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헌법재판소(헌재)를 중심으로 경비 태세가 강화되면서 일대가 혼란을 빚고 있다. 이는 2일 도로 통행이 통제되고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이 폐쇄됐기 때문이다.
덧붙여 이날부터 인근의 상점이 문을 닫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시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다만, 시민들 사이에서 헌재 앞을 통제하는 현 상황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앞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일이 확정되자 장기간 이어진 집회·시위로 매출 하락을 겪은 헌법재판소 인근 상인들은 가슴을 쓸어내리기도 했다. 이는 선고 당일 혼잡과 안전 문제로 인해 불가피하게 문을 닫아야 하지만, 앞서 기약 없이 이어지던 집회·시위의 마침표를 찍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경찰의 통제에 대해 불편함을 호소하는 시민들 역시 다수였다. 한 시민은 경찰을 향해 “출근은 해야 하지 않겠냐?”, “병원에 가야 하는데 왜 길을 막냐“와 같은 반응을 보였다.
그런데도 대부분의 시민은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된다면 충분히 감수할 수 있다”라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인근 상인들의 입장과 비슷한 관점에서 나온 반응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많은 시민들이”서로 분열하고 혐오하는 상황을 끝낼 수만 있다면 하루 정도 불편한 것은 감수할 수 있다.“리고 입을 모았다. 앞서 헌재는 지난 1일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을 오는 4일로 지정한 바 있다.
이는 탄핵소추안이 지난해 12월14일 국회에서 국회의원 재적 300명 중 204명이 찬성하며 가결된 이후 111일만, 변론기일 절차 종료 이후 38일 만으로 알려졌다. 이에 경찰청은 비상사태에, 대비에 전국에 갑호 비상을 발령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헌재가 있는 서울은 210개 기동대 경력 1만 4,000여 명이 집중적으로 배치될 전망이다. 이날 헌재 탄핵 선고 전후 폭력 사태에는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오는 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리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에 시민들의 방청 열기가 뜨거운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헌재는 선고일을 발표하면서 오후 4시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방청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다만, 현재는 접속이 폭주해 상당한 시간을 기다려야 신청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상황으로 확인됐다. 2일 오후 5시 기준 방청을 위해 대기 중인 인원은 약 3만 4,000명에 달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