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 관세 적용
소비자가격 상승
경기 둔화 가속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 시각) 발표한 대중국 상호 관세 부과의 여파로 아이폰의 생산 원가가 300달러 이상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가 앞서 예고한 대로 9일부터 새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54%의 관세가 부과된다. 베트남과 태국, 대만의 경우에도 각각 46%, 36%, 32%씩 상호 관세가 적용된다.
그 때문에 아이폰 물량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는 애플과 스마트폰, TV 등 각종 가전의 일부 물량을 베트남·태국·중국에서 생산하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경우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특히 아이폰의 9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의 경우는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아이폰 가격을 6%가량 올릴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해당하는 사항으로 한국 소비자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현재 미국 기준 최소 1,199달러에 팔리고 있는 아이폰 16 프로맥스의 가격이 최대 350달러(약 51만 원) 인상될 수 있다는 예측도 존재한다. 로젠블래트 증권 분석가들은 아이폰16 프로 맥스 1TB(테라바이트) 기준 가격이 2,300달러(약 336만 원)로 치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제조 국가에 따라 인상률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중국에서 제조된 제품의 경우 가격이 30% 안팎 오를 것이고, 26%의 상호 관세가 적용되는 인도에서 제조된 제품의 가격 상승률은 그보다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미국소매연맹은 상호 관세 탓에 소비자가격 상승이 초래되고 소비자 신뢰가 떨어질 경우 소비경기 둔화가 가속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싱크탱크의 한 무역 전문가는 “이 엄청난 관세는 필연적으로 미국 가정의 물가 상승, 성장·기업 투자 감소, 해외 보복에 직면한 국내 공장, 더 비싼 투입물(모든 수입품의 약 절반)로 인한 수출·제조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당분간 관세 전쟁은 계속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 시각) 오전 한때 금융시장 등에서 확산했던 ‘상호 관세 90일 유예설’을 부인했다. 그는 이날 백악관을 방문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자리에서 “협상을 위해 관세를 일시적으로 유예한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어떻게 된 거냐”라는 취재진의 물음에 유예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답변했다.
이후 가짜뉴스 소동이 일었던 ‘상호 관세 90일 일시 중단설’은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 경제 위원장의 언론 인터뷰 발언 내용이 소셜미디어를 타고 순식간에 와전돼 퍼지면서 벌어진 일로 파악됐다.

트럼프는 “우리와 협상하러 오는 여러 국가가 있다”라며 “우리를 이용했던 많은 국가가 이제 ‘제발 협상하자’고 말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무역의 판을 다시 짤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과 같은 수준인 34%의 보복관세를 10일부터 시행하겠다고 한 중국을 향해 “8일 12시까지 철폐하지 않으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라고 위협하기도 했다.
한편, 이 같은 상호 관세의 기준이 자의적으로 부과됐다는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은 무역수지를 산출할 때 상품과 서비스 수출입을 함께 고려하지만, 미국의 대표적인 흑자 무역인 ‘서비스 무역’에 대해서는 세율을 산정하지 않은 것이다. 실제 미국이 상호 관세 세율을 정할 때 서비스까지 포함한 전체 무역수지를 반영했다면 각국 관세율은 지금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