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반도체 패권 되찾나
이재용, 현장 경영 본격화
AI 논의, 소프트뱅크 회장도 함께
![출처: 뉴스1](https://cdn.mobilitytv.co.kr/mobilitytv/2025/02/06175238/i%C2%83%C2%98i%C2%98%C2%ACi%C2%8A%C2%B8e%C2%A8%C2%BC-scaled.jpg)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본격적인 현장 경영을 시작했다. 2심 무죄 판결 이후, 글로벌 AI 산업의 핵심 인물들과 연이은 회동과 반도체 현장 점검까지.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경쟁력을 회복하려는 그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지난 4일, 이재용 회장은 서울 서초 삼성전자 사옥에서 오픈AI 설립자 샘 올트먼, 그리고 한국계 일본인인 소프트뱅크 회장 손정의와 만났다. 이들의 만남은 단순한 인사 이상의 의미가 있다. 업계에서는 이를 ‘한·미·일 AI 동맹 구축’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AI 반도체 산업이 급변하는 가운데, 세 사람은 730조 원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뉴스1](https://cdn.mobilitytv.co.kr/mobilitytv/2025/02/06175307/AI-2-scaled.jpg)
이 프로젝트는 오픈AI, 소프트뱅크, 오라클이 주도하는 미국의 초거대 AI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를 투자해 대규모 데이터센터와 발전소를 세우는 것이 핵심이다. 만약 삼성전자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면,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가 더욱 확고해질 수 있다. AI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는 ARM(소프트뱅크 소유)과 생산 능력을 갖춘 삼성전자가 협력할 경우, 엔비디아와 TSMC가 주도하는 현 AI 반도체 시장의 판도가 뒤집힐 수도 있다.
이번 회동에서 손정의의 존재는 더욱 특별했다. 그는 AI 산업에 대한 투자와 ARM을 통한 반도체 설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손정의는 오픈AI의 잠재력을 일찍이 알아봤고, AI 반도체 사업에서도 강한 의지를 보인다. 손정의 회장은 약 200조 원 규모의 비전펀드를 운영하며 첨단 기술에 투자하는 글로벌 테크 업계의 큰손이다. 특히 소유하고 있는 영국 기업 ‘ARM’은 반도체 설계 분야 최고 기업이다.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AI 반도체를 설계하는 별도 조직도 갖고 있다
올트먼, 손정의와의 회동이 끝나자, 업계에서는 자연스럽게 다음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인물은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이다. 이 회장은 이르면 다음 달 미국 출장길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엔비디아는 3월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GTC 2025’를 개최하는데, 이 회장이 이곳에서 젠슨 황과 만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두 사람은 2년 전에도 AI 반도체 협업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AI 반도체와 GPU 시장의 최강자인 엔비디아와의 관계도 중요하다. 이번 만남이 성사된다면, 삼성전자의 AI 반도체 전략이 더욱 구체화할 것이다.
이재용 회장의 현장 경영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이 회장은 이달 중 충남 아산 삼성디스플레이 사업장과 온양 반도체 패키징 사업장을 방문할 예정이다. AI 반도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후공정 기술을 점검하고, 글로벌 고객사들의 요구에 맞춰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온양사업장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의 핵심 거점으로, 삼성전자는 이곳에서 2027년까지 HBM(고대역폭 메모리) 생산을 위한 첨단 패키징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AI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경쟁사인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비해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이번 현장 점검은 단순한 방문이 아니라, 삼성전자의 AI 반도체 전략을 다시 정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AI 산업이 급격하게 재편되고 있는 지금, 삼성전자는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강력한 경쟁자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AI 반도체에서 확실한 입지를 다져야 한다. 이재용 회장의 행보가 단순한 움직임이 아니라, AI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략적 선택임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