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벌써 몇 번째야?” 사전청약 아파트 사업 취소 ‘날벼락’, 이유 뭐냐면

윤미진 기자 조회수  

민간사업자 사전청약 사업 취소 발생
사전청약 아파트 사업 취소 잇달아
공사비 인상 영향 미쳐

출처: 뉴스 1
출처: 뉴스 1

최근 민간사업자가 사전청약을 받은 후 사업 취소를 진행하는 사례가 여러 차례 발생하며 많은 이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 10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자료에 따르면 최근 사전청약 이후 사업을 취소한 단지가 새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사업 취소를 포함하여 총 8곳의 민간사업자가 사전청약을 받은 이후 사업 취소를 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사업 취소는 강원도 원주시 원주 태장 A2 블록 주택건설사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지난해 말 사업이 취소된 것에 따른 결과이다.

출처 : 원주시
출처 : 원주시

앞서 이에스종합건설은 원주 태장 A2블록에 전 가구 전용 84㎡ 단일 타입 ‘이에스아뜨리움’ 아파트를 착공하기로 되어있었다. 이들은 당시 아파트에 411가구의 규모를 조성할 것이라고 밝히며 지난 2022년 10월 250가구에 사전 청약을 받았다. 신청 가구는 13가구에 그치는 수치를 보였으며, 추정 분양가는 3억 7,189만∼3억 7,407만 원으로 전해진다. 이에스종합건설은 분양 신청이 낮은 것을 보고 지난해 1월 원주 태장 A2 블록에 임대아파트를 착공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가 결국 사업 취소했다.

이번 사업 취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당첨자들이 전원 이탈해 당첨자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발생했던 원주 태장 A2 블록과 같은 비수도권 사업 취소 단지 밀양 부북지구 S-1블록 또한 사전청약 당첨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이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건설업계에서는 지방 분양시장 분위기를 대표하는 사례라고 말하기도 했다.

출처 : 인천 서구
출처 : 인천 서구

이보다 앞서 1월 기준 민간 사전청약 당첨이 취소된 곳은 화성 동탄2 C28BL, 파주운정3지구 3BL·4BL, 영종하늘도시 A41BL, 인천 가정2지구 B2BL , 영종국제도시 A16BL, 밀양북부지구 S-1BL 등 7개 단지가 존재했으며, 이에 따른 당첨 취소자는 713명으로 집계됐다.

인천 서구에 위치한 가정2지구 우미린 B2 블록은 본청약을 지난 2023년 3월에 끝마쳤다. 이에 오는 11월 입주가 예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 1월 사업을 취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은 공사비 인상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결과라고 전했다.

출처: 뉴스 1
출처: 뉴스 1

인천 중구 영종하늘도시 A41 블록 한신더휴, 제일풍경채 영종국제도시 A16블록 또한 지난해 같은 이유로 사업을 취소했다. 국토부는 사업성 악화 등으로 사전 청약을 한 이후에도 시행사들의 사업 포기가 이어지자 같은 땅에 후속 사업자가 아파트를 지어 분양할 경우 사전청약 피해자들에게 한해 특별공급보다 앞서는 우선 공급 기회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후 추진 과정에서도 당첨 취소자들과 수시로 소통하면서 주거 문제를 빨리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출처: 뉴스 1
출처: 뉴스 1

한편, 청약이 지연된 경우도 발생했다. 지난 2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오는 12월 입주가 예정되어 있던 남양주 왕숙2지구 A6블록 공공분양 본청약이 2027년 4월로 미뤄졌다. 이번 지연은 해당 부지에 비닐하우스, 공동묘지를 포함하여 지장물들이 많이 존재하며 기존 거주자들의 이주 과정 지연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이보다 앞서 남양주 왕숙2지구 A1, A3 지구 본청약도 지연된 바 있다.

지난해 12월 LH는 경기 안산 장상지구 A1, A9 블록의 공공분양 사전청약 당첨자들에게 5월이었던 본청약 시기를 2027년 10월로 연기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달 본청약이 예정되어 있던 안산 신길2지구 A1·3, A2·6, B1 블록도 청약이 미뤄졌다. 당초 2026년 10월이었던 청약이 2027년 9월로 미뤄지며 많은 이들의 불편을 초래했다.

이들과 비슷한 시기에 본청약이 예정된 시흥 거모지구 A5, A10, S1 블록 등도 2026년 7월에서 같은 해 12월로 지연되었다. 많은 이들이 의문을 제기하자 LH는 보상 지연과 이에 따른 후속 공정 지연, 문화재 조사, 연약 지반 처리, 송전탑 이설 등을 지연 사유로 밝혔다.

[사건사고] 랭킹 뉴스

  • 집값 통계 102회 조작했다는 문재인 정부, 내용 보니...
  • 교사 얼굴에 똥기저귀 비빈 엄마, 재판 결과 나왔다
  • "법정 내 촬영 허가" 앞으로 재판 받은 '피고인 윤석열' 모습 확인할 수 있다
  •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들이 요구한 배상금 액수
  • “일 안 할래요..." 실업급여로 1억 받아간 사람 있었다
  • 이불 빨래하던 80대 할머니 단숨에 2억 모은 비결, 뭐길래

추천 뉴스

  • 1
    “이재명·로제, 지금 ‘이 리스트’에 나란히 오른 이유”

    뉴스 

  • 2
    교사 얼굴에 똥기저귀 비빈 엄마, 재판 결과 나왔다

    사건사고 

  • 3
    국민의힘 대선 후보들에게 오세훈이 전달했다는 USB, 어떤 내용 담겼을까?

    뉴스 

  • 4
    "법정 내 촬영 허가" 앞으로 재판 받은 '피고인 윤석열' 모습 확인할 수 있다

    사건사고 

  • 5
    김문수 캠프 개소식에서 "제일 걸레 같은 후보..." 막말 논란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부동산 관망세인데..." 연일 최고가 경신 중인 지역, 어디일까?

    기획특집 

  • 2
    좌투수 상대로 더 잘 치는 이정후, 성적 비교해보니..

    뉴스 

  • 3
    "도망 못 가게 잡아" 기자 폭행 논란 휩싸인 국회의원 권성동

    뉴스 

  • 4
    20년 만에 드디어 재건축된다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어떻게 바뀔까?

    기획특집 

  • 5
    "세입자만 약자냐" 정부 가이드라인에 집주인들 분노한 이유

    기획특집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