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인서울 했는데 기쁘지 않아요”…대학생들이 울상 짓는 이유

윤미진 기자 조회수  

서울 주요 대학 기숙사 수용률 10%
원룸 월세 올랐지만, 기숙사 신축 난항
원룸 소유주와의 이해관계가 주원인

12일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전체 대학의 기숙사 평균 수용률은 23.4%다. 평균 수용률은 기숙사가 수용할 수 있는 인원수를 전체 학생 수로 나눠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그중에서도 서울 소재의 유명 10개 대학인 경희대(17.5%), 고려대(12%), 서강대(11.8%), 서울대(23.8%), 성균관대(20.4%), 연세대(35.2%), 이화여대(21.8%), 중앙대(13%), 한양대(11.2%), 한국외대(18.5%)는 서울대와 연세대 두 곳을 제외하면 모두 평균 수용률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한양대와 서강대는 11%대로 낮은 수용률을 보여 줬다. 대학의 기숙사 수용률이 낮으면 기숙사를 신청한 학생들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확률이 높아진다. 기숙사에 떨어진 학생들은 정부가 운영하는 공공기숙사에 입주하거나 원룸을 구해야 하므로 주거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학교와 호실당 수용 인원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이 변경되지만, 기숙사의 경우 대학가에서 자취하는 경우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에 거주할 수 있다. 여기에 대부분의 기숙사에서는 식사까지 제공되는 데다 전기세와 관리비 등을 내지 않아 부수적인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주거비가 부담인 학생들에게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반면 학교 근처에서 원룸을 구해야 한다면 비용적으로 더욱 부담된다. 최근 ‘전세의 월세화’로 서울 중심으로 월세가 크게 오르면서 특성상 원룸이 많은 대학가 또한 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자사 플랫폼에 등록된 서울 주요 10개 대학 인근 원룸의 월세와 관리비를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보증금 1,000만 원 기준 서울 주요 대학 인근 전용면적 33㎡ 이하 원룸의 평균 월세는 60만 9,000원, 평균 관리비는 7만 8,000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6.1%, 8.1% 오른 금액이다.

이 중 이화여대가 가장 비쌌다. 지난 1월 기준 이화여대 인근 원룸의 평균 월세는 74만 1,000원으로 평균 월세보다 13만 2,000원 높았다. 다음으로 연세대(64만 3,000원), 서강대(64만 2,000원), 한국외대(63만 1,000원), 성균관대(62만 5,000원), 경희대(62만 2,000원)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낮은 기숙사 수용률은 꾸준히 문제로 제기되어 왔지만, 대학으로서도 섣불리 기숙사를 신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학령 인구 감소로 대학에서 겪고 있는 재정난 때문이다. 여기에 노후화된 기숙사의 경우 대부분 다인실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최근 20대 청년층들은 독립적인 생활을 선호해 단체 생활을 기피해 공실률이 높기 때문이다. 공실이 많아지면 대학들이 기숙사를 운영하면서 적자를 보는 원인이 된다.

권익위에 따르면 대학들이 운영하는 기숙사 중 준공된 지 20년이 지난 기숙사는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43%를 기록했다. 또한 수도권 대학 기숙사의 다인실 평균 공실률은 2022년도 기준 3인실 17%, 4인실 이상 22%다.

지역 사회 갈등으로 대표되는 대학가 원룸 소유주들의 반발도 대학교가 기숙사 신축에 난항을 겪는 이유 중 하나다. 한양대와 인하대도 같은 문제를 겪었다. 한양대는 2015년부터 신축 기숙사를 짓겠다고 발표했지만, 원룸 운영을 생계로 삼는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2021년에야 착공에 들어갔다. 해당 신축 기숙사는 올해 3월부터 학생을 받기 시작했다.

인하대의 경우 신축 기숙사 설립을 완료했지만, 이전에 존재하던 기숙사를 폐쇄하면서 재학생들의 빈축을 샀다. 기숙사가 개관하면 기존 노후화된 제1생활관을 폐쇄하고, 이를 창업지원단 및 산학협력관 등 교육환경 개선 용도로 전환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기존 생활관의 경우 1,018명을 수용할 수 있었고, 신축한 행복기숙사의 경우 1,794명을 수용할 수 있어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의 수가 늘어난 것은 700명에 불과하다. 건물 신축 비용을 생각하면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학생들의 주장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이전에도 교내·외 부지에 기숙사를 짓기 위해 많은 노력을 이어왔지만, 주민들의 항의와 다른 기관과의 조정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무산된 경우가 있었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부지를 기숙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확실히 도장을 찍기 전까지는 무산 가능성이 도사리고 있다”라며 “결국 계획이 이뤄지지 못한다면 가장 피해를 보는 건 우리 학생들이기에 신중해야 한다”라는 입장을 전했다.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평일엔 금융인, 주말엔 가수로 활동했죠”, 제가 누구냐면...
  • 스포티파이가 세계 최대 스트리밍 서비스가 될 수 있었던 이유
  • 한화그룹 급식업체 인수에 재조명되는 ‘대기업의 횡포’, 이유가...
  •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징역" 민주당이 재판관 임명에 무리수 두는 이유
  • 올해 본격적으로 논의 중인 ‘노인 연령 상향‘, 효과는?
    올해 본격적으로 논의 중인 ‘노인 연령 상향‘, 어떤 효과 있을까?
  • "세 아들들에게..." 승계 작업 끝낸 한화 김승연, 지분 증여 구조 살펴보니

추천 뉴스

  • 1
    경기 무기한 연기될 수도 있다는 NC 다이노스 창원 야구장 상황

    사건사고 

  • 2
    “인명 피해는...” 미안먀 강진에 외교부가 밝힌 한인 피해 상황

    국제 

  • 3
    "KT 계열사 아니냐구요?"…119년 역사의 공기업이었죠

    사건사고 

  • 4
    "형제간 갈등으로 탄생한 회사"...홀로서기 성공 비결 이거였다

    Uncategorized 

  • 5
    토허제 지정되자마자 '거래 급증'했다는 아파트 정체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정수기 설치 잘못해서..." 5년 동안 폐수 마신 여성, 결국….

    국제 

  • 2
    KBO가 창원구장 구조물 추락 사고에도 경기 중단하지 않은 이유

    사건사고 

  • 3
    대학 등록금보다 비싸다는 강남 재수학원 수강료, 가격 보니...

    기획특집 

  • 4
    "총생산 4위지만 미분양 무덤이죠" 상황 심각하다는 지역

    오피니언 

  • 5
    "매우 유감" 트럼프 車 관세 폭탄에 일본이 받는 타격, 금액 보니..

    국제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