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배우 몸값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에 대한 넷플릭스의 대답

문동수 기자 조회수  

넷플릭스 부산서 행사 진행
김태원 디렉터 인터뷰 화제
“규제 없지만 출연료 고민 중”

"배우 몸값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에 대한 넷플릭스의 대답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CEO/= 뉴스1

최근 국내 드라마 제작 과정에서 유명 배우들의 출연료가 상당히 높게 책정되어 있어 제작진이 골머리를 앓는 가운데 글로벌 OTT 서비스 플랫폼 넷플릭스가 이와 관련한 입장을 내놓았다.

지난 4일 부산 해운대 파크하얏트부산에서 열린 ‘넥스트 온 넷플릭스: 2025 한국 영화’ 행사에서 넷플릭스 콘텐츠팀 김태원 디렉터는 인기 배우들의 높은 몸값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이에 대해 그는 “저뿐만 아니라, 제작자를 비롯해 감독님들도 똑같이 느끼는 고민이다”라고 말했다.

"배우 몸값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에 대한 넷플릭스의 대답
출처: 넷플릭스 제공

이어 김태원 디렉터는 “가이드라인을 선정하지 않고 있지만, 작품에 맞게 (출연료를) 드리는 게 서로에게 좋은 방법이지 않을까”라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글로벌 OTT 서비스 플랫폼 넷플릭스 측 역시 유명 배우 출연료에 대한 고민을 한 모습이다.

그러면서 김태원 디렉터는 제작비 증가에 대한 우려를 보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그는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성공하고 있지만, 제작비가 늘어날 경우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배우 몸값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에 대한 넷플릭스의 대답
출처: 뉴스1

그러면서 김태원 디렉터는 넷플릭스 측의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그는 “적절한 예산에 적절한 출연료를 지급하는 것이, 배우와 작품에도 좋은 것이 아닐까 한다”라며 “특별한 규제는 없지만, 출연료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라고 밝혔다.

실제 최근 몇 년간 배우들의 몸값이 급격하게 상승했다. ‘오징어 게임’을 통해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배우 이정재는 회당 10억 원의 출연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화제 되기도 했다. 이어 아이유와 박보검은 회당 출연료로 5억 원, 박은빈은 3억 원을 받고 있다는 설이 나오기도 했다.

"배우 몸값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에 대한 넷플릭스의 대답
출처: 뉴스1

하지만 이에 대해 소속사 대다수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배우들의 출연료 인상으로 제작에 부담이 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유명 배우를 ‘타이틀 롤’로 기용할 경우 한 회당 10억 원 이상의 제작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특히 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플랫폼 유통망을 바탕으로 한국 드라마 시장이 폭발적 성장을 이뤄냈는데, 이 과정에서 출연료 폭등이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넷플릭스뿐만 아니라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올해 5월 공개된 16부작 드라마 ‘삼식이 삼촌’ 주연 배우인 송강호는 회당 4~5억 원대의 상당히 높은 출연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우 몸값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에 대한 넷플릭스의 대답
출처: 넷플릭스 제공

이에 대해 한 드라마 제작사 관계자는 “편성을 비롯해, 해외 등의 유통을 위해 OTT 플랫폼에서 선호하는 배우를 섭외해야 한다”라며 “문제는 그 정도의 배우가 많게 잡아도 15명 정도다. 이들을 잡기 위해 출연료 경쟁이 붙고, 계속해서 출연료가 올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업계는 제작비 가운데 출연료 비중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로 인한 악순환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업계 전반의 우려도 큰 상황이다. 배우 출연료가 오름에 따라 제작비가 동시에 상승하면, 결국 드라마 제작 편수가 줄어들어 기획 및 제작 단계부터 위축된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3선 할 방법 있다” 농담 아니라는 트럼프의 '충격 시나리오’
  • "한국보다 매출 높아" 중국에서 난리 났다는 한국 과자 업체
  •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추천 뉴스

  • 1
    "이재명이 승리할 가능성은..."해외 매체가 분석한 윤석열 탄핵 확률

    뉴스 

  • 2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3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 4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 5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2
    "5월 2일 임시공휴일 확정?" 만우절 가짜뉴스 피해주의보

    뉴스 

  • 3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사건사고 

  • 4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에 외교부가 내린 결단

    뉴스 

  • 5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