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한하율 기자 조회수  

흑백요리사 시청 1위 기록 
넷플릭스 회장, 해리스 지지
트럼프 지지자 집단 해지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variety

최근 넷플릭스의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이하 ‘흑백요리사’)이 한국을 비롯해 해외에서도 큰 사랑을 받으며 남다른 화제성을 이어가는 가운데 오히려 넷플릭스의 구독 취소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이목이 쏠렸다.

이는 넷플릭스 공동 창립자이자 수장인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이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공개 지지하고 거액을 기부한 데 따른 현상이다. 30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최근 미국의 넷플릭스 구독 해지율이 증가했다.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지난 7월 넷플릭스 구독 해지율은 2.8%로 올해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보였다. 이에 대해 업계는 최근 넷플릭스가 광고 없는 요금제 가운데 가장 저렴했던 베이식 요금제 서비스를 중단한 것이 주요한 원인이라면서도,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이 해리스 후보자 지지 선언 이후 5일간 해지율이 이례적으로 치솟은 점을 지적했다.

앞서 지난 7월 22일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카멀라 해리스 후보에게 축하를 보낸다”라며 “이제는 승리할 때다”라는 글을 게재하며 공개적으로 지지의 뜻을 표명했다.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뉴스1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이 글을 올리고 하루 뒤 IT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이 카멀라 해리스 슈퍼팩(특별 정치활동위원회)에 700만 달러(한화 약 92억 원)를 기부했다고 보도하면서 더욱 화제 됐다.

이후 공화당 대통령 후보이자 미국 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의 지지자들은 넷플릭스 이용 중단을 촉구하는 운동을 벌이는 등 대대적인 반발을 보였다. 실제 일부는 ‘#캔슬넷플릭스(#CancelNetflix)’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구독 해지를 인증하는 사진을 SNS에 게재하기도 했다.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뉴스1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리드 헤이스팅스의 카멀라 해리스 후보에 대한 정치 기부 관련 보도가 나오고 3일 뒤인 지난 7월 26일이 올해 들어 넷플릭스 취소 건수가 가장 많았던 날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블룸버그는 넷플릭스 최고 경영진인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의 정치적 입장이 회사 영업에 미친 영향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는 오는 10월 중순 예정된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올해 2분기 넷플릭스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 7월 18일(현지 시각) 넷플릭스는 2분기 매출이 95억 6,000만 달러(약 13조 2,500억 원)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규모다.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뉴스1

또한 2분기 기준 총가입자 수는 2억 7,765만 명으로, 스트리트어카운트 예상치인 2억 7,440만 명을 넘어서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한 수치다.

한편, 최근 넷플릭스 제작프로그램인 ‘흑백요리사’는 지난달(9월) 23∼29일 490만 시청 수를 기록했다. 이는 비영어권 TV 시리즈 시청 수(Views·시청 시간을 재생 시간으로 나눈 값)에 해당하는 것이며, 한 주 전에도 380만으로 1위였다.

author-img
한하율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국제] 랭킹 뉴스

  • "싫어했던 유일한 종교인?" 트럼프와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숨겨진 전쟁
  • “월급 800만 원 포기한 교황”…떠나며 남긴 재산 보니
  • 마크 저커버그, 백악관 옆 ‘300억 저택’ 매입한 이유
  • "이틀 만에 384조 증발" 난리났다는 엔비디아, 현재 상황
  • 경기 중 이정후한테 헬멧 건드리지 말라고 했다는 MLB 심판
  • "이 타이밍에 테슬라를?" 관세 유예 하루 전, 트럼프 측 의원 ‘미리 알았나’

추천 뉴스

  • 1
    절대 물에 씻으면 안 된다는 '이것'...세균 드글드글 '충격'

    뉴스 

  • 2
    "계산하려고 했더니..." 스폰서 물 먹였다는 검사 시절 한동훈 일화

    뉴스 

  • 3
    소방서에서 "장어 144만 원어치 주세요" 주문했는데... 알고 보니

    뉴스 

  • 4
    조기 대선에 급부상한 ‘주4일제’ 논란, 직장인은 이렇게 생각했다

    오피니언 

  • 5
    대우그룹 김우중의 ‘마지막 유산’으로 불렸던 건물 근황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농구 교실에서 1억 8,000만 원 횡령했다는 유명 농구선수

    뉴스 

  • 2
    "지금 사놔야 하나"... 트럼프 한마디에 줄 인상 중인 업계, 어디일까

    오피니언 

  • 3
    10년 전 ‘전 재산’ 2,000억 기부했던 통 큰 회장님, 지금은...

    오피니언 

  • 4
    "관세 위협에도.." 투자자들이 기대하고 있다는 종목, 무엇일까?

    오피니언 

  • 5
    “돈 없으면 사는 집이라더니" 강남 부자들이 초소형 아파트 주목하는 이유

    기획특집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