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한국 진출 앞둔 중국 BYD 전기차 3종.. 그 정체에 국산차들 초긴장

서윤지 기자 조회수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
BYD 한국 진출 모델 3종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BYD-전기차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 중국 BYD가 올 상반기 국내 전기 승용차 시장에 도전한다. BYD는 2022년 국내 상표 출원과 전기 상용차 출시로 국내 시장 진입을 예고한 바 있다. 올해 드디어 BYD의 전기 승용차 모델들이 출시될 예정이다.

BYD의 국내 시장 진입이 순탄치만은 않을 예정이다. 2024년 전기차 보조금 지원 정책의 변화와 중국산에 대한 인식은 BYD에게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BYD의 국내 진출이 기대되는 이유와 모델들에 대해 함께 알아보자.

BYD-전기차
BYD-전기차

첫 국내 출시 모델 예정
BYD의 대표 아토3

첫 국내 출시 모델은 전기 SUV 아토 3가 유력하다. 아토 3는 지난해 해외에서 10만 대 이상 판매된 BYD의 베스트셀러이자, 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모델이다. 파워트레인은 무난한 성능을 갖고 있으며, 최고 출력 204마력, 최대 토크 31.6k gm을 발휘한다.

아토 3는 60.5kWh 용량의 LFP 배터리가 탑재되어 1회 충전에 WLTP 기준 420km 주행할 수 있다. 아토 3는 디자인 디테일에 고심에 흔적이 보이는 모델이다. 날렵한 헤드램프와 그릴 없이 깔끔한 전면부, 볼륨감을 더해주는 루프 라인과 후면부는 세련미의 끝을 보여준다. 아토 3는 보조금 포함 3천만 원 초반의 가격대를 형성할 예정이다.

테슬라 3보다 럭셔리하다
가성비를 뛰어넘은 BYD 실

‘아이오닉 6보다 반응성 좋고, 테슬라 모델 3보다 럭셔리하다.’ BYD 에 대한 영국 자동차 매체 카메거진의 평가이다. BYD의 중형 전기세단 실은 테슬라 모델 3를 겨냥해 출시한 모델로 가성비를 대표하던 중국 전기차에 럭셔리라는 단어를 이끈 모델이다.

BYD 실의 럭셔리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다. 실은 배터리셀을 하나의 배터리팩으로 만들지 않고 차체 내 여러 곳에 채워 놓은 ‘셀 투 보디’ 기술을 최초로 적용한 모델이다. 또한 중국 기준 최대 주행거리 700km, 최고 출력 530마력의 성능을 갖고 있다. 중형 럭셔리 세단 실은 보조금 포함 3천만 원 중반의 가격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출처 = ‘GS글로벌’

BYD T4K로 알아보는
승용차 시장 성공여부

BYD는 국내 상용차 시장에 이미 진입을 한 상태이다. 국내 출시 모델은 1t 트럭 T4K이다. 2023년 T4K는 연간 판매 목표치 3,000대의 10분의 1 수준인 210대를 판매하는 실망스러운 성적표를 받았다. T4K의 저조한 판매량은 BYD의 국내 성공 여부에 대한 의문부호를 가져오고 있다.

올해 전기차 보조금 지원 변경은 중국 업체들의 국내 시장 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의 국내 시장 진입을 ‘중국 상용 전기차는 저렴한 가격과 적극적인 마케팅 공세로 국내 시장을 공략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중국산 LFP 배터리의 친환경성과 서비스망 접근성을 해결해야 한다’라고 평가했다. 중국 업체들의 ’한국 시장 맞춤형 전략’이 기대되는 바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건강식 아니였어?" 매일 먹는 '이것'에서 1급 발암 물질 나왔다
  • 경기도 점령했다는 中 전기버스, 투입된 지자체 보조금만, 무려...
  • '아시아프린스 장근석' 80평 대저택 공개했다, 어딘지 봤더니...
  • "내 수업은 어떡하라고" 한국인 교수 미국에서 비자 취소당했다
  • ‘1625억’ 잭팟...관세 폭풍 정면으로 뚫었다는 한국 기업
  • "의사하기 싫음 하지 마라" 인력 절벽에 틈새 노리는 직업, 무엇일까?

추천 뉴스

  • 1
    ”반지 말고 이걸?” 이재명이 김혜경에 줬다는 ‘청혼 선물’

    기획특집 

  • 2
    유시민이 "지귀연 절대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이유

    뉴스 

  • 3
    "저런 사람이 대통령을"...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尹 저격했다

    뉴스 

  • 4
    경기도 점령했다는 中 전기버스, 투입된 지자체 보조금만, 무려...

    오피니언 

  • 5
    GTX를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김문수, 교통 정책 보니...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김부선, '무상 연애' 언급한 홍준표에 일침..."돈 줘도 안 만나“

    뉴스 

  • 2
    "주지훈, 랩몬스터 산다" 연소득 가장 높은 '이 아파트’, 어디길래...

    기획특집 

  • 3
    점점 심해지는 '전세의 월세화'...높아진 문턱에 청년들 '울상’

    기획특집 

  • 4
    테슬라 사이버트럭 발로 찼던 남성,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사건사고 

  • 5
    “뚱뚱하면 돈 안 받아요" 관광지에서 진행한 이벤트, 이유 보니..

    뉴스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