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재벌 자녀 재산 16% 늘었다는데…왜 상속세 고쳐야합니까?”

서윤지 기자 조회수  

대기업 지분가치 155조
자녀 세대 비중 절반 수준
최상목 경제부총리 ‘세금 개편’

"재벌 자녀 재산 16% 늘었다는데...상속세 고쳐야합니까?"
출처: 뉴스1

재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기업집단 오너일가가 보유한 지분가치가 155조 원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만에 14%에 육박하는 증가율이다. 더하여 자녀 세대로만 한정할 경우 16% 가까이 증가했다.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대기업집단 오너일가 지분가치 승계 현황·2022년 12월 말~2024년 5월 말’ 보고서를 통해 오너일가 지분가치 비중 증가와 자녀 세대 지분가치 비중 증가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2024년 지정 대기업집단 88곳 가운데 동일인이 있는 78곳을 대상으로 오너일가 계열사 보유 주식을 비롯해 지분가치 현황 등을 조사한 결과다. 

"재벌 자녀 재산 16% 늘었다는데...상속세 고쳐야합니까?"
출처: 뉴스1

조사에 따르면 5월 말 대기업집단 오너일가의 지분가지는 155조 6,590억 원으로 집계했으며 이는 지난 2022년 말 집계된 136조 8,369억 원 대비 13.8% 증가한 것이다. 오너일가 가운데 부모 세대의 지분가치는 81조 5,149억 원으로 지난 2022년 말 72조 8,821억 원 대비 11.8% 늘어났다. 

특히 오너일가 가운데 자녀 세대는 74조 1,441억 원으로 지난 2022년 말 63조 9,548억 원에서 15.9% 상승하여 거의 16%에 육박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부모 세대보다 자녀 세대의 지분가치가 더욱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셈이다. 

"재벌 자녀 재산 16% 늘었다는데...상속세 고쳐야합니까?"
성기학 영원아웃도어 회장/= 영원그룹 제공

이러한 현상으로 부모 세대의 지분가치 비중이 지난 2022년 말 53.3%에서 현재 52.4%로 1% 가까이 줄어들었지만, 자녀 세대의 경우 지분가치 비중이 46.7%에서 47.6%로 증가했다. 이는 그룹별 평균도 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재벌가 자녀 세대 그룹별 평균 지분가치 비중은 40.9%에서 42.9%로 늘어났다. 

대기업 오너일가 가운데 자녀 세대 지분가치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곳은 ‘영원으로 나타났다. 영원무역의 창업자인 성기학 회장의 차녀 성래은 부회장은 지난 2022년 말 지분가치 비중은 단 0.7%에 불과했지만, 현재 28.5%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이에 대해 재계에서는 성 부회장을 두고 영원에서 ‘2세 승계’ 작업을 진행한 결과로 해석했다. 

"재벌 자녀 재산 16% 늘었다는데...상속세 고쳐야합니까?"
조동혁 한솔그룹 명예회장/= 뉴스1

이어 한솔그룹 조동혁 회장의 장녀 조연주 한솔케미칼 부회장은 지난 2022년 말 보유한 지분가치 비중은 단 9.5%였지만 현재 25.9%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한솔그룹이 ‘3세 승계’에 박차를 가하면서 빠른 속도로 수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한솔 그룹의 자녀 세대 지분가치 비중은 지난 2022년 말 19.7% 수준이었지만 현재 절반 가까이 되는 45.1%에 달한다. 앞서 조 부회장은 지난 2020년 한솔케미칼 부회장으로 승진하면서 경영 일선에 뛰어들었다. 

"재벌 자녀 재산 16% 늘었다는데...상속세 고쳐야합니까?"
출처: 뉴스1

또한 기업분석기관 한국시엑스오 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올해 1월 국내 대기업집단 그룹 총수 40명의 주식 평가액은 58조 7,860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2023년) 1월 초 보유 주식 48조 7,885억 원보다 9조 9,975억 원 증가한 것이다. 1년 만에 10조에 달하는 보유 주식이 늘어난 셈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대기업 오너일가의 재산이 늘어나는 가운데 ‘상속세 개편·폐지’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정부는 종합부동산세(종부세)보다 상속세 개편을 우선순위로 두고 법 개정 추진을 밝혔다. 특히 최대 주주 할증은 폐지하기로 하면서 대대적인 세금 개편을 시작했다. 18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 강연에서 “종부세 정상화가 필요하다. 다만 상속세 개편이 더 시급한 과제다”라며 “가업승계 부담을 낮추고, 최대 주주 할증 평가를 폐지하는 방안은 반드시 해야 할 부분이다”라고 말하며 세금 제도 변화 의지를 나타냈다.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연봉 4.4억 ‘1억 뷰 주인공' 치어리더...LG 응원단 어떻게 합류했냐면
  • "대선 출마하나" 트럼프 질문에 한덕수가 한 대답은?
  • 권성동이 말하는 '이재명이 대통령 되면 안 되는 이유'
  • 중국이 9일부터 미국에 내야 하는 관세, 무려...
  • "모자란다는 말 밖에.." 한미일 공개적으로 비난한 북한 김여정
  •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찍었다는 환율, 현재 상황 심각하다

추천 뉴스

  • 1
    국힘 33%·민주 34% 초박빙...이재명 빼고 다 올랐다는 지지율 근황

    뉴스 

  • 2
    정치인 최초 ‘골드 버튼’ 받은 이재명...“유튜브 출마 이제야 납득 가네”

    뉴스 

  • 3
    “국힘, 살려면 윤석열 버려라” 국민의 50%가 이렇게 생각했다

    뉴스 

  • 4
    국민의힘 입당하자마자 '대선 출마' 선언한 여성 국회의원

    뉴스 

  • 5
    "불탄 집에 전입신고" 사람들이 산불 피해 지역으로 이사가는 이유

    사건사고 

지금 뜨는 뉴스

  • 1
    "내가 왜 범죄자 이재명 만나야 해?" 윤 전 대통령의 속내 살펴보니...

    뉴스 

  • 2
    "2400원 횡령한 버스 기사 해고" 과거 판결 논란되는 헌법재판관 후보자

    뉴스 

  • 3
    “비상계엄 관여 인정할 증거 없어" 헌재서 탄핵소추 기각된 인물

    뉴스 

  • 4
    "꿍꿍이 있을 수도" 한덕수 불출마에 김윤덕이 날린 한마디

    뉴스 

  • 5
    아내 목 졸라 살해하고 상주 맡은 남편...체포되자 웃으며 한 말

    뉴스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