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혈세 갖고 뭔 짓을.. 제대로 터진 ‘명동 버스 대란’, 네티즌 결국 폭발

임정혁 에디터 조회수  

노선별 대기판 설치에
명동 버스 대란 발발해
피해는 결국 시민의 몫?

명동-버스-대란

서울시는 지난달 27일 ‘명동입구’ 광역버스 정류장에 혼란을 줄이고 버스 이용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노선별 대기판을 도입했다. 하지만 이 정책으로 퇴근길 대혼잡이 빚어지면서 안전이 더욱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했다.

노선별 대기판으로 인한 명동 버스 대란에 출퇴근 광역버스 이용자 불만이 폭주했다.
이 사건으로 오세훈 서울시장은 유튜브 채널 ‘오세훈TV’를 통해 ‘명동 버스 대란 대단히 죄송합니다’라는
영상으로 시민들에 사과의 말을 전했다. 또한 서울시는 9일 만에 노선별 대기판 제도를 중단하게 됐다.

명동-버스-대란
사진 출처 = ‘뉴스1’
명동-버스-대란
사진 출처 = ‘뉴스1’

명동 버스 대란을 불러온
노선별 대기판 운영

명동입구 정류장에는 서울 도심에서 경기도 각 지역으로 가는 29개 노선의 광역버스가 정차한다. 노선별 대기판 운영을 하기 전 이 정류장은 승객들이 바닥에 적힌 노선 번호를 보고 줄을 서 있다가 버스가 정차하면 원하는 버스에 탑승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승객이 많은 퇴근 시간 버스는 반드시 노선 번호 칸에 정차하지 않고 유동적으로 정차했다.

노선별 대기판 제도 운용을 위해 서울시는 2, 3개의 노선을 묶은 13개의 대기판을 1m 간격으로 만들었고, 다른 곳에서는 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버스 정차 장소를 지정했다. 서울시는 이 제도로 인해 안전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사진 출처 = ‘뉴스1’
사진 출처 = ‘뉴스1’

노선별 대기판 운영
무엇이 문제였을까?

이 제도가 시행된 이후 퇴근 시간 명동 입구 정류장에만 1,000여 명이 몰리면서 사람이 오가기 힘들 정도로 사람이 붐비게 됐다. 이 제도에 대해 광역버스 이용자들은 ‘평소의 5분 정도 기다리면 버스를 탈 수 있었는데, 이번 주 들어서는 30분씩 기다려도 잘 오지 않는다’, ‘누가 이런 아이디어를 냈는지 한심할 따름’이라며 혹평을 이어갔다.

이런 일이 벌어진 이유는 두 가지가 존재한다.
첫 번째, 앞 차량이 빠지지 않으면 정차할 수가 없게 되면서, 소위 말하는 차량의 순환이 대폭 느려졌기 때문이다. 두 번째, 설치된 대기판의 간격이 생각보다 좁아 정차 공간 자체가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이유로 도로 위 대기하는 버스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됐고, 최악의 교통 체증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사진 출처 = ‘뉴스1’
사진 출처 = ‘뉴스1’

결국 9일 만에 중지
탁상공론의 최후

결국 서울시는 제도 시행 9일 만인 5일에 노선별 대기판 운영을 중단했다.
서울시는 이날 ‘대기판을 없애고 이달 말까지 유예 기간을 갖기로 했다’며 일부 노선을 다른 정류장으로 옮기고 혼잡도를 낮춘 뒤 시행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해당 정책은 그간 여러 전문가의 비판을 가져왔다.
정류장 안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목적은 이해되지만, 운영 방식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정류장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나 정책이 아니라 광역버스 수에 비해 부족한 시설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다수를 이뤘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관련기사

author-img
임정혁 에디터
content@mobilitytv.co.kr

댓글2

300

댓글2

  • 기자님 급하게 쓰다보니 오타가 너무 많아서 수정하고 싶은데 여기는 수정도 안되나바요??

  • 기자님 주로 자동차기사 쓰시는것 같은데 펙트가 너무 없으시네요 차라리 위에 기사처럼 현대에 스폰받으셔서 G80기사 쓰시면 낳으시걸 같아요 자동차기사 인데 너무 상식적이고 재미가 없어요 차라리 유투브 기사가 재미있습니다

[사건사고] 랭킹 뉴스

  • 뉴진스에 비키니 입힌 크래프톤···성희롱 처벌가능할까?
    뉴진스에 비키니입힌 크래프톤 사용자···성희롱 처벌가능할까?
  • 15년 전 경매에 등장한 ‘충무공 집터’…지금은 어떻게 됐나 봤더니
    15년 전, 경매에 등장해 모두 놀라게했던 ‘충무공 집터’…지금은?
  • 거의 평점 4점인데...유일하게 평점 1.5점인 스타벅스 매장, 이유가?
    거의 평점 4점인데...유일하게 평점 1.5점인 스타벅스 매장, 이유가?
  • “땅바닥에 생닭 그대로”…반복된 위생 논란에 교촌의 대응 수준
    “교촌치킨의 민낯입니다”…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논란의 '사진'
  • "일 왜해요?" 수십억 재산 인증글...알고보니 '3초'만에 조작가능
    "일 왜해요?" 수십억 재산 인증샷...알고보니 '3초'만에 조작가능
  • 만기 출소한 조두순…조두순의 아내는 ‘이 방법’으로 돈 벌었습니다
    "만기 출소한 조두순…그의 아내는 ‘이 방법’으로 돈 벌었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 “불의에 맞서 싸웠는데…” 구하라 죽음 뒤 금고 털이범 몽타주가 공개된 이유
    “불의에 맞서 싸웠는데…” 구하라 죽음 뒤 금고 털이범 몽타주가 공개된 이유
  •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MBTI 추측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MBTI 추측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 대출 금리 가장 낮게 측정된 직업…의사도, 변호사도 아니었다
    대출 금리 가장 낮게 측정된 직업…의사도, 변호사도 아니었다
  •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 “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 올해 中 전고체 배터리 시장 70% 성장 전망
    올해 中 전고체 배터리 시장 70% 성장 전망
  •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 IMF “AI에 탄소세 부과해야”
    IMF “AI에 탄소세 부과해야”
  • 中 태양광 산업 고속 성장세 지속
    中 태양광 산업 고속 성장세 지속
  • 중국 AR/VR 헤드셋 1분기 출하량 37.8% 감소
    중국 AR/VR 헤드셋 1분기 출하량 37.8% 감소
  • 中 반도체 굴기의 현주소…작년 폐업한 기업 1만개 돌파, 23곳은 상장 철회
    中 반도체 굴기의 현주소…작년 폐업한 기업 1만개 돌파, 23곳은 상장 철회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 “불의에 맞서 싸웠는데…” 구하라 죽음 뒤 금고 털이범 몽타주가 공개된 이유
    “불의에 맞서 싸웠는데…” 구하라 죽음 뒤 금고 털이범 몽타주가 공개된 이유
  •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MBTI 추측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MBTI 추측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 대출 금리 가장 낮게 측정된 직업…의사도, 변호사도 아니었다
    대출 금리 가장 낮게 측정된 직업…의사도, 변호사도 아니었다
  •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 “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 올해 中 전고체 배터리 시장 70% 성장 전망
    올해 中 전고체 배터리 시장 70% 성장 전망
  •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 IMF “AI에 탄소세 부과해야”
    IMF “AI에 탄소세 부과해야”
  • 中 태양광 산업 고속 성장세 지속
    中 태양광 산업 고속 성장세 지속
  • 중국 AR/VR 헤드셋 1분기 출하량 37.8% 감소
    중국 AR/VR 헤드셋 1분기 출하량 37.8% 감소
  • 中 반도체 굴기의 현주소…작년 폐업한 기업 1만개 돌파, 23곳은 상장 철회
    中 반도체 굴기의 현주소…작년 폐업한 기업 1만개 돌파, 23곳은 상장 철회

추천 뉴스

  • 1
    무명 개그맨 "직업 바꿨더니 이젠 월 3천만원씩 저축하죠"

    국제 

    직업 바꿔 월 3천 저축한다는 무명 개그맨…직업 바꾼 사연 뭐길래?
  • 2
    코스닥 대신 나스닥 향한 韓기업들…분명한 이유 있었다

    뉴스 

    코스닥 대신 나스닥 상장하는 韓 기업들…대체 왜 이런 결정을?
  • 3
    "배상금이 무려..." 노소영 이혼소송 이겼지만 SK에 '이 건물' 뺏겼다

    오피니언 

    노소영 이혼소송 이겼지만 SK에 '이 건물' 뺏겼다···배상금이 무려
  • 4
    “김호중 소속사 망했다더니”…사명 변경 수순에 업계 ‘발칵’

    뉴스 

    “김호중 소속사 망했다더니”…사명 변경 수순에 업계 ‘발칵’
  • 5
    SK가 138억 투자하고, 젠슨황이 매일 쓴다는 '기술'...한국에 들어온다

    국제 

    SK가 138억 투자하고, 젠슨 황 매일 쓴다는 '기술'...한국에 들어온다

지금 뜨는 뉴스

  • 1
    파업에도 美 투자 결정했던 '현대제철'…2년 지난 지금은?

    기획특집 

  • 2
    “대놓고 사기 치는 수준”…하자 전문가 대동 금지한 건설사 어디?

    오피니언 

  • 3
    집회 현장에서 처음 듣는다는 '무기한 휴진' 선언에 의사들 반응

    뉴스 

  • 4
    신세계 정용진 인사 '칼바람'...새로운 대표 출신 알아보니 '깜짝'

    뉴스 

  • 5
    "공공기관 중 S등급 없다”…평가 수준 ‘낙제점’ 받은 기관은 어디?

    기획특집 

공유하기

2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