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계엄 때문에 월급이 줄었습니다…이건 누가 책임지나요?”

한하율 기자 조회수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환율, 증시 등 금융시장 불안정
환율 상승분만큼 월급 줄어들어

“계엄 때문에 월급이 줄었습니다...이건 누가 책임지나요?”
출처 : 뉴스 1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촉발된 정치적 대혼란이 장기화하면서 환율, 증시 등 금융시장 불안정으로 인한 국민적 피해가 천문학적금액으로 늘어나고 있어서 충격이다.

특히 위태로운 국내 정치 상황으로 해외 거래에서 한국 기업에 대한 국가리스크 프리미엄이 붙어 파생상품 손실부터 자영업 침체 등 전방위 피해가 관측되고 있다. 즉, 대통령의 반헌법적 계엄선포로 인해 사회·경제적 비용을 국민이 대신 지급하고 있는 모양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일 종가 기준 코스피 지수는 2428.16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있기 전인 3일 종가(2500.10) 대비 71.94포인트(2.8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3일 코스피 시가총액 2,046조 2,610억 원에서 6일 1,988조 5,100억 원으로 떨어지며 사흘 새 약 58조 원이 증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계엄 때문에 월급이 줄었습니다...이건 누가 책임지나요?”
출처 : 뉴스 1

또한, 그동안 1억 3,000만 원 선을 유지하던 비트코인은 계엄 선포 이후 1시간도 되지 않아 국내 거래소에서만 8,000만 원대까지 급격히 하락했다. 특히 ‘계엄 쇼크’로 가상자산 가격이 급락하는 가운데 일부 거래소에서 이용자 접속이 막히는 사고까지 벌어지며 시스템이 마비되기도 했다.

다만, 코인 가격이 다시 오르고 시장이 안정화했지만, 매도 실패에 따른 투자자 피해가 걷잡을 수 없는 수준까지 커질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이어 정국 불안으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한때 1,446원까지 치솟았다가 현재는 1,420원대로 내려왔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인다. 이에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환율 변동성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계엄 때문에 월급이 줄었습니다...이건 누가 책임지나요?”
출처 : 뉴스 1

특히 국내 대형 항공사는 항공기의 절반을, 저비용항공사는 항공기 대부분을 임차해서 운영하기에 대규모 리스비가 발생하고 있으며 매출 원가의 30%가량을 연료비로 지출하고 있어 피해가 막대하다. 이는 해당 비용을 모두 달러로 지출하기 때문에 환율이 오르면 고정비용 부담이 많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수출 위주의 산업은 환율이 오르면 매출이 증가하지만, 원자재 구매, 해외 설비투자 비용 역시 늘어나 중장기적으로는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조원 단위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국내 배터리 업체로서는 환율 상승에 따라 투자 비용 지출이 급증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업종에 따라 달러로 원자재를 수입해 엔화와 위안화, 유로 등 다른 통화로 수출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환율 변동성에 더욱 심하게 노출되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환율 상황은 너무 급변동하고 예측 불허의 방향성을 보인다”라며 “우리 기업과 금융사들이 환위험 관리에 많은 지출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출처 : 뉴스 1

더하여 해외 주재원들의 경우 원화로 월급을 받아 현지 통화로 바꿔 쓰고 있는데 급격한 환율 상승으로 인해 월급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에 따르면 주재원들은 매달 특정일의 원화 가치를 기준으로 월급을 산정하는 구조라 어떤 경우든 손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한 주재원은 “대통령이 비상계엄 발표하고 딱 1시간 30분 만에 원·즈워티(폴란드 통화) 환율이 2.5%나 튀었다”라며 “원화로 월급을 받아서 현지 통화로 바꿔 쓰고 있는데 전 직원이 침통해 있다”라고 토로했다.

한편, 1년 중 최대 성수기로 알려진 크리스마스가 다가옴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자, 유통업계, 숙박업계는 모두 계엄령으로 인한 폭탄을 맞았다. 특히 단체 예약이 빠지고, 숙박 예약이 줄줄이 취소되는 등 개인의 삶에 전가된 계엄 비용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출처 : 뉴스 1

이는 최근 내수가 얼어붙어 다시 경제가 침체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상계엄 선포가 겹치면서 그나마 기대하고 있던 연말 특수를 바라볼 수 없게 된 것이다. 이어 탄핵안 폐기의 여파까지 덮치며 소비 심리는 더욱 크게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소상공인을 비롯한 각계의 불안과 불만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통령의 계엄은 155분여 만에 끝났지만, 이로 인한 피해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의 조속한 사태 해결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댓글7

300

댓글7

  • 어그로만 신나게 떠들고 있네... 월급이 줄었다고? 만명에 한명이라도 될까?ㅍㅎㅎㅎ 투자라고는하지만 도박같은 주식에 몸담은 애들이 당한거고... 그러나 외화벌이하는 사업가들은 야호를 외쳤을것이다.... 그래서 세상은 그대로인것이다...말장난좀 그만하자!!!

  • 안화영

    다시 안정되면 반대급부가 될수 있어요 금리는 항상 변하는 증에 어떤이는 기회로 이떤이는 실망으로 나타나는데 발전성은 오르락내리락하면서 나아가는것이지요 하지만 어떠한 선택이든지 결과론적으로는 전적으로 선택자의 책임입니다 즉

  • 협치를 모르는 민주당이 민생을 전라도보면 답나옴 기업들이 가장 가기 싫어하는동네 전라인민공화국 ㅎㅎ

  • 서로 자기들 이익만 생각하는 거지요

  • 서로 자기 이익만 생각하는 거지요

[국제] 랭킹 뉴스

  • “3선 할 방법 있다” 농담 아니라는 트럼프의 '충격 시나리오’
  • "한국보다 매출 높아" 중국에서 난리 났다는 한국 과자 업체
  •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추천 뉴스

  • 1
    "이재명이 승리할 가능성은..."해외 매체가 분석한 윤석열 탄핵 확률

    뉴스 

  • 2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 3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 4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5
    "5월 2일 임시공휴일 확정?" 만우절 가짜뉴스 피해주의보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사건사고 

  • 2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에 외교부가 내린 결단

    뉴스 

  • 3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국제 

  • 4
    "제주도 갈 바엔 일본" 바가지 논란 터지자 작심 발언한 제주도지사

    뉴스 

  • 5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국제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