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평균의 10배가 넘는다고요? 시그니엘의 실제 관리비는 이정돕니다”

윤미진 기자 조회수  

입주 유튜버의 관리비 후기
300만 원에서 400만 원 선
전국 평균 관리비 20만 원

"평균의 10배가 넘는다고요? 시그니엘의 실제 관리비는 이정돕니다"
출처: SNS 갈무리

지연♥황재균, 조인성, 김준수 등이 거주하며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불리는 ‘시그니엘’의 높은 관리비를 자랑한다. 시그니엘 관리비는 지난해(2023년) 기준 전국 평균 아파트 관리비보다 10배 이상 차이를 보여 이목이 쏠렸다. 

시그니엘은 지난 2017년도에 지어진 호텔롯데의 최상급 호텔브랜드이자 주거지로 사용된다. 주거지로 사용되는 층은 42층부터 71층으로 알려져 있으며 입주민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 레지던스 카페, 피트니스룸, 실내 골프연습장 등 다양한 편의를 제공한다. 

"평균의 10배가 넘는다고요? 시그니엘의 실제 관리비는 이정돕니다"
출처: 시그니엘 제공

지난 2022년 시그니엘 레지던스는 223가구 모두 분양계약을 마치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당시 꼭대기 층에 위치한 슈퍼 펜트하우스는 370억 원을 돌파하면서 부자들의 ‘그사세’를 보여주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이곳에 거주하는 이들이 시그니엘의 단점이 ‘높은 관리비’라고 지적해서 화제다. 구독자 20만 명을 보유한 한 유튜버 A 씨는 ‘살고 보니 느낀 시그니엘 레지던스 단점 3가지’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이는 한 시청자가 “시그니엘 살면서 느끼는 단점도 있나요?”라는 질문에 답변한 것이다. 

"평균의 10배가 넘는다고요? 시그니엘의 실제 관리비는 이정돕니다"
출처: 유튜브 갈무리

A 씨는 영상에서 “여기 살면서 단점? 월세요”라며 높은 월세가 단점이라고 꼽았다. 관리비와 부가세를 포함한다면 한 달에 3,000만 원 가까이 비용이 들어간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 씨는 “지난달 관리비가 490만 원이 나왔어요”라고 말하며 시그니엘의 높은 관리비를 명세서로 증명했다. 

그러면서 A 씨는 “제가 좀 많이 쓰기는 했다”라며 높은 관리비를 해명했다. 이어 밤 10시 이후엔 배달 음식을 시킬 경우 지하 1층으로 음식을 받아야 한다며 단점을 설명하기도 했다. A 씨에 따르면 시그니엘 레지던스에 거주할 경우 음식을 받기까지 총 4번의 엘리베이터에 탑승해야 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평균의 10배가 넘는다고요? 시그니엘의 실제 관리비는 이정돕니다"
출처: 유튜브 갈무리

또 다른 유튜버 또한 시그니엘의 높은 관리비에 관해 설명하기도 했다. 구독자 2만 명을 보유한 공인중개사 유튜버 B 씨는 ‘상위 1% 주거지 시그니엘 생활비는 과연 얼마일까?’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영상을 통해 B 씨는 “관리비가 3,171,530원 나오셨습니다”라며 해당 아파트 입주민의 관리비를 공개했다. 그러면서 B 씨는 ‘시그니엘 기본 관리비가 얼마예요?’라는 질문에 “평당 2만 5천 원이라고 알고 있지만 2023년도부터 관리비가 조금 더 인상된 것으로 들었다”라고 말했다. 평수가 넓을수록 더욱 높은 관리비를 지급하는 것이다. 하지만 B 씨는 “롯데물산에서 관리비 지원을 해주기도 한다”라고 말하면서 정확한 관리비를 규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평균의 10배가 넘는다고요? 시그니엘의 실제 관리비는 이정돕니다"
출처: 롯데

지난해 부동산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인 ‘직방’에서 8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아파트 거주자의 월평균 관리비는 약 20만 원대로 조사됐다. 10만 원에서 20만 원 미만이 35.9%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20~30만 원의 관리비를 지급하는 이들이 31.0%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직방 조사에 따르면 납부하는 관리비 금액 수준에 대해서 74.9%의 응답자가 ‘비싸다’고 반응했다. 

반면 시그니엘 레지던스의 관리비는 300만 원 이상이지만 많은 이들이 주거를 원하고 있어서 화제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와 관리비 삼백만 원 비싸다”, “나는 20만 원내기도 힘들다”, “진짜 다른 세상이구나”, “왕관의 무게를 견디는 사람들이 사는 곳이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기획특집] 랭킹 뉴스

  • 이재명 대표와 대적할 '국민의 힘' 대선 후보, 누가 있을까?
  • ”보수의 심장 · 민주화의 성지 아니죠“ 현시각 윤석열 선고에 가장 떨고 있는 지역
  • "탄핵 1일 앞두고.." 분위기 살벌하다는 헌법재판소 현재 상황
  • "657만 원 내고 1억 수령했다고..?" 국민연금에 분노한 2030 반응
  • 이부진이 작정하고 뛰어들었던 면세점 사업, 현재 실적 살펴보니...
  • “북한에도 밀렸다고?” 국내선 13년째 1위인데 전 세계 평가 최악인 제품

추천 뉴스

  • 1
    랜드마크 경쟁 나선 지자체에 낭비되는 국민 혈세, 상황 심각합니다

    사건사고 

  • 2
    “여기서 대출이 된다고?” 전국 2500곳 ‘이곳’, 은행 대신 몰린다

    오피니언 

    “여기서 대출이 된다고?”... 전국 2500곳 ‘이곳’, 은행 대신 몰린다
  • 3
    "호가가..." 토허제 폭탄에 인기 폭발이라는 빌라 상황

    뉴스 

  • 4
    ”보수의 심장 · 민주화의 성지 아니죠“ 현시각 윤석열 선고에 가장 떨고 있는 지역

    기획특집 

  • 5
    윤석열이 만약 탄핵된다면...대한민국의 앞날은 이렇게 달라집니다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직원 추락사 이은 한투증권 악재... 결국 금감원, 칼 빼 들었다

    뉴스 

  • 2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일 정해지자 난리나고 있는 "정치 테마주“

    뉴스 

  • 3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 확정된 홍남표 시장, 마지막으로 남긴 말은?

    뉴스 

  • 4
    "원인은 바로…“ 영남, 역대급 산불 피해 진짜 이유 있었다

    뉴스 

  • 5
    "탄핵 되기 전에..." 하야설 퍼지고 있는 윤석열, 내용 보니

    뉴스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