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 지난해 매출 4조 원 예상
다이소 창업 비용 3억 7,240만 원
“창업 문의 증가해“

많은 가성비 아이템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다이소의 창업 문의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가성비 아이템을 찾기 위해 다이소를 방문하면서 매출이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달 중 발표되는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은 4조 원을 웃도는 수치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3년 매출 3조 4,605억 원, 영업이익 2,617억 원 대비 각각 18%, 9% 상승한 수치다. 다이소는 매출 상승세도 가팔라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1997년 서울 강동구 천호동에서 첫 매장을 열고, 18년 후인 2015년에 매출 1조 원을 달성했다.
이후 2022년 다이소는 매출 2조 9,458억 원을 기록한 뒤, 1년 만에 3조 원대를 돌파했고, 또다시 1년 만에 매출의 앞자리가 바뀌는 성과를 거두었다. 다이소의 고공행진은 고금리·고물가 환경도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가격경쟁력을 최우선으로 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다이소를 찾는 이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유통업계 관계자는 “편의점들이 1,000원대 상품을 선보이고 대형마트들도 자체브랜드(PB) 제품을 앞세워 초저가 경쟁에 발 들이고 있다”라며 “현재 국내 상황은 장기간 실질임금이 물가 상승세를 따라가지 못해 ‘100엔숍’ 등이 유행했던 일본을 생각나게 한다”라고 전했다.
이에 다이소 창업 문의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소의 창업비용은 어느 정도일까?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 정보공개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다이소 전체 점포 수는 1,519개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34% 상승한 수치다. 이 중 직영점은 1,022개로 7.47% 늘어났다. 이에 반해 가맹점은 497개로 1.22% 상승하며 낮은 상승폭을 보였다.
업계에서는 직영점 비중이 높은 이유로 가맹 창업에 상당한 초기 자본이 필요한 점을 꼽았다. 당초 다이소는 일반 프랜차이즈와 달리 대부분 100평 이상의 대형 매장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예비 창업자들은 넓은 규모의 점포를 직접 소유하거나 임차해야 하는 부담이 생길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인테리어와 설비 등 초기 투자까지 고려하면 진입장벽은 더욱 가파르게 상승한다.
업계에 따르면 다이소 창업 시 필요한 자금은 100평 기준으로 가맹비 3,740만 원, 보증금 6,000만 원, 기타 비용 2억 7,500만 원 등으로 총 3억 7,240만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테리어 비용 8,000만 원까지 포함할 경우 총 4억 5,000만 원을 웃도는 금액이 필요하다. 이 외에 별도 공사비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창업 비용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자금 부담은 다이소가 요구하는 공식 가맹 요건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다이소 본사 홈페이지에 따르면 점주 자격으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 점포 요건에 맞는 매장을 소유하거나 임차할 수 있는 능력 등이 필요하며, 점포 요건으로는 지역 상권 내 핵심지에 위치, 실면적 330㎡(약 100평) 이상 공간 확보 등이 요구된다.

아시아 경제의 보도에 따르면 업계 관계자는 “다이소는 외부 환경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업종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창업 문의는 상승하고 있다”라며 “신규 개설은 물론 양도양수 비용에 관해서도 관심이 높아졌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타업종과 비교해 매출 변동성이 적기 때문에 안정적인 사업이다”라며 “체계적으로 운영되며 자체 물류관리 시스템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초보 창업자도 어렵지 않게 운영할 수 있는 편에 속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SG닷컴이 다이소에 맞붙는 프로모션을 제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SSG닷컴은 오는 13일까지 건강식품 프로모션 ‘헬시 99 스토어(Healthy 99 Store)’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행사 기간 종근당건강, 셀트리온이너랩, 리얼닥터 등 인기 브랜드의 건강식품 100여 종의 가격대를 낮춰 4990·5990·7990·9,990원 등 균일가에 공개한다. 또한 ‘레모나 구미’, ‘뉴케어 균형 영양식’, ‘피키타카 푸드 쉐이크’ 등은 1+1 구성으로 판매가 이루어진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