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이공계 가라고 줬더니” 국가 장학금 받은 54명 의대 갔다

윤미진 기자 조회수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정부가 우수한 학생들의 이공계 유치를 위해 지원하는 국가 장학금을 받은 일부 학생 중 21%가 졸업 후 의과대학으로 진로를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한국장학재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이공계 우수 학생 국가 장학금’ 환수가 결정된 사례는 총 258명이었다. 이 중 54명인 약 21%는 의대로 진학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장학재단은 우수 인재의 이공계 진출을 위해 국가 우수 장학금과 대통령과학장학금을 운영하고 있다. 해당 장학금은 최대 4~5년까지 받을 수 있다. 수혜 학생은 졸업 후 일정 기간 이공계 산업이나 학계 등 관련 분야에 종사해야 한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장학금 혜택만 받고 이공계가 아닌 분야로 전공을 바꾸거나, 정해진 기간만큼 근무하지 않는 등 이공계 외의 진로를 선택할 때 지급된 장학금은 환수된다. 다만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 시행령상 초기 2년간 받은 지원금은 환수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 때문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한 후 의·약학 계열에 진학하기 위해 학교에 다니면서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제도가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실제로 기존 이공계 학과를 졸업한 후 다시 의대로 진학한 학생 중 일부에게서는 장학금을 돌려받지 못했다. 총 13억 5,100만 원이 지급된 가운데, 이 중 절반이 넘는 7억 4,300만 원은 환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은 “이공계 우수 학생 국가 장학금은 의대에 진학하는 이들이 아닌, 장학금이 정말 필요한 이공계 인재들에게 쓰여야 한다”라며 “초기 2년 지급액에 대한 미환수 문제 등을 해결할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1

300

댓글1

  • 받은 금액의 50배 부과해야 한다 배은망덕!!!

[뉴스] 랭킹 뉴스

  • "우승 때보다 빨라" 개막 후 25경기 성적 역대급이라는 한화 이글스
  • “이러다 다 죽어” 러시아 최대 규모 무기고서 벌어졌다는 충격적인 사건
  • SK하이닉스랑 결별해도 한미반도체가 ‘슈퍼을’로 불리는 이유
  • 토론 대상으로 아무도 지목하지 않은 안철수, 어떤 반응 보였을까?
  • "걸리면 2,000만 원 벌금" 6월부터 음주단속, 이렇게 바뀐다
  • "계엄 일으킨 주체들 책임 안졌다" 내란 사태와 관련해 입장 밝힌 이재명

추천 뉴스

  • 1
    "안 받을래요" 셰프들이 '미쉐린 스타' 거부하는 이유

    기획특집 

  • 2
    “월급 800만 원 포기한 교황”…떠나며 남긴 재산 보니

    국제 

  • 3
    "강남 아니야" 올해 1분기 아파트 가격 1등 여기였다

    오피니언 

  • 4
    국회의원 이철규 며느리도 '대마초 양성 반응' 나왔다

    사건사고 

  • 5
    "327억 주인 없어요?" 3년 뒤 '나라가 꿀꺽' 한다는 돈, 무엇일까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술집 옆 테이블 핸드폰 훔쳐간 남성, 알고보니 경찰이었다

    사건사고 

  • 2
    "저축하는 사람은 패배자" 부자 아빠가 날린 투자 조언, 뭐길래

    기획특집 

  • 3
    마크 저커버그, 백악관 옆 ‘300억 저택’ 매입한 이유

    국제 

  • 4
    "숙제 안 해" 11살 아들 야구방망이로 구타한 아버지, 결국...

    사건사고 

  • 5
    감기보다 흔한 잇몸병, 이제 333 양치법 변경으로 해결하세요

    기획특집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