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현대차도 발 뺀다” 기업들이 먼저 벗어나려고 발악한다는 ‘이곳’

조용현 기자 조회수  

현대자동차 중국 시장 철수
기업 사업 규모 축소 행보
중국 사업 전망 낙관적이다

“현대차도 발 뺀다” 기업들이 먼저 벗어나려고 발악한다는 ‘이곳’
출처 : 현대차그룹

과거 전 세계의 모든 법인이 모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던 중국 시장이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서방 기업들이 성장 둔화에 부딪힌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사업 규모를 축소하는 등 발을 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지 시각으로 지난 12일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경제성장이 둔화하고 중국 내 사업에 어려움이 커지면서 서방 기업들이 중국 내 투자를 중단하고 있다”는 보도를 내놓았다.

WSJ의 보도에 따르면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을 투자 대상 지역에서 우선순위를 낮추는가 하면 경제성장 둔화와 수익 감소를 이유로 중국 내에서 사업을 축소하거나 통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중국 시장 사업 철수 및 규모 축소의 움직임은 중국 주재 미국상공회의소와 유럽연합(EU)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드러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상하이 소재 미국상공회의소가 이날 306개 회원사를 상대로 한 연례 여론조사를 발표한 결과 “향후 5년간 중국 사업을 낙관적으로 본다”는 응답자 비중은 전년도 조사와 비교하면 5% 포인트 낮은 47%를 기록하며, 사실상 중국 시장이 사상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도 발 뺀다” 기업들이 먼저 벗어나려고 발악한다는 ‘이곳’
출처 : 현대차그룹

이런 평가는 해당 조사 결과가 지난 1999년 같은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또한, 2023년도에 영업흑자를 냈다는 미국 기업들의 비율도 66%에 불과해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반해 지난 2023년 중국에 대한 투자를 줄인 기업은 25%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美 상공회의소는 미국 기업들이 미·중 간 지정학적 긴장 관계와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등으로 중국 시장에서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더해 EU 상공회의소 역시 전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유럽 기업들이 높은 시장 진입장벽과 경제 성장세 둔화 등으로 인해 투자 지속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며 일부 기업은 변곡점에 이르렀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런 상황에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에서 발을 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출처 : 혼다

실제로 미국 최대 소매유통업체 월마트는 지난달 8년 동안 보유했던 중국의 오랜 합작파트너인 ‘JD(징둥)닷컴’ 지분을 36억 달러(약 4조 8000억 원)에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미국 IT 기업 IBM도 중국 내 연구개발(R&D) 연구소를 폐쇄하고 1,000명 이상을 해고하며 사업 규모를 축소했다.

또한, 자동차 제조사들도 중국 업체가 5분의 3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내수 시장에서 고전하면서 사업 규모를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일본 혼다의 경우 최근 중국 내 3개 공장의 생산을 중단했고 자발적 퇴직을 통해 인력을 감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혼다의 중국 내 판매량이 올해 2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한 20만 9,000여 대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출처 : 현대차그룹

덧붙여 국내 굴지의 대기업 중 하나로 꼽히는 현대차 역시 중국 사업 재조정에 나서 베이징 1~3공장, 창저우 공장, 충칭 공장 가운데 베이징 1공장을 지난 2021년 매각한 데 이어 올해 초 충칭 공장까지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현대차는 중국 사업을 줄이는 대신 인도에서의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고 WSJ은 보도했다.

한편, 중국 시장 내 기업들의 철수 움직임이 두드러지자 업계에서는 ‘중국이 부동산 경제 붕괴와 소비 지출 감소로 40년 전 개방 경제로 돌아선 이래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사실은 美 현지 매체 뉴욕타임스(NYT)가 현지 시각으로 지난 3일 보도했다.

특히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국가들이 중국과 공급망 분리에 나선 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author-img
조용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7

300

댓글7

  • .대한민국

    우리나라에서 현대차만들자 중국은 우리것을 가져가는나라

  • 장기원

    공산당 지도 하의 국가에서는 언제 공산당 정책이 돌변할지 모르기에 조심해야 한다.

  • 중공 붉괭이들 찰거머리 진드기 같은 늠들... 놈들은 세계적 악의축으로 반드시 궤멸시켜야 세계가 산다. 멸공!

  • 후아!

    왜요? 중국에 진출한 우리기업들 중국에서 때려 맞는 관세는요? 중국기업들이 우리나라에서 납부하는 세금 비율은요? 예로 전기차 보조금은요? 우리나라에서 제조 수출한 전기차 세율은요? 이해는 합니다만 우리나라 제조업체 다죽일 생각입니까?

  • 현대차만 안 팔리는거지. 중국국내 차 판매량 2022년 2686만대 2023년 3009만대 둔화는 무슨 개뿔

    현대차만 안 팔리는거지. 중국국내 차 판매량 2022년 2686만대 2023년 3009만대 둔화는 무슨 중국차에 밀리는거지.

[국제] 랭킹 뉴스

  • 오타니보다 잘 친다는 이정후, 성적 MLB에서 몇 등일까?
  • "폭행까지 당해..." 피라미드 기어 올라간 관광객의 최후
  • ‘부러움의 대상’이던 日 야쿠자, 지금은 ‘이것’도 못 한다
  •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정부가 개발 시작했다는 열차의 정체
  • "출산 후 산모 몰래..." 태반 빼돌렸다는 의사, 현재 상황
  • 부자와 결혼하는 법 알려주던 유명인이 15억 벌금 받은 이유

추천 뉴스

  • 1
    “불만 껐다고 끝난 게 아니었다”... 서울 80% 사라진 뒤, 더 큰 문제 따로 있었다

    사건사고 

  • 2
    "6억 주고 샀는데... 6,000만 원에 팔렸다" 이 동네에 무슨 일이?

    오피니언 

  • 3
    근대화 이끌던 중심지였던 '관광 명소'...안타까운 근황

    기획특집 

  • 4
    "전 국민 30만 원에서 100만 원 지급" 돈 지급하는 日, 속내 살펴봤더니

    오피니언 

  • 5
    “따지지 말라” 삼성 확 바꾼다는 이재용 ‘특명’ 뭐길래?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층간소음보다 더 괴롭다는 '이것'...잠 못 들게 하는 공해, 무엇일까?

    사건사고 

  • 2
    "이건희가 직접 들렀다"... 삼성이 가진 모든 걸 쏟아부은 이 아파트

    기획특집 

  • 3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정부가 개발 시작했다는 열차의 정체

    국제 

  • 4
    "최대 51만 원 오른다" '패닉 바잉' 소비자들 몰렸다는 '이곳'

    오피니언 

  • 5
    "한 사람 빠졌을 뿐인데"...삼성전자 내부에서 터져나온 말들

    기획특집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