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한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안전 문제와 함께 재건 시장 규모가 당초 전망보다 축소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병하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정부 대표는 오는 4월 2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릴 예정인 ‘우크라이나 공여자 플랫폼(UDP)’ 제13차 운영위원회에 참석할 계획이다. 다만 최근 러시아의 키이우 공습이 강화되면서, 회의 참석 여부를 확정하지 못한 국가와 기관이 다수이며, 회의 안건조차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민간 기업들과 재건 사업 가능성을 논의 중이지만, 구체적인 추진 일정은 밝히지 않고 있다. 무역협회가 우크라이나 상공회의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다는 평가도 있다.
당초 우크라이나 정부는 재건 비용이 9,000억 달러(약 1,3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으나, 세계은행은 지난 2월 이를 5,240억 달러(약 768조 원)로 추산했다. 특히,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우크라이나 비점령 지역의 직접 피해액이 전체의 절반 수준인 895억 달러라고 분석했다. 향후 러시아가 점령지를 편입할 경우, 한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재건 시장은 더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의 국가 신용등급이 디폴트 수준까지 하락했고, 전쟁 장기화로 국제 원조 의존도가 높아진 점도 변수다. 한국 정부의 우크라이나 지원 규모는 주요국에 비해 작아, 수주 가능성 역시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이 재건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선 수익성 검토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