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와.. 이거 실화?” 자동차 번호판, 우리가 몰랐던 충격 비밀 드러났다

서윤지 기자 조회수  

자동차에 부착된 번호판
알고 보니 비밀이 있었다?
번호판 속 숨겨진 한가지

자동차-번호판
긴급 자동차(경찰차)의 번호판 교체

여러분들은 자동차 번호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많은 운전자가 그 시절 녹색 번호판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해당 번호판은 1973년 자동차 관리법 개정을 통하면서 등장한 번호판으로 초록색 바탕에 하얀색 글자로 지역명과 차종 기호, 용도 기호, 일련번호를 표기했고, 이후 1996년부터는 앞자리 숫자를 두 자리 숫자로 늘린 번호판이 등장했다.

2004년부터는 지역 감정을 해소한다는 취지로 번호판에서 지역명이 지워지게 됐다.
이후 2006년 다시 한 번의 개정을 거쳐 현재 사용되는 형태의 번호판을 갖추게 됐다. 그런데 여기, 운전자 대다수가 모르는 자동차 번호판의 비밀이 하나 있다고 한다. 이번 시간에는 자동차 번호판에 숨은 비밀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동차-번호판
자동차-번호판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자동차 번호판의 의미

자동차 번호판은 크게 앞자리 숫자, 중간 문자, 뒷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앞자리 숫자의 경우 차량 종류 나타내며 뒷자리 숫자의 경우 큰 의미가 없는 임의의 일련번호라 보면 된다. 중간 문자의 경우 번호판 색상과 함꼐 영업용 차량, 택배 차량, 렌터카, 사업용 차량, 친환경용 차량 등 차량의 용도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택시와 버스 및 택배 그리고 렌터카이다.
택시와 버스의 경우 중간 문자가 ‘아, 바, 사, 자’로, 택배의 경우 ‘배’, 렌터카의 경우 ‘허, 하, 호’를 사용한다. 이외의 비사업용 차량의 경우 ‘가,나, 다, 라, 마’를 포함한 총 32개의 문자를 자유로이 사용한다.

긴급 자동차 번호판
이런 비밀 숨어있었다

지난 2021년엔 들어선 자동차 번호판이 정식으로 발급된 누적 차량의 대수가 2,491만 대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변화된 부분이 하나 있으니, 바로 앞자리 숫자가 3자리인 번호판이 등장한 것이다. 이는 자연스레 긴급자동차 번호판에 숨겨진 비밀과 연결된다.

지난해 6월에는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화재 발생 긴급 자동차 전용 번호판 설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긴급 자동차 전용 번호판은 차량 앞자리가 ‘998’ ‘999’로 시작하며, 부착할 경우 별도의 절차가 필요 없이 주차장 무인 차단기를 자동 통과할 수 있다.

“우와 이런 비밀이?”
네티즌 댓글 이어져

자동차 번호판에 숨겨진 비밀을 접한 국내 네티즌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이들은 “와 자동차 번호판에 이런 규칙이 있었군요”, “아빠사자(아바사자)는 들어봤는데 렌터카는 처음 들어보네” 등 놀라움의 반응을 보였다.

또한, “구급차 번호판 바뀐 거 좋네요”, “앞으로 자주 이런 지식 전달이 이루어지면 좋겠어요”, “이번에 바뀐 번호판 멋지더라” 등 다양한 댓글이 달렸다.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4

300

댓글4

  • 번호판

    자동차 번호판 녹이슬지 않는 알루미늄 판자 차보다 비싸보여

  • 쓸데없다 생각하면 안보면 됨

  • 이런 쓸데도없고 의미도 없는거 적으면서 시간때울거같으면 그냥 근처 공원이 가서 무료급식소에 재료 부족으로 굶는 노숙자들 숫자나 알아보고 정부나 반단체에 지원부탁바란다고 적는게 더 의미 있겟소!!

  • 기레가 이것도 기사라고 찌끄리냐

[오피니언] 랭킹 뉴스

  • "지금이 기회" 모건스탠리 최고 투자책임자가 전한 주식 투자 조언 내용
  • "급매물이 갑자기..." 대통령실 옮긴다더니 난리 난 세종시 상황
  • “10명 중 7명 노인” 이부진과 현대건설이 주목하고 있다는 새로운 사업
  • “한남동 아니죠” 尹 파면 여파·시위로 몸살 앓고 있다는 지역
  • "강남에 사는데 월 10만 원" 첫 입주자 모집에 나선 '이것', 무엇일까?
  • "350억 규모" 금융사고 발생한 하나은행, 원인 뭔지 봤더니...

추천 뉴스

  • 1
    "친구 자가야, 전세야?" 주거 형태로 차별 생긴다는 현재 상황

    오피니언 

  • 2
    매출 4조 원 기록한 다이소의 효자 사업, 이거였다

    기획특집 

  • 3
    "금액만 2500억" 대형 은행도 속였다는 20대 CEO, 누구길래?

    오피니언 

  • 4
    “복귀 시한 넘기면”... 의대 학장들이 의대생들에게 날린 경고 내용

    사건사고 

  • 5
    "홍라희 1466억 2위" 지난해 대기업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미아리 텍사스촌' 사라지는데 웃지 못하는 사람들

    기획특집 

  • 2
    ‘강제추행 피해자 무고 혐의’ 오태완 군수 1심 결과 나왔다

    사건사고 

  • 3
    "이재명이 안 됐으면 좋겠지만..." 보수의 심장 대구, 민심 변하고 있다

    오피니언 

  • 4
    각종 논란 터졌던 백종원, 더본코리아 결국 입장 밝혔다

    사건사고 

  • 5
    ‘폭싹’ 잡으러 왔수다...넷플릭스 공개되자마자 1위한 한국 드라마

    기획특집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