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용산? 세종?…尹 파면 후 인파 몰리고 있다는 뜻밖의 장소

이시현 기자 조회수  

츌처 : 뉴스 1
츌처 : 뉴스 1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청와대를 찾는 시민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서울 종로 일대에서 이어지던 탄핵 관련 시위가 일단락된 데다, 조기 대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이 다시 청와대로 돌아갈 수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되면서 시민들의 관심이 청와대로 쏠린 모습이다.

청와대재단에 따르면 탄핵 결정 직후인 첫 주말인 4월 5일(토)에는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5,324명이 청와대를 방문했다. 다음 날인 6일(일)에는 무려 1만 714명이 입장해 이틀 동안 총 1만 6,038명이 다녀갔다. 이는 직전 주말인 3월 29~30일(1만 786명) 대비 약 5,252명 늘어난 수치다.

청와대재단 관계자는 “봄철 방문객 증가와 더불어 그동안 시위로 인해 관람을 미뤘던 시민들이 다시 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츌처 : 뉴스 1
츌처 : 뉴스 1

청와대의 재사용 여부가 다시 거론되는 점도 관람 인파를 자극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10일 취임 직후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고, 청와대는 그날부터 국민에게 개방됐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으로 대통령실의 위치 재조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일부 정치권에서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세종시, 그리고 청와대 복귀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는 중이다.

청와대는 개방 2년 10개월 만인 지난달 기준 누적 관람객 700만 명을 돌파하며 복합 문화공간으로 입지를 굳히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변화에 따라 다시 ‘권력의 심장’으로 복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author-img
이시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이제 윤석열을 잊자" 발언한 국민의힘 대선 후보, 누구일까?
  • “입만 터는 문과×들이...” 이국종 발언 접한 이준석, 어떤 반응 보였을까?
  • “한동훈 언급할 가치 없어" 경선 앞두고 있는 홍준표가 남긴 말
  • "성적 인식 부족했다" 처형 강제추행 혐의 인정한 유영재
  • “내 드럼통이 아팠나?" 이재명에게 직격탄 날린 나경원 발언
  • "휴대전화 안 바꿨다"더니...5분 만에 거짓말 들통난 최상목

추천 뉴스

  • 1
    횟집 수족관에 '발길질'하고 도망간 남성, CCTV 영상 충격적이다

    사건사고 

  • 2
    트럼프 '한마디'에 위기 직면했다는 업계, 어디일까?

    오피니언 

  • 3
    샤이니 민호가 산 '하정우 고급 주택' 금액만 무려...

    기획특집 

  • 4
    “교실부터 청와대까지" 졸업사진이 사라지는 뜻밖의 이유

    기획특집 

  • 5
    "친구 자가야, 전세야?" 주거 형태로 차별 생긴다는 현재 상황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매출 4조 원 기록한 다이소의 효자 사업, 이거였다

    기획특집 

  • 2
    "금액만 2500억" 대형 은행도 속였다는 20대 CEO, 누구길래?

    오피니언 

  • 3
    “복귀 시한 넘기면”... 의대 학장들이 의대생들에게 날린 경고 내용

    사건사고 

  • 4
    "홍라희 1466억 2위" 지난해 대기업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기획특집 

  • 5
    '미아리 텍사스촌' 사라지는데 웃지 못하는 사람들

    기획특집 

공유하기

3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