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심상치 않다” 강남 집주인마저 ‘비명’ 지른다는데…무슨 일?

한하율 기자 조회수  

강남 아파트 매맷값 하락
서초·송파구도 하락 추세
하반기 시장 침체 우려해

"심상치 않다" 강남 집주인마저 '비명' 지른다는데…무슨 일?
한양아파트/= 온라인커뮤니티

서울 집값의 ‘풍향계’로 불리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소재의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는 가운데 일부 단지에서 직전 거래가 대비 매맷값이 수억 원 이상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부동산 업계는 추가 가격 하락 전망을 내놓으며 시장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2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9월) 30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소재 한양1차 전용면적 49㎡(1층)는 20억 8,000만 원에 손바뀜했다. 이는 직전 거래가인 25억 7,000만 원(7층) 대비 4억 9,000만 원이 하락한 것이다. 수치로 따지자면 23.5% 급락한 셈이다.

"심상치 않다" 강남 집주인마저 '비명' 지른다는데…무슨 일?
타워팰리스/= 다음부동산

같은 달 22일 강남구 도곡동 소재의 타워팰리스 3차 전용 141㎡ 가구는 직전 거래(40억 원) 대비 4억 8,000만 원(12%) 하락하여 35억 2,000만 원에 매매됐다. 이와 같은 하락 거래는 서초·송파구에서도 확인됐다.

지난달(9월) 30일 서초구 서초동 소재의 삼풍아파트 전용 130㎡는 32억 5,000만 원(1층)에 새 주인을 맞았다. 이 아파트 역시 전달 실거래가(36억 원·9층) 대비 3억 5,000만 원 하락했다. 이러한 현상은 10월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달 송파구 가락동 소재의 헬리오시티 전용 84㎡(11층)는 23억 3,000만 원에 거래되며, 지난 9월 기록한 최고가인 24억 3,000만 원 대비 매매가 1억 원이 감소했다.

"심상치 않다" 강남 집주인마저 '비명' 지른다는데…무슨 일?
출처: 뉴스1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매맷값 추가 상승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대해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김인만 소장은 “올해 4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 시장은 가격 급등 피로감을 비롯해 정부의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한 달 평균 매매 건수가 3,000건 내외로, 거래량이 받쳐주지 않아 시장에 매물이 쌓일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 8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609건으로 전월(9,518건) 대비 20% 급감했다. 건수로는 1,909건이 줄어들었으며, 이는 8개월 만의 아파트 거래량 하락 전환이다.

"심상치 않다" 강남 집주인마저 '비명' 지른다는데…무슨 일?
출처: 뉴스1

또한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소재의 매물이 한 달 전과 비교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강남구의 경우 1만 6,059건에서 1만 6,999건으로 한 달 만에 5.8% 매물이 증가했다. 이어 서초구는 1만 2,459건에서 1만 2,756건(2.3%), 송파구는 1만 1,220건에서 1만 2,014건(7.0%)으로 매물이 늘어났다.

이에 대해 광수네복덕방 이광수 대표는 “올해 서울에 가구를 매입하려고 있던 실수요 규모는 정해져 있었다”라며 “이미 살 사람은 다 샀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올해 상반기 일시적으로 실수요가 몰리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실수요가 감소하고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서울 집값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내다봤다.

"심상치 않다" 강남 집주인마저 '비명' 지른다는데…무슨 일?
출처: 뉴스1

부동산 업계 전반이 서울 부동산 매맷값 추가 하락을 전망하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디딤돌 대출 규제를 시행하려고 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디딤돌 대출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서민들을 상대로 주택 구입 자금을 저금리에 빌려주는 상품이다.

실수요자들의 반발에 국토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지난 21일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디딤돌 대출 취급 제한 조치를 잠정 유예하기로 했다.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에 실수요자들은 민원이나 국민 청원을 통해 강하게 저항했다.

author-img
한하율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1

300

댓글1

  • 국어 표기법 점점 이상해진다고 느끼는 일인~~

    예전 표기법 상 였다가 라 적응하는데, 근 10년 세월이 걸렸는데~~ 어느날 갑자기 한자+한글 합성 단어에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이상한 표기법(매맷값, 최솟값, 최댓값 등)이 등장한다. 도대체 언중의 수용도는 고려하지 않고, 누구 맘대로 국어 표기로 장난을 치는 거냐.

[기획특집] 랭킹 뉴스

  • “챗GPT 3만 원은 부담" 사람들이 발견했다는 월 8000원에 쓰는 방법
  • 샤이니 민호가 산 '하정우 고급 주택' 금액만 무려...
  • “교실부터 청와대까지" 졸업사진이 사라지는 뜻밖의 이유
  • 매출 4조 원 기록한 다이소의 효자 사업, 이거였다
  • "홍라희 1466억 2위" 지난해 대기업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 '미아리 텍사스촌' 사라지는데 웃지 못하는 사람들

추천 뉴스

  • 1
    "홍라희 1466억 2위" 지난해 대기업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기획특집 

  • 2
    '미아리 텍사스촌' 사라지는데 웃지 못하는 사람들

    기획특집 

  • 3
    ‘강제추행 피해자 무고 혐의’ 오태완 군수 1심 결과 나왔다

    사건사고 

  • 4
    "이재명이 안 됐으면 좋겠지만..." 보수의 심장 대구, 민심 변하고 있다

    오피니언 

  • 5
    각종 논란 터졌던 백종원, 더본코리아 결국 입장 밝혔다

    사건사고 

지금 뜨는 뉴스

  • 1
    ‘폭싹’ 잡으러 왔수다...넷플릭스 공개되자마자 1위한 한국 드라마

    기획특집 

  • 2
    '슈퍼스타'가 되고 싶었던 재벌, 철강으로 망하다

    오피니언 

  • 3
    활주로에서 비행기 비상문 열어버린 30대 여성, 이유 알고 보니...

    사건사고 

  • 4
    “땅값만 2조” 강남 한복판의 ‘금싸라기’ 땅, 방치되고 있는 이유

    기획특집 

  • 5
    “65세는 너무 빨라요" 한국인이 생각하는 진짜 노인 나이, 몇 살일까?

    기획특집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