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킹 가격 인상 결정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
타 브랜드 가격 추가 조정 계획 없음
버거킹은 24일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변동 등으로 인한 제반 비용 증가를 이유로 국내에서 일부 제품의 가격을 평균 1.07%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번 가격 인상은 2023년 3월 이후 22개월 만에 이루어진 조정이다.
주요 메뉴로 유명한 와퍼는 기존 7,100원에서 7,200원으로, 갈릭불고기와퍼는 7,400원에서 7,500원으로 인상된다. 또한 작은 크기로 인기를 끌고 있는 와퍼 주니어는 4,700원에서 4,800원으로, 프렌치프라이는 2,100원에서 2,200원으로 변경된다. 모든 가격 인상 제품의 판매가는 100원씩 오른 것이며 평균 인상률은 1.07%로 책정됐다.
버거킹 관계자는 이번 가격 인상의 배경에 대해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변동으로 인한 원가 부담이 계속해서 커져 왔다”라며 “그동안 가격 인상을 최대한 억제해 왔지만 이제 더 이상 원자재 비용 상승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격 인상은 불가피한 결정이었으며 앞으로도 가격 인상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버거킹의 가격 인상에 대해 다른 햄버거 프랜차이즈들은 아직 가격 조정에 대한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맥도날드와 롯데리아 등은 현재로서는 가격 인상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근접하고 원자재와 물류비 등이 급등한 상황에서 다른 버거 프랜차이즈들이 추후 가격 인상을 고려할 가능성은 높은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5월에 맥도날드는 제품 가격을 평균 2.8% 인상했으며 8월에는 롯데리아가 평균 2.2% 올렸고 10월에는 맘스터치가 300원씩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국내 외식업계 전반에서 물가 상승 압박을 강하게 느끼게 만든다.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 물류비 인상, 환율 상승 등은 외식업체들이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0.3% 상승했으며 농축산물 등 먹거리 물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농림수산식품 생산자물가는 한 달 만에 2.8% 급등했으며 특히 감귤, 무, 닭고기 등 서민들이 주로 구매하는 식품들이 가격 상승을 겪었다.
원자재 가격 인상, 물류비 상승, 원·달러 환율의 변동 등은 국내 공급 물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생산자물가는 물론 수입 물가도 크게 올랐다. 이에 따라 외식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버거킹의 가격 인상 발표에 대해 네티즌들은 다양한 반응을 내비치고 있다. 일부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변동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이해하며 인상된 가격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지 않았다. 한 네티즌은 “원자재 가격이 올라갔다면 어쩔 수 없지. 물가도 계속 오르고 있는데 외식업체들이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라고 말하며 가격 인상의 불가피성을 인정했다.
반면 다른 네티즌들은 가격 인상에 불만을 제기하며 소비자 입장에서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했다. 한 네티즌은 “100원씩 인상된다고 해도 결국 자주 가는 곳은 아닌데, 자주 가는 사람들에겐 정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 가격 인상이 경제적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