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저녁 식사가…” 6시간 동안 산불 진화한 소방관이 받은 식단 수준

허승연 기자 조회수  

"저녁 식사가..." 6시간 동안 산불 진화한 소방관이 받은 식단 수준

출처: 스레드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인근 지역으로 확산하면서 진화 작업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산불 현장에 투입된 소방관들의 근무 환경이 공개됐다. 현직 소방관 A 씨는 지난 25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에 “오후 2시부터 8시까지 산불 진화한 후 먹은 저녁 식사”라며 식단 사진을 게시했다. 사진 속 식사는 미역국과 밥, 콩자반, 김치로 구성돼 있었으며 모두 일회용 식기에 담겨 있었다. A 씨는 “어딘지는 언급하기 어렵지만 산불 현장에서 보내온 것”이라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힘들게 일하는 분들의 처우가 개선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온라인상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이어졌다. 일부 누리꾼들은 “죄수보다 못한 식사 같다”, “소방관들이 너무 고생이 많다”, “이런 식단이 계속된다면 사기가 저하될 수 있다”, “기부도 중요하지만 소방관 식사부터 챙겨야 한다”는 등의 의견을 남겼다.

"저녁 식사가..." 6시간 동안 산불 진화한 소방관이 받은 식단 수준

출처: 스레드

같은 날 다른 게시글에는 산불 진화 작업을 마친 소방관이 방화복 상의를 벗은 채 야외 주차장에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담겼다. 방화복은 검게 그을려 있었고, 소방관의 얼굴은 붉게 달아오른 상태였다. 또 다른 사진에는 “너무 힘들다. 어떻게 24시간을 버티지. 동료 반장님과 거의 탈진 상태”라는 글과 함께 소방관이 소방차 옆에 누워있는 사진이 올라왔다. 27일 안동 하회마을에서는 대기 중인 소방관들이 김밥 등 간단한 식사로 급하게 끼니를 해결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경기도 남양주에서 온 한 소방관은 “주변이 온통 연기라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 긴장 상태에서 대기했다”며 “주민들이 더 걱정이 많으실 것 같아 괜찮다”고 말했다. 다른 소방관 B 씨도 산불 현장에 투입된 소방차 사진을 공개하며, 동료가 진화 작업 중 위험한 상황을 겪었다고 전했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7일 오후 4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27명, 부상자가 32명이라고 밝혔다. 이 중 경북 의성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23명에 달한다.

author-img
허승연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사건사고] 랭킹 뉴스

  • "실적은 선방했는데..." 연이은 악재에 몸살 앓는 기업 은행 상황
  • 직접 뜯어보니… ‘백종원 사과주스 농약통’ 실체 드러났다
  • “이제 한계 왔다" 나라에서 특혜 내걸어도 사람 안 구해진다는 직업
  • “쇠퇴의 길 걷고 있어” 취업자수 12년 만에 최저치라는 업계 상황
  • 2,000만 원 귀금속 훔친 절도범 붙잡은 결정적 증거, 무엇일까?
  • "파괴의 미학.." 민주당이 공개적으로 비난한 경북도지사 발언

추천 뉴스

  • 1
    “윤 대통령 파면? 기각?... 탄핵 결론, ‘이걸로’ 먼저 알 수 있다

    뉴스 

  • 2
    "집회 구경도 하지마" 대사관이 중국인에게 광화문 가지 말라 한 이유

    국제 

  • 3
    "나도 했는데"... 지브리 프사 저작권 침해될 수도 있다고요?

    뉴스 

  • 4
    "석사 출신인데" 월급 161만 원 준다는 회사, 어디일까?

    국제 

  • 5
    “드디어 선고일 잡혔는데...” 서울 한복판 ‘이곳들’ 통째로 문 닫는다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평당 2억” ‘국민평형’ 역대 최고 금액 기록한 아파트, 어디일까?

    오피니언 

  • 2
    “한남동에 도전장?" 낡았어도 ‘평당 1억’ 찍은 지역, 여기였다

    오피니언 

  • 3
    "3년 만에 7억 수익" ‘재테크 여왕’ 전원주가 모았다는 '이것'

    기획특집 

  • 4
    "월세만 1억 3,000만 원“... BTS 제이홉이 보유 중인 아파트 어디일까?

    뉴스 

  • 5
    한때 ‘젊음의 거리’로 발 디딜 틈 없던 상권...현재 상황 처참합니다

    뉴스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