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범준, 강남구 대치동 건물 매입
집값 최소 51억 원 상승해
‘벚꽃엔딩’ 수입으로 매입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성동구 등의 아파트값이 매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벚꽃엔딩’ 노래로 많은 인기를 얻은 가수 장범준이 매입한 건물의 가격이 최소 51억 원 이상 상승한 것으로 전해져 화제다.
6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에 따르면 2021년 6월 매매가를 기준점(100)으로 지난 3월 다섯째 주(3월 31일 기준) 서초구의 매매가격 지수는 115.96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2012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치다.
해당 수치는 2021~2022년의 최고점인 106.17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다. 서초구 외에 강남구(112.43), 송파구(112.10), 용산구(108.18), 성동구(108.78) 등도 나란히 역대 최고치를 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2021~2022년 최고점을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 105.73, 송파구 105.36, 용산구 105.80, 성동구 102.13 등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들은 올해 들어서도 여전히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3월 말까지 강남구는 3.43% 인상했으며, 서초구와 송파구도 각각 2.97%, 3.90% 상승했다. 이 외에 용산구(1.35%), 성동구(1.60%)도 서울 평균 상승률(1.02%)을 초과하는 수치를 보였다.
지난달 24일부터 강남·서초·용산구는 구 전체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지정됐으나 아파트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였다. 이러한 현상에 전문가들은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강남 집값이 연일 치솟는 가운데 강남구 대치동에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장범준이 많은 시세차익을 거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빌딩로드 부동산 중개법인에 따르면 장범준은 지난 2014년 4월 어머니와 공동명의로 대치동에 자리 잡은 한 다가구주택 건물을 20억 원에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범준이 매입한 건물은 대지면적 195㎡(59평), 전체 면적 383.5㎡(116평) 규모의 다가구주택이다.
해당 건물의 등기부등본상 채권 최고액은 9억 원으로 확인됐으며, 업계에 따르면 그가 매입했을 당시 실제 대출 원금은 약 7억 5,000만 원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장범준은 전체 매매 금액의 38%를 대출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장범준은 2012년 공개한 ‘벚꽃엔딩’으로 매년 봄마다 저작권료 수익을 거둬들이며 ‘벚꽃 연금’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업계에 따르면 장범준은 해당 수익을 통해 건물을 사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장범준 건물은 수인분당선 한티역에서 도보 5분 거리의 대치동 학원가 인근, 도곡로 이면에 자리 잡고 있어 좋은 입지를 자랑한다.

그는 건물을 사들인 후 지상 노출 가능한 반지하 주차장을 근린생활시설로 용도 변경했으며, 건물의 반지하 호실에서는 장범준의 어머니가 카페를 운영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이 건물의 현재 시세는 최소 71억 원으로 예상된다. 뉴스1의 보도에 따르면 김경현 빌딩로드 부동산 중개법인 과장은 “인근 거래 사례를 보면 3.3㎡당 1억 2,000만~1억 7,000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라며 “장범준 소유 건물은 대지 59평 기준, 평당 1억 2,000만 원만 적용해도 71억 원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이야기했다. 즉, 건물의 가격이 51억 원 오른 것이다.

한편,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등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되면서 아파트 거래 건수는 급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3월 24일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전날까지 서울시 전체 매매 신고 건수는 총 629건으로 확인됐다.
거래건 중 강남 3구와 용산구 등 4개 구의 거래 신고 건수는 총 9건에 머물렀으며, 강남구가 8건, 송파구가 1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초구와 용산구는 2주간 거래 신고 건수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