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총수 지분율 하락
반면, LG 총수 지분 상승
상속 등 여파로 지분 줄어
최근 10년 새 국내 대기업 오너 일가 보유 지분율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에 따르면 이와 같은 지분율 감소 현상은 경영 상속이 마무리된 그룹에서 확인됐으며, 특히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의 경우 지난해(2023년) 말 지분율이 0.56%로 알려졌다.
18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자산 순위 10대 그룹 가운데 총수를 비롯해 친족을 합친 오너 일가족의 지분율이 지난 2013년 말 평균 3.93%에서 지난해 말 기준 0.55%포인트 낮아지면서 3.38%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총수 지분율의 경우 평균 1.55%에서 0.16%포인트 하락하면서 1.39%로 기록됐다. 친족 지분율의 경우 2.39%에서 0.39%포인트 낮아지면서 2.00%로 집계됐다.
특히 삼성그룹의 경우 오너 일가의 지분율은 지난 2013년 기준 1.25% 수준이었지만, 지난해(2023년) 말 기준 0.23%포인트 떨어지면서 1.02%로 나타났다.
재계에서는 이를 두고 故 이건희 명예회장의 타계 이후 일부 가족이 계열사 지분 상속 과정에서 지분을 처분한 탓으로 풀이했다. 더하여 삼성의 경우 사업 확장 등으로 자본금이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총수 지분으로 비교했을 때 지난 2013년 故 이건희 명예회장의 지분율은 0.69% 수준이었지만, 지난해(2023년) 말 이재용 회장의 지분율은 0.13%포인트 하락하면서 0.56%를 기록했다.
이와 같은 분위기는 대기업 집단 전반에 퍼졌다. 실제 같은 기간 LG그룹의 경우 故 구본무 전 회장의 타계 이후 계열사 상속이 이뤄지면서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3.9%에서 1.65%포인트 감소하면서 2.25%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LG그룹 구광모 회장의 지분율은 지난 2013년 故 구본무 전 회장의 지분율인 1.36%보다 0.36%포인트 증가하여 1.72%로 집계됐다. 반면, 친족 지분율은 계열분리, 상속세 납부 등의 여파로 같은 기간 2.54%에서 2%포인트 넘게 하락하면서 0.53%로 나타났다.
또한 롯데그룹 역시 총수 지분율은 같은 기간 0.05%에서 0.93%로 크게 높아졌지만, 친족 지분율의 경우 2.37%에서 0.46%로 대폭 감소하면서 전체 친족 지분율이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는 롯데그룹이 상속과 형제간 갈등 등에 따른 지분 처분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SK그룹의 경우 총수 보유 지분 일부가 친족에게 증여되면서 총수 지분율이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오너 일가족 전체 지분율은 같은 기간 0.46%에서 0.48% 상승한 모습을 보였다.
한편, 최근 SK그룹의 주가는 19일 15시 45분 기준 149,600원으로 전일 대비 1.15% 증가했지만, SK그룹의 주력 자회사인 SK하이닉스의 경우 전일 대비 6.14% 하락하면서 152,800원에 거래됐다. 이는 최근 반도체 업계의 상황을 금융권에서 부정적으로 해석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