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와.. 이게 불법?” 운전자 98%가 모르는 자동차 깜빡이, 충격적 진실

윤미진 기자 조회수  

내 자동차 방향지시등
잘 모르는 진실 있었다
알고 보면 불법이라는 ‘이것’

자동차-깜빡이
깜빡이 라고 불리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자동차에 달린 수많은 등화류 중 흔히 ‘깜빡이’라고 불리는 방향지시등이 존재한다.
해당 등화류는 차량이 앞으로 주행할 방향을 주변 차량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주행을 하는 안타까운 상황들이 많다.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차선을 바꾸면 도로교통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방향지시등을 키지 않으면 어떠한 처벌을 받는지, 방향지시등은 많고 많은 색 중에 노란색을 이용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자동차-깜빡이
사진 출처 = ‘보배드림’
자동차-깜빡이
사진 출처 = ‘보배드림’

방향지시등 안 켜면?
사고 시 과실 비율 100%

도로교통법 제38조 1항에는 ‘모든 차의 운전자는 좌회전. 우회전. 횡단. 유턴. 서행. 정지 또는 후진을 하거나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진로를 바꾸려고 하는 경우와 회전교차로에 진입하거나 회전교차로에서 진출하는 경우에는 손이나 방향지시기 또는 등화로써 그 행위가 끝날 때까지 신호를 하여야 한다’라고 표기되어 있다.

방향지시등을 켜고 다니지 않다가 경찰에 걸리면 제차 신호 조작 불이행으로 범칙금 3만 원(이륜차의 경우 2만 원)이 부과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도 있겠지만, 방향지시등을 켜고 다니지 않다가 사고가 나면 미점등 차량을 가해자로 규정해 차량 과실 비율이 높게 적용된다고 한다.

사진 출처 = ‘보배드림’
사진출처 = ‘보배드림’

깜빡이, 왜 하필 노란색?
시인성이 뛰어나기 때문

그렇다면 왜 방향지시등은 노란색을 사용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교통법에 황색 또는 호박색(주황색)으로 방향지시등의 색을 설정해야 한다고 표기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노란색 조명은 빛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고 눈의 피로도 낮춰줄 뿐만 아니라 시야 확보에 유리하다는 것이 있다.

우리나라는 교통법상 황색 또는 호박색(주황색)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최근 빨간색 방향지시등을 사용하는 차들이 곳곳에 보여 논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다르게 미국은 방향지시등으로 빨간색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국산 수입차들의 방향지시등은 빨간색인 경우가 많다. 국내 운전자들은 빨간색 방향 지시등에 익숙하지 않아 사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빨간색 깜빡이는 불법?
브레이크 등과 헷갈린다고

한미 FTA 협정은 우리나라에 소량 수출하는 미국 브랜드는 한국의 안전기준을 따로 맞추기 어려운 점을 감안해 한국과 미국의 안전기준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는 예외 조항을 두었다. 따라서 빨간색 방향지시등이 불법은 아니지만, 구매 후 빨간 방향지시등으로 변경하는 것은 당연히 불법이다.

운전 경력 6년 차인 A씨는 언론사 한겨레에 “노란색 방향지시등에 익숙한 상황에서 빨간 깜빡이를 보면 브레이크 등이 고장 난 것인지 정상적인 깜빡이인지 쉽게 인식되지 않아 위험한 상황을 경험했다”라고 말했다. 방향지시등이 빨간색인 차들도 있으니, 국내 운전자들은 이에 유의하여 운전을 해야 할 것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기획특집] 랭킹 뉴스

  • “똘똘한 한 채 앞세우더니...결국 이런 사태가 와버렸습니다”
  • “이재용 아들도 다녔다고...” 슬럼가 이미지 벗고 갭투자 성지된 동네
  • '우유갑 비주얼'로 유명했던 아파트, 현재 얼마나 올랐을까?
  • 국내 최고가 수준 초고급 펜트하우스에 있다는 비밀 공간의 정체
  • “워크아웃 1호” 재계 21위 올랐던 대기업이 한순간에 몰락한 이유
  • "10년 기다렸는데…" 서울시가 막았다는 정몽구 회장의 꿈

추천 뉴스

  • 1
    “똘똘한 한 채 앞세우더니...결국 이런 사태가 와버렸습니다”

    기획특집 

  • 2
    "시장 점유율 고작 0.6%인데..." 야놀자가 ‘전 세계’ 뒤흔든 방법

    국제 

  • 3
    “이재용 아들도 다녔다고...” 슬럼가 이미지 벗고 갭투자 성지된 동네

    기획특집 

  • 4
    "카드 수수료 낮췄더니...누군 웃고, 누군 울었다"

    오피니언 

  • 5
    "같은 중국 시장인데... 애플은 줄이고, 테슬라는 키운다" 진짜 이유는?

    Uncategorized 

지금 뜨는 뉴스

  • 1
    "인구 10만도 안돼" 조선 최대 도시, 이렇게 쇠퇴했습니다

    오피니언 

  • 2
    "신규 금액 5조 달성" 불안한 정세에도 투자 쏟아졌다는 업계

    오피니언 

  • 3
    "아이폰이 333만 원?" 트럼프 관세 폭탄 맞은 애플 상황 심각하다

    국제 

  • 4
    "한국은 끝났다" 2,380만 유튜버가 섬뜩한 경고 날린 이유

    국제 

  • 5
    "거부반응도 없었다"... 사람에게 돼지 간 넣자 생긴 일

    국제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