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부끄럽습니다” 위원과 갈등 빈번하더니 인권위 사무총장, 결국…

서윤지 기자 조회수  

인권위 박진 사무총장
SNS 통해 사임 의사 밝혀
“부끄러움 감당 못 해”

"부끄럽습니다" 위원과 갈등 빈번하더니 인권위 사무총장, 결국...
출처: 뉴스1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 사무처를 이끌어온 박진 사무총장이 사임 의사를 밝히며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솔직한 심정을 털어놨다. 박진 사무총장은 지난 2022년 1월에 취임했으며 2년 9개월 만에 사임을 결정했다.

지난 19일 박진 사무총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한 글을 통해 “부끄러움을 감당할 수 없는 나는 퇴장한다”라고 운을 떼며 “인권위에 사직 의사를 전했다. 굿바이 인권위”라고 밝혔다.

안창호 인권위원장이 사직서를 수리하여 박진 사무총장은 인권위 대상 운영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리는 오는 31일까지 근무할 것으로 전해진다.

"부끄럽습니다" 위원과 갈등 빈번하더니 인권위 사무총장, 결국...
출처: 뉴스1

퇴임식은 이보다 앞선 지난 28일 오후 열렸다. 박진 사무총장은 다산인권센터 등 인권 단체 상임활동가 출신의 인권 감수성으로 법률가 출신인 전임 송두환 위원장과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박진 사무총장은 안창호 인권위원장 취임 이후 의사결정 과정에서 김용원·이충상 위원과 사사건건 대립해 온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 지난 9월 6일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김용원·이충상 위원의 의견이 여과 없이 관철되고 무게가 실리기도 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박진 사무총장이 이러한 갈등으로 더는 일 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린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부끄럽습니다" 위원과 갈등 빈번하더니 인권위 사무총장, 결국...
출처: JTBC

사무총장(1급)은 인권위원장의 지휘를 받아 사무처를 관장하고, 소속 직원을 지위·감독하는 업무를 맡는다. 3년 임기인 인권위원장과 러닝메이트처럼 함께 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꼭 사임해야 하는 건 아니다.

박진 사무총장은 직원들에게 우수한 평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인권위 한 직원은 “인권 최후 보루로서 인권위 업무를 수행하는데 좌고우면하지 않았다”라고 했다.

또 다른 직원은 “박진 사무총장은 어려움을 겪는 직원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며 격의 없이 소통해 왔다”라고 전하며 “특히 젊은 여성 직원들이 크게 의지했다”라고 했다.

"부끄럽습니다" 위원과 갈등 빈번하더니 인권위 사무총장, 결국...
출처: 인권위 제공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인권위 직원들의 반응과 달리 김용원 위원은 평소 박진 사무총장에 대해 “송두환 위원장(전 인권위원장)의 호위무사다”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앞서 김용원 위원은 “송두환 위원장이 사무처를 사유화하고 있다”고 비판해 온 바 있다.

김용원 위원과 박진 사무총장은 회의에서 날 선 신경전을 벌인 것으로 전해진다. 김용원 위원이 상임위원회에서 “사무총장 따위가”라는 언사와 함께 박진 사무총장의 즉각 퇴장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불거졌다.

사임 의사를 밝힌 박진 사무총장은 “그동안 인권위에서의 시간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라고 밝히며 “이제 마침표를 찍고 다시금 고유한 박진으로 돌아간다. 제가 떠나더라고 인권위에 대한 관심이 변치 않으시길 바란다”라고 했다.

"부끄럽습니다" 위원과 갈등 빈번하더니 인권위 사무총장, 결국...
본문과 무관한 헬스장/= 뉴스1

한편, 박진 사무총장의 사임에도 인권위는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인권위는 지난 7일 A 스포츠클럽 사장에게 스포츠시설 회원 가입을 희망하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별받지 않도록 정관을 개정하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한 사실을 28일 밝혔다.

앞서 올해 1월 A 스포츠클럽에 단기회원으로 가입하려던 1965년생인 B 씨는 65세가 넘었다는 이유로 거절당한 이후, 나이를 이유로 한 차별이라고 주장하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이에 인권위는 65세 이상 고령자의 스포츠시설 회원 가입을 막는 것은 차별 행위라고 판단하며 A 스포츠클럽에 정관 개정을 요구했다.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2

300

댓글2

  • 1965년생이 65세? 어느 미래의 별에서 온 기사인건가요~

  • 123

    인원위의 변화된 모습을 못봐서~ 범죄자 옹호자의 대표인거죠?

[사건사고] 랭킹 뉴스

  • "우리 땐 더 힘들었지“ IMF와 현재 취업난, 청년들은 더 고통받는다
    "우리 땐 더 힘들었지“ IMF와 현재 취업난, 청년들은 더 고통받는다
  • "여기로 돌아오나..." 윤석열이 살았던 아크로비스타 주민들 반응 보니
  • "대한민국을 위해…" 결국 탄핵 결정된 윤석열, 입장 밝혔다
  • 윤석열 파면 결정되자마자 서버 폭발한 카카오톡, 상황
  • "말하면 돈 준다" 은행들이 포상금 20억 푸는 이유
  • “초저금리 대출도 모자라” 산불 피해 복구에 '3조' 요구한 여당

추천 뉴스

  • 1
    "거부반응도 없었다"... 사람에게 돼지 간 넣자 생긴 일

    국제 

    "거부반응도 없었다"... 사람에게 돼지 간 넣자 생긴 일에 학계 '술렁'
  • 2
    "5060에게 인기 많아" '제2의 인생' 살게 해 준다는 자격증, 무엇일까?

    뉴스 

  • 3
    불확실성 높아진 미국 시장에 개미들 몰리는 투자 종목

    국제 

  • 4
    두 달 만에 '재산 100조' 날아갔다는 일론 머스크, 현재 상황

    국제 

  • 5
    '우유갑 비주얼'로 유명했던 아파트, 현재 얼마나 올랐을까?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국내 최고가 수준 초고급 펜트하우스에 있다는 비밀 공간의 정체

    기획특집 

  • 2
    "150억 투자받았다더니" 정산 지연한 명품 플랫폼, 어디?

    뉴스 

  • 3
    “워크아웃 1호” 재계 21위 올랐던 대기업이 한순간에 몰락한 이유

    기획특집 

  • 4
    "10년 기다렸는데…" 서울시가 막았다는 정몽구 회장의 꿈

    기획특집 

  • 5
    "아직도 배달료 때문에 싸우는 한국" 해외에서는 이렇게 해결했다

    국제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