 가량이 20년이 넘은 노후 기종이라는 점에서 안전 관리 문제에 대한 당국의 열약한 대처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실제로 산불 현장에 주로 투입되는 러시아산 중형 헬기(KA-32) 카모프는 한 번에 물 3,000리터를 담을 수 있어 핵심 장비로 꼽히지만, 산림청이 보유한 29대 중 8대가 운행을 멈춘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필요한 부품을 교체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운항을 멈춘 헬기가 내년엔 14대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자 산림청은 부랴부랴 헬기를 빌리는 방안까지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카모프 헬기 24대를 비롯해 전체의 66%에 달하는 33대가 도입 20년이 지나 노후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지상 작전의 핵심인 산불 진화 차량 역시 140여 대 중 30여 대가 사용 가능 기한인 10년을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상황을 인식한 듯 당국은 올해 127억 원의 예산을 장비 현대화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다만, 축적된 노후 장비의 수가 많아 개선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1

300

댓글1

  • 이참에 국민들 스트레만 주는 국개의원들 세비 80%이상 삭감하면 되겠네

[사건사고] 랭킹 뉴스

  • 자동차로 10시간 동안 아파트 출입구 막은 남성, 결국 이렇게 됐다
  • “68억 없어졌다는데…훔친 건 40억?” 남은 28억은 어디 갔을까
  • "철창에 갇힌 채로..." 광양 갯벌에서 익사 당한 고양이 사체 발견됐다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이 생각보다 심각해 보이는 이유
  • “설악산에서 사람 죽였습니다” 자수한 50대, 자세한 내용 살펴보니...
  • "주둥이 XX고 처먹어" 요양보호사가 치매 노모에게 했다는 행동

추천 뉴스

  • 1
    "연봉보다 쏠쏠" 보험사기 제보한 4000명, 포상금만 15억 받았다

    오피니언 

  • 2
    "주둥이 XX고 처먹어" 요양보호사가 치매 노모에게 했다는 행동

    사건사고 

  • 3
    "300만 원 준다고" 전 직원에 자사주 10주 지급하겠다는 기업, 어디일까?

    기획특집 

  • 4
    “이재용도 실패했는데...” 중대한 결정 내렸다는 롯데 신동빈

    기획특집 

  • 5
    “부동산 때문이라더니" 싱크홀 논란 터진 서울시장 오세훈, 결국...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아들 앞에서.." 쇠 파이프로 아내 폭행해 살해한 변호사, 형량 이렇게 나왔다

    사건사고 

  • 2
    “여기, 강남보다 뜬다" 억대 상승 이어지는 목동, 알고 보니

    기획특집 

  • 3
    13년 만에 8,000억 원 손실 났다는 4대 은행, 원인 밝혀졌다

    기획특집 

  • 4
    "이랜드가 인수하려고..." 이제는 하나의 기업이 됐다는 야구단

    기획특집 

  • 5
    "너무 많이 보인다 했어" 36년만에 점포 줄인 업계, 어디일까

    오피니언 

공유하기

2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