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수현 기자 (84 Posts)
-
“59년 만에 1조 달러 달성 쾌거…이곳 덕분이었죠” 한국 건설 기업이 해외 건설 시장에서 수주한 누적 금액이 1조 달러(약 1,468조 원)를 넘어섰다. 이는 한국 건설 산업의 세계적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으로 1965년 현대건설이 태국 고속도로 건설 공사를 수주한 지 59년 만에 이룬 성과로 쾌거를 이루어 냈다.
-
“1,000만 고객이 눈앞이다” 업계 1위 배민 넘보는 곳의 정체 쿠팡은 ‘로켓배송’을 통해 당일 및 새벽 배송을 일상화하며 충성도 높은 고객층을 확보한 데 이어 멤버십 회원을 대상으로 쿠팡이츠의 ‘무료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로 인해 업계 1위인 '배달의민족'(배민)을 위협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
‘직무유기 수준’이던 낡은 주거법, 변경 소식에 ‘기대감 솔솔’ 국민 주거기준 현실화 법안은 주거환경의 지표가 되는 ‘주거기준’의 타당성을 주기적으로 검토하도록 만들어 시간과 환경에 따라 바뀌는 가구 특성과 주거 형태를 반영할 수 있게 하도록 마련됐다. 2004년 처음 정해진 최저주거기준 면적은 1인 가구일 때 12㎡(약 3.6평)였다.
-
다리 절뚝이면서도 ’우승 퀸‘자리 차지한 안세영...김택규는 ’죽상‘ 앞서 ‘2024 파리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이름을 알린 안세영(삼성생명)이 배드민턴 세계 최고 권위 대회인 전영 오픈 정상에 오른 가운데 그와 마찰을 빚었던 김택규 전 대한배드민턴협회장의 행보가 엇갈려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
“무리한 사업 확장이 화근이었죠”...몰락한 대통령 사돈 그룹, 어디? 동아원그룹은 호남제분을 중심으로 1956년에 창업주 이용구 회장이 설립했다. 이용구 창업주는 20살에 경성고무 대리점을 개업해 17년 동안 경영 경험을 쌓은 후, 1951년 경성고무의 전무로 자리를 옮기며 경영 활동을 시작했다.
-
"방치된 거 아니야?" 북한이 3대째 짓고 있는 105층 건물 반전 근황 북한에는 3대째 짓고 있는 건물이 존재한다. 바로 류경호텔이다. 류경호텔은 1980년대 북한에서 63빌딩에 대적하기 위해 만들어진 체제 선전용 105층짜리 미완공 호텔이다. 첫 완공 예정일은 1989년이었지만, 이후 1992년 4월 15일에 완공으로 계획이 미루어졌다.
-
암호화폐 로비 단체 공식 출범한 리플 ‘SEC’ 소송 딛고 이겨낼까? 7일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가 백악관 암호화폐 서밋에 참석할 예정으로 알려진 가운데 최근 암호화폐 리플(XRP)을 발행하는 리플사가 암호화폐 로비 단체를 공식 출범한 것으로 전해져서 화제다.
-
"서울에서 가장 안 팔린 아파트는 ‘이곳’, 반면 잠·삼·대·청은 ‘날개’?” 전문가들은 이 단지가 1·2단지와의 차별성으로 인해 외면받았다고 분석한다. 1·2단지는 외대앞역과 가까워 역세권 이점을 갖췄지만, 3단지는 도보 15분 거리의 나 홀로 단지다. 게다가 고도제한으로 인해 4층짜리 타운하우스 형태로 지어져 대단지의 장점을 잃었다.
-
“조성모 모델로 세워 사랑받았지만…무리한 사업에 빚더미 앉았죠" 웅진그룹은 1980년에 한국 브리태니커 사원 출신인 윤석금이 설립한 '헤임인터내셔널'을 모태로 시작되었다. 1981년에 '헤임고교학습'을 출시하면서 교육 분야에 진출한 웅진은 1983년에는 '웅진출판(주)'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법인 전환을 했다.
-
“내 사진으로 잠금 해제”...모바일 주민등록증 확대되는데 보안은? 행정안전부가 추진 중인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닌 모바일 기기 내 신분증으로 지난해 말 세종시를 시작으로 일부 지역에서 시범 사업을 진행해 왔다. 이번 달부터는 단계적으로 대상 지역을 확대하고 3월 28일부터 전국적으로 서비스제공된다.
-
사회적 갈등 하나 때문에... “매년 232조 증발한다고요?” 2023년 국무조정실과 단국대학교 분쟁 해결연구센터의 ‘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사회적 갈등 비용은 총 2,326조 60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매년 평균적으로 232조 6,600억 원에 달하는 비용이 들고 있다는 뜻이다.
-
"시험 붙어도 제때 취업 못 한다."… 억대 연봉 옛말이라는 전문 직종 로스쿨 도입 이후 변호사 정원이 급증하면서 법률 시장에 배출되는 신규 변호사 수도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일부 변호사는 ‘일자리를 골라 가는’ 상황에 비해 다른 일부는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현실에 직면하게 됐다. 신규 변호사의 수가 늘어나면서 법률 채용은 경쟁이 치열해졌다.
-
"네이버와 카카오도 합류"... 한경협 회비 수준 살펴보니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과거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시절의 위상을 되찾을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다. 재계에서는 한경협이 '팔부능선'을 넘은 것으로 평가하며 최근 몇 가지 긍정적인 변화들이 한경협의 향후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마냥 쉬는 청년층 42만 명 돌파"...전쟁터 수준인 현실은 처참합니다 제조업과 건설업 경기가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고용시장이 심각한 상황에 부닥쳐 있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당시와 비슷한 수준의 어려움이 고용시장을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월 노동시장 동향이 발표 됐다.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2020년대 중반, 아시아나항공은 심각한 경영난에 빠졌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국제선 수요 급감과 경제적 어려움이 겹치면서 부채가 급증해 자금 부족 문제에 시달리게 된 것이다.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지난 10일 대전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고(故) 김하늘(8) 양 살해 사건의 가해자인 40대 교사 A 씨가 범행 전 인터넷에서 범행 도구와 과거의 살인 사건을 검색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이 사건이 계획범죄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최근 대한민국에서 의대 진학 열풍이 일고 있는 가운데 KAIST(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로 향하는 학생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2025학년도 KAIST 학사과정 지원자는 1만 41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탈핵 선언에 주춤했지만”...15년만에 최고치 기록했죠 지난해 원자력 발전의 비중이 전체 전력 거래량에서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다시 최대 발전원으로 등극했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024년 전체 전력 거래량 54만 9387기가와트시(GWh) 중 원자력은 32.5%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
"고작 한달만에"...효과 없다고 정부가 바로 부활시키는 법안, 뭐길래? 영화관 입장권 부과금 제도가 한 달 만에 부활할 가능성이 커졌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지난 21일 전체 회의에서 '영화 및 비디오물 진흥에 관한 법률'(영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개정안은 영화관 입장권에 부과금을 다시 징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차 사고 손상 환자 21% 65세 이상"... 예방대책 마련된다 자동차 등 운수사고로 인한 손상 환자들 사이에서 고령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13년 4만 1천928명이었던 운수사고 손상 환자 수는 2023년 2만 6천689명으로 10년 동안 약 36%가량 감소했다.
adsupport@fastviewkorea.com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