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총생산 4위지만 미분양 무덤이죠” 상황 심각하다는 지역

박신영 기자 조회수  

경기도, 미분양 상승폭 가장 높아
경기도 내 미분양 상승폭 평택 1위
평택시, GRDP 도내 4위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뉴스 1

경기 평택시 지역내총생산(GRDP)이 40조 원을 초과하면서 전국 4위를 달성한 가운데 평택시가 경기도 내 미분양 상승폭 1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미분양 물량을 보유한 지역은 경기도인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미분양 물량은 7만 173가구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6만 2,489가구였던 전년(2023년) 같은 기간 대비 7,684가구 상승한 수치다. 전국의 미분양 물량 중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미분양 상승폭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출처 : 뉴스 1

경기도의 미분양 물량은 2023년 5,803가구에서 지난해 1만 2,954가구로 7,151가구가 증가했다. 해당 수치는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미분양 상승폭이며,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2,000가구 이상 증가한 것은 경기도밖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 미분양 상승률을 살펴보면 경기 남부 지역의 중심으로 미분양이 증가했으며, 이에 반해 북부 지역은 비교적 미분양을 잘 해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내에서는 평택시의 미분양 상승폭이 가장 컸다. 지난 2023년 430가구였던 미분양 물량이 지난해 4,071가구로 조사되며 3,641가구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평택은 최근 미분양 관리 지역으로 지정되며 신규 공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에 올해에는 미분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어 이천 1,908가구, 오산 994가구, 광주 676가구, 광명 356가구 등 한강 이남 지역들이 차지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미분양 감소폭을 보인 지역은 의정부인 것으로 드러났다.

출처 : 뉴스 1

2023년 말 896가구였던 의정부의 미분양은 지난해 말 540가구로 356가구가 감소해 전국에서 미분양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의정부는 지난해 총 5개 단지, 1,178가구가 신규 분양해 5개 단지 모두 1순위 청약에서 1배수를 채우지 못하는 수치를 보였다. 하지만 이후 꾸준히 계약을 성사하며 미분양 물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전해진다.

의정부와 인접한 양주 역시 941가구에서 730가구로 211가구가 줄어 전국에서 3번째로 미분양이 많이 줄어들었다.

의정부와 양주를 포함해 김포 314가구, 화성 130가구, 연천 91가구, 용인 72가구, 동두천 41가구, 남양주 36가구, 성남 29가구 등의 순서로 미분양이 감소했다.

출처 : 뉴스 1

평택시의 지역 내 총생산은 부동산 상황과 반대로 높게 나타났다. GRDP란 일정 기간 일정 지역에서 창출된 최종 생산물 가치의 합을 뜻하는 경제지표를 의미하며, 각 도시의 경제구조나 규모를 파악할 때 사용된다.

경기도 평택시의 지역내총생산이 40조 원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수치다.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도내 2위를 차지하며 높은 수준을 자랑했다.

국가통계포털의 ‘경기도 시군 단위 GRDP’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경기도의 명목 GRDP는 587조 3,285억 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화성시 95조 1,507억 원, 성남시 56조 5,855억 원, 수원시 40조 9,588억 원, 평택시 40조 9,016억 원, 용인시 37조 6,595억 원 등의 순서로 높았다.

출처 : 뉴스 1

한편, 평택시의 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파악된다, 팽성에서 포승을 잇는 평택호 횡단 도로 전체 구간을 공사가 19년 만에 준공되었기 때문이다.

시는 26일 평택호 횡단 도로 준공식을 열고 평택호 횡단 도로가 총연장 11.69㎞ 규모의 왕복 4차로라고 전했다. 해당 사업에는 총 3,127억 원(국비 2,667억, 도비 15억, 시비 445억) 수준의 사업비가 사용됐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평택호 횡단 도로의 개통으로 평택은 물론, 경기 남부 지역의 차량 흐름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이를 통해 지역 간 교류가 확대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이야기했다.

author-img
박신영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주택청약 모르면 치매환자” 막말 논란 끊이지 않았던 윤석열 화법, 살펴보니..
  • 결국 정치 관련 글 모두 내린 전한길...”슬슬 발 빼기 시동“
  • "국민의 힘 탈당하겠다" 무소속으로 대선 나오겠다는 황교안
  • 홍준표 과거 발언에 이재명 ‘웃참’...온라인서 화제된 사진 한 장
  • "미친 것 아니냐" 오늘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분노한 이유
  • ”이재명 안 부른다“ 거듭되는 불출석에 대장동 재판부가 밝힌 입장

추천 뉴스

  • 1
    "백종원 만나게 해줄게" 여성 면접자 술자리 부른 더본코리아 직원

    뉴스 

  • 2
    "11위에서 39위로 뚝" 한국 여권 파워 곤두박질 친 이유

    뉴스 

  • 3
    "전국에서 상승률 가장 높아" 일주일 새 2억 상승한 지역, 어디일까?

    기획특집 

  • 4
    EBS 사장 임명 집행정지 인용...제동걸린 신동호 체제 근황

    뉴스 

  • 5
    ”이재명 안 부른다“ 거듭되는 불출석에 대장동 재판부가 밝힌 입장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여기 사볼까"... 갭투자자들이 주목한 지역, 어디일까?

    오피니언 

  • 2
    "지난해 매출 4조" '가성비' 다이소 창업 비용 알아봤더니...

    뉴스 

  • 3
    7년 만에 ‘650억’ 뛰었다는 빅뱅 대성 빌딩, 현재 가치는?

    뉴스 

  • 4
    “몰락한 올림픽 영웅” 희대의 불륜남으로 추락한 운동선수, 지금은?

    오피니언 

  • 5
    ‘벚꽃 연금'으로 건물까지... 51억 오른 장범준 건물의 위치, 어디일까?

    기획특집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