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건물주보다 좋아… 20년 전 찍은 시트콤 한 편으로 매년 이만큼 벌죠”

박신영 기자 조회수  

프렌즈 큰 인기 끌어
한 에피소드 100만 달러
프렌즈 연 재방료만 293억

출처 : 프렌즈 인스타그램
출처 : 프렌즈 인스타그램

현재는 미국드라마(미드)가 OTT 등에 나와 다시 많은 인기를 얻기도 했다. 이러한 미드가 있기 전 미국에서는 패밀리 시트콤이 큰 인기를 보였다. 프렌즈는 지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NBC에서 방송된 시트콤으로 한때 미국의 전설로 불리기도 했다.

해당 방송은 방영하는 내내 2,000만 명이 넘는 평균 시청률(시청자 수)을 보였으며, 1990년대에 심슨 가족과 더불어 미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문화 콘텐츠로 꼽히고 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프렌즈는 2002년 에미상에서 코미디 시리즈 상을 수상했으며, 21세기 미국 TV쇼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기고 했다. 1990년대 방영한 미국 드라마 중에서 프레이저, 로우 앤 오더, 로우 앤 오더: SVU, X파일, 뉴욕 경찰 24시(NYPD Blue)와 함께 시즌 10개가 넘는 방송을 내보냈다.

쿠팡플레이에서 전 시즌 다시 보기가 가능해 많은 한국 팬들이 재방영하기도 했다. 프렌즈 리유니온(Friends Reunion) 특집은 wavve에서 독점 서비스를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2022년 6월 30일 영상이 내려가면서 현재는 시청할 수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시즌 10까지 이어졌던 프렌즈는 얼마나 막대한 수익을 올렸을까? 해당 방송은 업계에서 미국 시트콤 역사상 가장 이익을 많이 남긴 방송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이들의 수익은 각종 관련 판촉 상품부터 DVD 세트, 광고 등 수익 구조가 여러 종류로 다양했다.

출처 : 프렌즈
출처 : 프렌즈

프렌즈가 가장 많은 매출을 일으킨 곳은 바로 ‘신디케이션’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렌즈의 재방송을 내보내 많은 수익을 거둬갔다. 프렌즈에 출연한 제니퍼 애니스턴을 포함한 프렌즈의 주연배우 여섯 명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시트콤이 종료된 후 재방송에 대한 로열티 부분을 모두 동등하게 총매출의 2%를 받기로 계약을 진행했다.

2004년 방송이 송출될 당시에 주연 배우들은 한 에피소드를 촬영할 때마다 100만 달러(약 11억 2,000만 원)를 지급받았다. 이보다 많은 수익을 방송이 종료된 이후에 받은 것이다. 프렌즈 시트콤이 종료되고 12년이 흐른 지난 2016년 미국 NBC 방송국은 프렌즈 재방송이 해마다 무려 10억 달러 (약 1조 1,200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계약 내용에 따라 계산해 보면 각 주연배우 한 명당 2,000만 달러의 수익을 얻으며, 2019년 환율로 약 223억 5,000만 원씩 이익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촬영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이 정도의 이익을 거둬간다는 것이다. 프렌즈 출연 배우들은 지금도 이러한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을까? 2023년 10월 미국 시트콤 ‘프렌즈’로 사랑받은 할리우드 배우 매튜 페리가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충격을 안겨줬다.

한 달 뒤인 11월 유족은 그의 유산을 약물 중독 치료 재단에 기부한다고 밝혔다. 지난 11월 미국 연예매체 페이지 식스 등 각종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매튜 페리의 유족이 생전 고인이 직접 자신의 이름을 딴 약물 중독 치료 재단의 설립을 준비하고 있었던 뜻에 따라 재단을 출범하고 고인의 유산을 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지난 2023년 10월 매튜 페리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자택에서 향년 54세의 나이로 숨졌다. 그는 자신의 자택 자쿠지에서 익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장에서 마약 등의 정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타살 흔적은 없었다. 매튜 페리 유산이 얼마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1994년부터 2004년까지 방영됐던 ‘프렌즈’의 스트리밍 플랫폼 수익과 재방료 등은 매년 2,000만 달러이다. 이를 현재 환율로 계산한다면 얼마일까? 21일 기준 약 293억 6,600만 원에 달한다.

현재도 ‘프렌즈’는 미국 주요 OTT 서비스에서 상위권에 올라와 있으며, 100여 개의 지역 채널을 통해 일주일에 최대 140회 송출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출연자들은 앞으로도 해당 시트콤으로 막대한 이익을 거둬갈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 "사용 멈춰 주세요" 오픈AI CEO가 챗GPT 쓰지 말라고 한 이유
  • "두바이 아니야" 전 세계 부자들이 모이는 곳, 어디일까?
  • "미얀마에서 1,000km나 떨어졌는데" 방콕 건물이 무너진 진짜 이유

추천 뉴스

  • 1
    "교통비 아낄 수 있어" 입주민 전용 버스 구비한 아파트, 어디?

    기획특집 

  • 2
    "한국 음저협 탈퇴" 블랙핑크 ‘로제’가 사는 초호화 펜트하우스 수준

    오피니언 

  • 3
    삼성 30억·현대차 20억·LG 20억...100억 낸 중견기업, 어디일까?

    사건사고 

  • 4
    "미얀마에서 1,000km나 떨어졌는데" 방콕 건물이 무너진 진짜 이유

    국제 

  • 5
    정부가 공개적으로 '지출 구조조정' 하겠다 선언한 교육부 금액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고등학생이랑..." 김수현 기자회견 본 가세연의 반박 댓글 내용

    사건사고 

  • 2
    "다른 건 멀쩡한데.." 방콕 지진으로 중국이 짓고 있던 건물만 무너졌다

    국제 

  • 3
    경기 무기한 연기될 수도 있다는 NC 다이노스 창원 야구장 상황

    사건사고 

  • 4
    “인명 피해는...” 미안먀 강진에 외교부가 밝힌 한인 피해 상황

    국제 

  • 5
    "KT 계열사 아니냐구요?"…119년 역사의 공기업이었죠

    사건사고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