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들여 폐쇄회로 설치
CCTV 설치 이번이 처음
“선영은 대통령 재산“

헌법재판소가 25일 윤석열 대통령의 심판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부친 고(故) 윤기중 교수의 묘지에 경호처가 예산을 들여 CCTV 등을 설치하고 경찰까지 동원해 모니터링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이목이 쏠리고 있다.
25일 CBS노컷뉴스 보도에 따르면 경호처는 지난 2023년 8월 故 윤 교수가 잠든 경기도에 있는 추모 공원에 CCTV 4대와 경고용 스피커 1개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모 공원은 사설업체가 관리하는 곳으로 전해지며, 공원은 출입구부터 철저히 관리가 이루어지고 곳곳에 사설업체의 CCTV와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다만 윤 교수 묘지 인근에는 애초 있던 것 외에 CCTV가 설치되어 전후좌우 사방을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클래식 음악이 재생되는 다른 기기와 상이하게 이곳에는 경고용 스피커도 배치되어 있다.
업계에 따르면 CCTV와 스피커를 설치하는 데 들어간 예산은 약 1,500만 원으로 드러났다. CCTV 모니터링은 경호처 내 종합상황실과 보안1과 등에서 담당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공원에는 경찰도 동원된 것으로 전해진다.
추모 공원에는 공원 관할 경찰서와 관할 파출소 또한 모니터링 등 묘지 관리에 참여했다. 이에 경호처가 윤 교수의 묘지 근처에 불필요하게 세금을 들여 CCTV 등을 구비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공무 인력까지 동원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통령 직계존속의 묘 경호에 경호처 예산이 동원된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라며 “누구에 의해 어떤 지시로 이뤄졌는지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CCTV 설치한 게 왜 문제야? 어떤 게 과잉 의전 인격? 깔 게 없으니까…. 이런 거로 트집 잡냐?”, “이건 지극히 당연한 거다…. ^^ ;;우리 역사에 권력 정점 부모님 묘소 도굴이나 훼손 사례 없던 것도 아니고….”, “경호처 분들 잘하고 있습니다!!!”등 윤 대통령 옹호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이에 반해 일각에서는 “부정선거로 당선된 자가 온갖 혜택을 다 누리네? ”, “또 세금 낭비하네! 공 돼지”, “경호처 예산 빼야겠다. 돈이 남아돌지?” 등 비판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논란에 정부 관계자는 “선영은 대통령 재산이기도 하고 방화나 도굴 가능성도 있는 곳”이라며 “문재인·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롯한 역대 대통령 선영도 경호처가 보안 관리를 한다”라고 전했다.

다만 경호 인력 규모 등 세부적인 내용과 관련해서는 “경호 보안상 공개할 수 없다”라고 이야기했다. 대통령 선영에 CCTV가 배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사람이 직접 순찰했으며, 역대 정부에서 CCTV가 설치된 이력은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과거에는 사람이 직접 순찰했는데, 이제는 CCTV를 활용해 인력 소모를 줄이려는 목적”이라며 “인력 중심에서 과학 중심으로 경호하자는 차원에서 내부 회의를 통해 (CCTV 설치가) 결정됐다”라고 언급했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자신의 선영이 있는 경북 성주에 사드를 배치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한편, 윤 대통령 측은 야당 주도의 줄 탄핵에 대응하고 부정선거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불가피한’ 계엄이었다고 강조해 왔다.
이에 국회 측은 대통령이 군과 경찰을 동원해 국회와 선관위 등 헌법기관 침탈을 시도했다고 주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변론이 끝나면 재판부는 평의를 개최하고 사건 심리를 실시한다. 전직 대통령들의 사례를 참고해 보면 이번 재판은 선고까지 약 2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