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뜻밖의 결과다” 한국이 2년 연속 일본 뛰어넘었다는 것

서윤지 기자 조회수  

한국의 1인당 GDP 전망
“2년 연속 일본 넘을 것”
27년 4만 달러 돌파 예측

“선진국 맞네” 한국, 2년 연속 일본 뛰어넘는다는 IMF 전망 나왔다
출처: 대통령실 제공

지난 2021년 7월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한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 그룹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한 이후 지난해(2023년)에 이어 올해도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일본을 여유 있게 뛰어넘을 것이란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이 나왔다. IMF에 따르면 올해 한국은 대만의 GDP도 넘어설 것으로 전해진다.

24일 한국은행, 금융 업계에 따르면 지난 22일 IMF가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는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를 3만 6,132달러로 추정했다. 이는 지난해 한국의 1인당 GDP인 3만 5,563달러보다 1.6% 소폭 증가한 금액이다.

“선진국 맞네” 한국, 2년 연속 일본 뛰어넘는다는 IMF 전망 나왔다
출처: 뉴스1

한국의 1인당 GDP는 지난 2021년 3만 7,518달러에서 2022년 3만 4,822달러로 감소하기도 했다. 이후 지난해 다시 증가로 전환하며 일본을 넘어섰다.

올해 일본의 1인당 GDP 추정치는 3만 2,859달러로 지난해 1인당 GDP 3만 3,899달러보다 3.1% 줄어들었다. 한국과의 격차가 더욱 커진 셈이다.

이어 IMF에 따르면 대만의 1인당 GDP는 지난해 3만 2,404달러에서 올해 2.6% 증가하면서 3만 3,234달러로 전망된다. 소폭 개선되는 모습이지만, 여전히 한국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특히 업계는 올해 대만이 일본을 역전한 점을 주목했다. 대만(3만 3,234달러)은 일본( 3만 2,859달러)보다 1인당 GDP가 약 300달러 더 높게 전망됐기 때문이다.

이어 IMF는 내년의 경우 한국과 일본, 대만 사이 1인당 GDP 격차가 올해보다 다소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2025년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 7,675달러로 예측되며 일본(3만 3,234달러)과 대만(3만 2,859달러)보다 각각 높게 책정됐다. 더하여 IMF는 오는 2027년 한국이 1인당 GDP 4만 달러 대를 넘어설 것으로 분석했다.

“선진국 맞네” 한국, 2년 연속 일본 뛰어넘는다는 IMF 전망 나왔다
출처: 뉴스1

IMF의 전망대로 오는 2027년 한국이 1인당 GDP 4만 달러 이상을 달성할 경우, 이는 한국 역사상 처음이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한 관계자는 “엔화 약세 영향으로 일본의 달러 기준 1인당 GDP가 상대적으로 낮게 집계됐을 것이다”라면서도 “일본의 저성장 흐름도 고려됐을 것이다”라고 분석했다.

앞서 IMF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올해 2.5%, 내년 2.2%로 전망하기도 했다. 같은 기간 일본은 0.3%와 1.1%, 대만은 3.7%와 2.7%로 예상했다.

“선진국 맞네” 한국, 2년 연속 일본 뛰어넘는다는 IMF 전망 나왔다
출처: 뉴스1

한편,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전 분기보다 0.1% 성장하는 데 그쳤다고 한다. 앞서 2분기에 기록한 역성장(-0.2%) 충격에서 벗어났지만, 오히려 전 분기보다 수출이 뒷걸음치면서 미미한 반등 폭을 기록했다.

이날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속보치)이 0.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다만 이는 앞서 8월 한국은행이 예상한 0.5%보다 0.4%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부문별에 따른 3분기 성장률은 수출이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4% 하락했다. 건설투자도 건물·토목 건설 부진에 따른 영향으로 2.8% 감소했다. 다만 민간 소비가 승용차·통신기기 등 재화와 의료·운수 등 서비스 부문에서 모두 증가하며 0.5% 성장했다. 정부 소비 역시 건강보험 급여비 등 사회보장 현물수혜의 영향으로 0.6% 증가했다.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3선 할 방법 있다” 농담 아니라는 트럼프의 '충격 시나리오’
  • "한국보다 매출 높아" 중국에서 난리 났다는 한국 과자 업체
  •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추천 뉴스

  • 1
    "이재명이 승리할 가능성은..."해외 매체가 분석한 윤석열 탄핵 확률

    뉴스 

  • 2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3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 4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 5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2
    "5월 2일 임시공휴일 확정?" 만우절 가짜뉴스 피해주의보

    뉴스 

  • 3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사건사고 

  • 4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에 외교부가 내린 결단

    뉴스 

  • 5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