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반도체, 의약품도” 트럼프 상호 관세 폭탄에 폭락 중인 종목, 뭐일까?

박신영 기자 조회수  

트럼프 상호 관세 폭탄
뉴욕 증시, 5년만 최악 폭락
7개 대형주 시총 1,452조 원 증발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관세부과 발표하면서 뉴욕 증시 3개 지수가 폭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애플, 엔비디아 등 주요 7대 대형주 또한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뉴욕 증시에 따르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4만 545.93포인트(p)에 거래를 마감했으며, 이는 전장 대비 1,679.39포인트(3.98%) 하락한 수치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p(4.84%) 하락한 5,396.52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1,050.44p( 5.97%) 급락한 1만 6,550.61에 거래를 마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뉴욕 증시에서 다우 지수와 S&P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락이었으며, 미국 증시에선 3조 1,000억 달러 규모의 시가 총액이 증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낙폭을 두고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보복 관세를 일으켜 글로벌 무역 전쟁을 격화시키며 미국 경제에도 타격을 가할 것이란 우려가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로 인해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7개 대형주의 시가총액이 폭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상호 관세 부과 발표 다음 날인 뉴욕 증시에서 애플과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7개 대형주의 시가총액이 1조 달러, 한화로 1,452조 원 이상 폭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으로 꼽히는 시가총액 1위 애플의 주가는 203.19달러(29만 4,970원)에 거래를 마감했으며, 이는 전날 대비 9.25% 하락한 수치다.

이는 지난해 6월 10일(종가 기준 192.47달러)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금액으로, 이번 낙폭은 2020년 5월 이후 약 5년 만에 최대 규모이다. 애플의 시총 또한 3,110억 달러(450조 9,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의 대장주로 꼽히는 엔비디아 주가도 101.80달러에 거래되었으며, 이는 7.81% 떨어진 수치다. 이에 시총 또한 2,030억 달러 하락했다. 테슬라 주가는 5.47% 하락했으며, 시총은 400억 달러가 증발했다.

7대 대장주 중 하나인 아마존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 주가는 각각 8.98%, 8.96%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두 기업의 시총도 각각 1,940억 달러, 1,350억 달러씩 하락했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각각 3.92%, 2.36% 감소해 다른 대장주들 대비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대형주의 급락에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등 모든 국가에 ‘10%+α’의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 이외 지역에서 제품을 제조, 생산하는 이들 기업의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이들은 애플은 아이폰 등 주요 기기 대부분을 중국 등 아시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낙폭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4일 뉴시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현지 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취재진에게 “반도체도 조만간 (관세부과가) 시작될 것이다”라며 “의약품도 관세를 부과해 전에 볼 수 없던 수준으로 들어올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또한 그는 “지금 의약품 분야를 살펴보고 있는데 이것은 (기존 관세와) 별도의 분야다”라며 “가까운 미래에 발표할 예정이며 현재는 검토 중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와 일부 부품에 대해서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은 품목별 관세를 더 증대해 나갈 것이라고 전해왔다. 이에 반도체와 의약품, 목재 등에 대한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author-img
박신영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국제] 랭킹 뉴스

  • "싫어했던 유일한 종교인?" 트럼프와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숨겨진 전쟁
  • “월급 800만 원 포기한 교황”…떠나며 남긴 재산 보니
  • 마크 저커버그, 백악관 옆 ‘300억 저택’ 매입한 이유
  • "이틀 만에 384조 증발" 난리났다는 엔비디아, 현재 상황
  • 경기 중 이정후한테 헬멧 건드리지 말라고 했다는 MLB 심판
  • "이 타이밍에 테슬라를?" 관세 유예 하루 전, 트럼프 측 의원 ‘미리 알았나’

추천 뉴스

  • 1
    "정보 유출 드러났는데도” 해킹 사실 안 알려준다던 SKT, 결국...

    뉴스 

  • 2
    "즉시 복용 중단해라" 고려은단 비타민 회수 조치된 이유

    뉴스 

  • 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수수 혐의로 불구속기소

    뉴스 

  • 4
    “계엄 다시 일어나도...” 국회 기능 보호하기 위한 법안 만들어진다

    뉴스 

  • 5
    "가장 경쟁력 있다" 손학규가 말한 국민의힘 대선 후보, 누구일까?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양아치 잡을 사람은 나다" 또다시 폭탄 발언한 홍준표

    뉴스 

  • 2
    "부고 문자 눌렀다가 5,000만 원 날렸습니다“

    사건사고 

  • 3
    유시민이 말하는 '이재명 지지율 높은 이유'

    뉴스 

  • 4
    "친일파 문제는..."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 이재명 발언 내용

    뉴스 

  • 5
    “현대차 잡으러 왔습니다” 폭발 중인 주식 종목, 뭐냐면...

    뉴스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