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대한민국에서 워라밸 가장 좋은 도시는 ‘세종’…그렇다면 꼴찌는?

서수현 기자 조회수  

고용부 ‘2023년 일·생활 균형 지수’ 발표
전국 17개 광역시도 5개 영역 25개 지표로 평가
세종시,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율 높아” 1위 차지

우리나라에서 워라밸 가장 좋은 도시는 “세종”...그렇다면 꼴찌는?
출처 : 뉴스 1

고용노동부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발표했다. 고용노동부는 2017년부터 전국 17개 광역 시도의 일·생활 균형 지수를 발표해 왔다. 일·생활 균형 지수는 5개 영역 25개 지표를 통해 산출된다.

생활(남성 가사 노동 시간 비중·여가 등), 제도(육아휴직·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제 등 제도 활용), 일(근로 시간·유연근무제 도입률 등), 지자체 관심도(일·생활 균형 조례 유무 등), 가점(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활성화) 등이 평가 영역이며 가점 항목은 이번 조사부터 새롭게 포함됐다.

우리나라에서 워라밸 가장 좋은 도시는 “세종”...그렇다면 꼴찌는?
출처 : 뉴스 1

전체 평균은 전년(58.7점)보다 2.1점 상승한 60.8점(가점 제외)이다. 모든 지역에서 ‘일’ 영역 점수가 0.5점 증가했다. 근로 시간이 감소하고 초과근로 감소(12곳), 휴가 사용기간 증가(10곳), 유연근무 도입 증가(10곳) 등이 나타난 결과다. ‘지자체 관심도’ 영역 점수도 1.4점 증가했다. 일·생활 균형 관련 홍보·교육·컨설팅 경험 사업체 비율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가점을 포함할 경우 인천, 충남, 경기 순으로 높았지만, 가점을 제외한 순위는 세종, 인천, 대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위를 기록한 세종(전년 3위)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율과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사용 중소 사업체 비율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 워라밸 가장 좋은 도시는 “세종”...그렇다면 꼴찌는?
출처 : 뉴스 1

이를 통해 ‘제도’ 영역 2위, ‘지자체 관심도’ 1위를 기록했다. 2위를 차지한 곳은 인천으로 지난해 9위를 기록한 것 대비 점수 및 등수가 7위로 크게 올랐다. 일·생활 균형 관련 신규 조례를 제정해 ‘지자체 관심도’ 영역 점수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제주는 일·생활 균형 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밝혀졌다. 제주도는 일·생활 균형 지수에서 최하위 점수인 49.1점을 기록했다. 이는 주요 지표인 ‘초과근로 감소’와 ‘휴가 사용 기간 증가’에서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개선 폭을 보인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육아휴직과 근로 시간 단축 사용률이 낮아 ‘제도’ 영역 점수에서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 워라밸 가장 좋은 도시는 “세종”...그렇다면 꼴찌는?
출처 : 뉴스 1

제주 다음으로 점수가 낮았던 도시는 대구, 경북이었다. 지난해 1, 2위였던 서울과 부산 지역 역시 지자체 관심도 지표에서 점수가 대폭 하락해 각각 9, 10위로 밀려났다. 고용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자체의 일·생활 균형 제도 홍보나 교육, 컨설팅 등에 관한 실태조사에서 응답률이 하락해 점수가 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점 항목으로 올해부터 처음 포함된 부분인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활성화 영역에서는 서울, 부산 지역은 만점을 받았지만, 제주, 강원, 대구는 이 항목 점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워라밸 가장 좋은 도시는 “세종”...그렇다면 꼴찌는?
출처 : 뉴스 1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일‧생활 균형은 우리나라에서 최근 문제인 저출생과도 관련이 있다”며 “정부는 내년 육아휴직 급여를 대폭 인상하고 유연근무 지원 확대 등을 준비하고 있고 앞으로 일‧생활 균형 지원을 더욱 강화해 살기 좋은 대한민국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네티즌들은 이에 대해 “실제 육아와 일을 병행할 때 일·생활 균형이 좋은 것이 중요한 것 같다.”, “관광 지역인 제주의 일·생활 균형 개선이 필요하다.”라며 다양한 의견을 내비치고 있다.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3,000만 명 국민 앱' 만들었던 청년, 근황 전했습니다
  •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 "비호감도 높은데..." 대선 출마 자격 얻었다는 이준석, 현재 상황
  • “정신 못 차렸네” 13조 혈세 투입된 신공항 사업, 충격입니다

추천 뉴스

  • 1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2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 3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 4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 5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지금 뜨는 뉴스

  • 1
    "5월 2일 임시공휴일 확정?" 만우절 가짜뉴스 피해주의보

    뉴스 

  • 2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에 외교부가 내린 결단

    뉴스 

  • 3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 4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국제 

  • 5
    "비호감도 높은데..." 대선 출마 자격 얻었다는 이준석, 현재 상황

    오피니언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