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까딱하면 불나” 전기차 배터리 화재, ‘이것’ 모르면 정말 위험하다?

서윤지 기자 조회수  

시장의 대세가 된 전기차
배터리 화재 항상 대비해야
대비법 및 대처법 알아보자

전기차-배터리-화재

어느덧 자동차 시장의 대세가 된 전기차.
이런 전기차엔 떼려야 뗄 수 없는 요소가 있으니, 바로 배터리다. 배터리는 전기차가 갖는 모든 가치를 결정짓는, 그 중요도가 매우 높은 부품이다. 이런 전기차 배터리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하나 있는데, 바로 손상에 대한 리스크가 너무 크다는 점이다.

전기차 배터리가 손상되면 기본적으로 수리를 위한 비용이 발생한다.
그런데 이 수리 비용이 우리들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크다는 것이 문제다.
그나마 수리 비용만 발생하고 끝나면 다행이다. 최악의 경우 화재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부터 주목 받아온 전기차 배터리 화재. 그래서 이번 시간엔 배터리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를 어떻게 대비하고,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전기차-배터리-화재
전기차-배터리-화재

경미한 접촉 사고에도
배터리 점검은 필수

전기차 배터리 화재 대비법 하나. 접촉 사고 발생 시 배터리를 점검받는 것이다.
운전이란 행위는 언제 어디서든 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전기차 역시 매한가지다. 여기서 말하는 사고에는 심각한 수준의 사고부터 경미한 접촉 사고 모두를 포함한다. 만약 당신이 전기차 운전자라면 아무리 가벼운 접촉 사고라 한들 배터리 손상 여부를 점검할 필요가 있겠다.

이유는 간단하다. 아무리 가벼운 사고라고 해도 배터리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는 조금이라도 손상되는 순간 단락의 발생 가능성 존재하게 된다. 문제는 이를 운전자가 맨눈으로 확인하기엔 큰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이다. 사고가 난 이후 전문가에게 배터리를 점검받기만 해도 화재 발생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이다.

깊은 물구덩이 주행 후
시동 전 차량 점검 진행

전기차 배터리 화재 대비법 둘. 다소 깊은 물구덩이 위를 주행했을 경우, 이후 시동을 걸기 전 차량을 점검받는 것이다. 대부분의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가 차량 하부에 자리한다. 이는 물구덩이 위를 주행할 경우 언제든 배터리 쪽으로 물이 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터리에 물이 튀었거나 물기가 남은 상태로 시동을 걸 경우, 합선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문제는 이 역시 운전자의 맨눈으로는 정확한 확인이 어렵다는 점이다. 단순한 빗길 주행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본인이 조금 깊은 물 속을 주행했다면, 재시동을 걸기 전 꼭 전문가에게 점검받도록 하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바로 소방서에 신고해야

마지막은 화재 대처법이다. 만약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했다면 직접 불을 끄려고 하지 말고 바로 소방서에 신고를 하도록 하자. 전기차 화재의 경우 일반적인 방법으로 진압될 가능성이 낮다. 진압이 된다면 다행이겠지만, 비전문가의 섣부른 행동은 오히려 화재를 더 키울 가능성이 있다. 그러니 불이 붙은 순간부터는 전적으로 소방관들에게 진압을 맡겨야한다.

이때 소방관들에게 차량의 상태, 제조사, 모델명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공유할 필요가 있다.
전기차의 경우 제조사, 모델에 따라 고전압 전선, 배터리 위치 등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1

300

댓글1

  • ㅇㅇ

    그냥 사지말아야지 저딴걸 번거롭게 머하러

[뉴스] 랭킹 뉴스

  • "모르면 가만히 있어라" 안철수가 일침 날린 이재명 AI공약 내용
  • “파면 결정은 정치적인 선택이었다” 주장한 종교 집단, 어디일까?
  • "윤석열 5년 뒤 대선 반드시 나온다" 전광훈 충격 발언에 쏟아진 반응
  • 법원에서 모두 '문재인 때문'이라고 말한 윤석열, 내용 보니..
  • “국민참여 재판은 싫다" 윤석열이 첫 재판서 꺼낸 말
  • “이재용보다 더?” 전설의 ‘증권가 연봉킹’...얼마나 받냐면

추천 뉴스

  • 1
    층간소음보다 더 괴롭다는 '이것'...잠 못 들게 하는 공해, 무엇일까?

    사건사고 

  • 2
    "이건희가 직접 들렀다"... 삼성이 가진 모든 걸 쏟아부은 이 아파트

    기획특집 

  • 3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정부가 개발 시작했다는 열차의 정체

    국제 

  • 4
    "최대 51만 원 오른다" '패닉 바잉' 소비자들 몰렸다는 '이곳'

    오피니언 

  • 5
    "한 사람 빠졌을 뿐인데"...삼성전자 내부에서 터져나온 말들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신입 월급이 1400만 원?" AI 업계 '채용 경쟁' 불타는 이유

    기획특집 

  • 2
    "폭락장인데" 개인투자자 매수 늘어나...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오피니언 

  • 3
    "몸값만 11조" 매각설 도는 카카오엔터, 현재 상황

    기획특집 

  • 4
    "오리고기인 줄 알고 먹었더니…" 줄 서던 맛집의 충격적 진실

    사건사고 

  • 5
    투자자들이 관심 가진다는 '알짜 상가' 지역 어딘지 봤더니

    오피니언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