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아반떼 N? 비교 불가죠’.. 신차 쏟아내는 아우디, 신형 S3까지 공개

서윤지 기자 조회수  

아우디 S3 프로토타입 공개
이전 출시된 모델과 비교해
성능 수준 대폭 향상됐다고

아우디 브랜드는 Q4 e-트론 아래에 위치할 보급형 전기 자동차를 발표하며 2025년까지 20개의 신차 출시를 목표로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듯 분주하게 움직이던 아우디는 최근 S3 스포트백 2025년형의 프로토타입을 공개해 모두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아우디는 2025년형 S3 스포트백을 ‘단순한 제품 업그레이드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누군가는 이를 보고 마케팅 광고라고 했지만, S3에 대해 회사가 이루어 낸 변화를 살펴보면 충분히 이해가 가는 설명이었다.

2025 S3 프로토타입 공개
2.0리터 터보 가솔린 4기통 엔진

S3은 고급스러운 느낌, 강력한 성능, 일상적인 유용성의 조화로 이미 잘 알려진 차량이다.
공개된 S3의 프로토타입은 인포테인먼트 터치스크린과 디지털 운전자 디스플레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위장막에 둘러싸여 있는 상태였고, 약간의 외관 수정이 있는 듯 보였다.

공개된 차량은 프로토타입이기 때문에, 신형 S3의 외관이나 내장 스타일링이 얼마나 업그레이드(또는 다운그레이드) 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조금 더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계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S3 신형의 보닛 아래에는 여전히 폭스바겐 그룹의 EA888 2.0리터 터보 가솔린 4기통 엔진이 사용되었다.

향상된 출력과 토크
다이내믹 플러스 모드 추가

S3은 328 마력과 310 토크의 파운드-피트의 강력한 출력 수치 보여주었는데,
이전 모델보다 22마력, 15파운드-피트가 향상되었다. 이 수치는 유럽 사양 차량에 대한 것이므로 나라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어느 쪽이든 증가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7단 듀얼 클러치 자동 변속기는 클러치 팩을 더 강하게 압축하여 시작 토크를 높였으며, 최대 부하 상태에서 변속 시간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아우디가 RS3 메가 해치와 동일한 토크 스플리터 시스템을 추가했다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각 드라이브 샤프트에 클러치가 있어, 운전 모드에 따라 두 개의 뒷바퀴 사이에서 토크를 다양한 방식으로 분배할 수 있다. Dynamic Plus라는 새로운 모드도 추가되었는데, 해당 모드는 더 빠른 공회전 속도, 더 짧은 변속, 그리고 더 직접적인 스로틀 반응을 제공한다.

맥퍼슨 스트럿 구조
가격은 약 7천만 원대

신형 S3의 스포츠 서스펜션은 전면 맥퍼슨 스트럿 구조로 되어있고,
새로운 피벗 베어링을 장착하여 스티어링 반응을 개선하려 했다. 덧붙여, 더욱 단단해진 위시본과 재설계된 적응형 댐퍼도 장착하고 있다. 19인치 휠을 위한 두 가지 새로운 235/35 타이어 유형이 있으며, 여기에는 핸들링과 제동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Falken 스포츠 세트가 포함되어 있다.

2025년형 S3 스포트백은 아우디 A3 전체 제품군의 대대적인 수정의 일환으로 몇 달 안에 공개될 예정이다.
외신에 따르면 해당 차량의 가격은 45,000파운드(한화 약 7,576만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해당 가격 보다 더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창립 이래 최대 실적 달성한 현대무벡스...지난해 영업이익 493% 증가
  • '유니클로’ 대항마로 불렸던 토종 브랜드...실적 살펴보니 ‘깜짝'
  • "12억짜리 아파트도 반토막"...'똘똘한 한 채' 열풍에 눈물짓는 도시들
  • “1,000만 고객이 눈앞이다” 업계 1위 배민 넘보는 곳의 정체
    “1,000만 고객이 눈앞이다” 업계 1위 배민 넘보는 곳의 정체
  • “그 부모에 그 아들”...‘솔선수범’ 보인 회장님의 통 큰 행보 ‘세상에나’
  • ‘직무유기 수준’이던 낡은 주거법, 변경 소식에 ‘기대감 솔솔’

추천 뉴스

  • 1
    "누가 이력서를 읽어?” 2025 채용시장에 등장한 방식, 바로?

    오피니언 

    "누가 이력서를 읽을까? 2025 채용시장에 등장한 방식"
  • 2
    "돈 제발 찾아가세요" 서울 지하철 습득 현금 액수 '깜짝'

    사건사고 

  • 3
    “1,000만 고객이 눈앞이다” 업계 1위 배민 넘보는 곳의 정체

    뉴스 

    “1,000만 고객이 눈앞이다” 업계 1위 배민 넘보는 곳의 정체
  • 4
    “엔비디아 수준 절반 넘어“ 관련주 폭등의 원인, 이거였다

    국제 

  • 5
    "이대로는 못 버텨" 늘어나는 업무에 곡소리 나온다는 직업, 바로..

    국제 

지금 뜨는 뉴스

  • 1
    “그 부모에 그 아들”...‘솔선수범’ 보인 회장님의 통 큰 행보 ‘세상에나’

    뉴스 

  • 2
    불법 파견 수사 논란에 구설 휘말린 정몽규...‘숙원 사업’ 진행 상태 봤더니

    사건사고 

  • 3
    이병철이 삼성전자보다 '제일제당'을 먼저 만든 '현실' 이유

    오피니언 

  • 4
    "목숨 걸었죠"...1년에 ‘3억' 벌지만 그만큼 위험하다는 '대체불가' 직업

    국제 

  • 5
    "나도 여기서 사려했는데..." 사기 증가하는 쇼핑몰, 소비자는 '아뿔싸'

    사건사고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