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민 검사 당선 지원 부탁
11차례 통화나 메시지 주고받아
김건희 “본 전략은 경선” 발언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김영선 전 의원과 여러 차례 연락을 주고받은 내역을 확보했다고 전해져 이목이 쏠린 가운데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수사 결과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20일 뉴스타파가 공개한 지난해 11월 10일 자 창원지검 수사보고서에 따르면 김 여사는 지난해 2월 18일부터 3월 1일까지 12일간 김 전 의원과 총 11회의 통화 및 문자를 나눈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간 오고 간 통화 중 4회는 모두 김 여사가 김 전 의원에게 걸었으며, 7차례 문자는 김 전 의원이 김 여사에게 전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명태균 씨의 변호인인 남상권 변호사는 문화방송(MBC)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를 통해 “김건희 여사가 (김영선 전 의원에게) ‘창원 의창구에 김상민 검사가 당선되도록 지원해라. 그러면 선거가 끝나고 장관 또는 공기업 사장 자리를 주겠다’라고 얘기했다”라고 밝혔다.
남 변호사는 김 여사가 특정 공기업이나 부처 이름을 언급한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아울러 남 변호사는 지난해 2월 18일부터 3월 1일까지 김 여사와 김 전 의원이 11차례 통화나 메시지를 주고받았다는 전날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맞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또한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김 전 의원의 창원 의창구 등 국회의원 공천을 위해 국민의힘 관계자를 포함해 김 여사와도 텔레그램으로 소통한 것이 드러났다. 명 씨는 김건희 여사에게 “여사님 말씀대로 김해갑 경선도 참여하겠다고 기사를 내지만 경선 룰에 당원 50%, 시민 50%인데 김해에는 당원을 한 명도 가입시키지 못해서 김 의원이 이길 방법이 없다”라며 “여사님이 이 부분을 해결해 달라”라고 전했다.

명 씨의 말에 김 여사는 “단수를 주면 나 역시 좋음. 기본 전략은 경선이 돼야 한다”라고 답변했다. 따라서 검찰은 지난해 2월 18일 오후 3시 30분 명 씨가 김 여사에게 해당 내용을 텔레그램으로 이야기한 후 같은 날 오후 5시 2분 김 여사가 두 번에 걸쳐 총 11분가량 김 전 의원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날 밤 김 전 의원 측은 현역 지역구인 창원 의창 출마를 포기한다고 전하며, 김해 갑에 출마한다는 보도 자료를 언론에 공개했다. 검찰은 명 씨가 김 여사를 통해 김 전 의원의 창원 의창 공천에 개입하려 했으나 컷오프가 예상돼 김 여사의 조언에 따라 김 전 의원의 경선 지역구를 김해갑으로 변경했다고 보고 이를 급히 언론에 발표한 뒤, 해당 발표 기사를 다시 김 여사에게 전달하며 김해갑 공천에도 개입을 시도했다고 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사건을 창원지검에서 넘겨받아 김 여사를 상대로 김 전 의원과 연락한 경위 등을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현재 ‘황금폰’이라 불리는 명 씨의 휴대전화 포렌식을 거쳐 필요할 시에 김 여사에 대한 소환조사 등도 시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박찬대 원내대표는 창원지검이 ‘명태균 의혹’과 관련한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한 것에 대해 “알맹이가 빠진 맹탕 발표였다. 결국 특검이 답”이라고 말했다. 지난 18일 박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창원지검은 전현직 국회의원 등 100여 명을 소환 조사했다고 숫자를 나열했지만, 핵심은 건드리지 못하고 주변만 뒤졌다”라고 전했다.

그는 “특히 공천 개입과 국정농단의 몸통인 김건희에 대한 소환조사나 압수수색은 전혀 없었다”라며 “지난 넉 달간 검찰은 도대체 뭘 한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김건희가 소환되거나 압수수색이 없었던 점을 꼽으며 검찰의 무능함에 대해 비판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그는 “검찰이 윤석열 김건희 부부에 대한 수사를 지연시키거나 은폐·축소하는 것 아니냐는 국민적 의심만 커지고 있다”라며 “내란의 직접적 원인이 된 ‘명태균 게이트’의 경위를 밝히려면 특검이 필수 불가결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박 원내대표는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어제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12·3 비상계엄 선포’ 해제를 요구하는 국회 결의안 의결에 대해 “제가 국회 현장에 있었어도 표결에는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 것과 관련해서 비판했다. 이는 표결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권 위원장에게 일침을 날린 것이다. 박 원내대표는 “권 위원장은 말도 안 되는 궤변과 헛소리로 내란을 비호하고 있다”라며 “망언이 도를 넘었다”라고 이야기했다. 또한 “국민의힘이 아니라 내란의 힘이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하루빨리 광기와 망상에서 깨어나 상식과 이성을 회복하길 바란다”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