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연차 공무원 퇴사율↑
“저출산 대책 내놔” 주장해
지자체 개선 대응 나서
최근 저연차 공무원을 중심으로 공직사회를 떠나는 MZ 공무원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 퇴직 공무원이 자신의 퇴사 이유를 밝혀 화제가 됐다. 퇴직 공무원 A 씨는 ‘정부가 일개 지방공무원에게 저출산 대책을 요구했다’라고 주장하며 퇴직한 이유 중 하나를 고백했다.
유튜브 채널 ‘직업의모든것’에는 “나라에서 저출산 대책으로 공무원을 쪼아대면 생기는 일”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해당 영상에는 7급 공무원으로 현직을 근무하다 퇴사를 한 A 씨가 등장했다.
A 씨의 주장에 따르면 정부는 공무원에게 저출산 대책 등의 방안 모색을 강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영상에서 A 씨는 “최근 출산율이 엄청나게 떨어지고 있잖아요”라며 “근데 자꾸 뭘 내래, 지방 조그마한 데서 일하고 있는 공무원이 무슨 대책을 어떻게 내”라며 불만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A 씨는 “내가 어떻게 하라고. 아무리 생각해 봐도 출산율보다 자살률 낮추는 게 먼저인 거 같은데, 그래야 출산율이 올라갈 거 같다”라며 “출산율은 뭐 돈 줘도 안 낳고 이렇게 되는 걸 나보고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 그런데 그런 문서가 쏟아진다”라고 했다.
더하여 이러한 공직사회의 운영 방식에 신규 공무원들이 퇴직한다며 A 씨는 “문서가 쏟아지니 매우 바쁘다”라며 “이러니 신규 공무원들이 그만두는 거다. 답도 안 나오는 거 막 시키니까”라고 했다.
실제 최근 재직 5년 이하 저연차 공무원의 퇴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일 공무원연금공단과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체 지방공무원 퇴직에서 신규임용 공무원의 비율은 지난 2019년 17.1%에서 지난해(2023년) 23.7%까지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더하여 재직 5년 이하 저연차 공무원의 퇴직은 같은 기간 6,500명 수준에서 1만 3,566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5년 만에 저연차 공무원 퇴직이 2배가량 증가한 셈이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연차별로 1~3년 차 공무원이 가장 많이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사회에 처음 들어선 저연차 공무원이 초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퇴직을 결심한 것이다.
지난해(2023년) 1년 미만 연차에서는 3,020명이 퇴사를 선택했으며, 1~3년 차 5,629명, 3~5년 차는 4,917명이 공직사회를 떠났다. 이들이 퇴직을 결심한 이유로 가장 대두되는 문제점은 ‘급여’였다.
올해 9급 초임 공무원이 손에 쥐는 월 급여는 최저임금 수준에도 못 미치는 약 200만 원가량이다. 여기서 세금을 떼고 나면 실제 수령하는 급여는 160여만 원 수준이다. 다만, 각종 수당 등 추가 지급금에 따라 급여가 달라질 수 있다.
더하여 낮은 급여를 비롯해 경직된 공직문화와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역시 저연차 공무원의 퇴사 원인으로 거론된다. 이에 각 지자체는 새내기 공무원들을 달래기 위한 방안을 쏟아내는 상황이다.
실제 대구시의 경우 올해부터 연가 사용 눈치 주기 자제, 인사철 떡 돌리기 자제, 계획에 없는 회식 자제, 비상 연락망 전 직원 공지 자제 등과 같은 ‘4대 근무 혁신 방침’을 밝혔다. 또한 제주시의 경우 10년 이상 근무자에게만 적용했던 장기 재직 휴가(5일)를 5년 이상으로 변경하여 복지제도를 늘렸다.
댓글16
산으로 가는 조직
일하는 놈은 감사만 죽어라 받다가 징계처분
할 수없는 걸 계속 하라고 책임을 떠 넘기니.... 학교도 마찬가지 지금은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지만 교육청에서 일개 담임교사에게 부진아 제로 만들어라. 학교 폭력 없애라. 교육과정 전문가니 해당학교 해당학급 해당학생에게 맞는 교육과정 만들어 맞춤지도하라... 불가능한걸 계속 요구했죠. 물론 헌쪽 귀로 듣고 한쪽 귀로 흘리는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는 별 문제 안되었겠지만....
방통위원장은 연봉 약 1억5천에 직무정지 중에도 일 안해도 월급받고 있는데, 저연차 공무원은 죽어라 일해도 최저시급도 못받으니 문제가 심각하다
앞으로의 가장이 최저 시급도 안되면서 어떻게 살아가나 참 기가찬다 말해 뭐해
사회생활을 하는 앞으로의 가장이 최저 시급도 안되면서 어떻게 살아가나 참 기가찬다 말해 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