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최악의 위기 맞았다던 삼성전자의 현금 곳간, 1년간 무려…

한하율 기자 조회수  

삼성전자 누적 잉여현금흐름
1년 사이 21조 원 이상 늘어
기업의 자금 사정·배당 능력 가늠

최악의 위기 맞았다던 삼성전자의 현금 곳간, 1년간 무려...
출처 : SBS

최근 국내 500대 기업 중 상장사의 올 3분기 누적 잉여현금흐름(FCF)이 전년 대비 약 42조 원 증가하며 플러스 전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삼성전자, 한국전력공사, SK하이닉스 등 3사의 잉여현금흐름이 많이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이 중 삼성전자는 3분기 누적 잉여현금흐름이 전년 대비 21조 원 이상 늘어나며 증가액 1위 자리를 차지했다.

4일 기업 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내 상장사 중 최근 3개년을 비교할 수 있는 261개 기업의 3분기 개별 기준 잉여현금흐름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올 3분기 누적 잉여현금흐름 총액은 39조 4,335억 원으로 나타났다.

최악의 위기 맞았다던 삼성전자의 현금 곳간, 1년간 무려...
출처 : CEO 스코어

이는 전년 동기(-2조 3,114억 원) 대비 41조 7,449억 원 증가한 수준이다. 여기서 잉여현금흐름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에서 자본적지출(CAPEX)을 뺀 수치를 말한다. 즉, 기업의 실제 자금 사정이 얼마나 양호한지를 알려주고 연말 배당 여력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를 뜻한다.

자본적지출은 미래의 이윤 창출, 가치 취득을 위해 지출된 투자 과정에서의 비용으로, 이 수치가 줄면 기업들이 투자를 줄였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261개 기업의 올 3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총액은 123조 462억 원으로 전년 동기(81조 7,347억 원) 대비 50.5%(41조 3,116억 원)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반해 자본적지출은 83조 6,127억 원으로 전년 동기(84조 461억 원)와 비교해 0.5%(4,334억 원) 하락했다.

최악의 위기 맞았다던 삼성전자의 현금 곳간, 1년간 무려...
출처 : 뉴스 1

조사에 참여한 261개 기업 중 올 3분기 잉여현금흐름이 늘어난 기업은 119곳, 감소한 기업은 142곳으로 집계됐다. 특히 늘어난 기업 중 삼성전자, 한국전력공사, SK하이닉스, 한화생명보험, HMM, 삼성화재 등 38곳은 3분기 플러스로 돌아섰다.

이어 감소한 기업 중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SDI, 롯데손해보험,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제철 등 48곳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또한, 올해 3분기 잉여현금흐름 증가액 ‘톱3’는 21조 2,246억 원이 증가한 삼성전자, 15조 1,292억 원이 증가한 한국전력공사, 10조 3,177억 원이 증가한 SK하이닉스다.

3개 사의 올 3분기 잉여현금흐름 증가액은 46조 6,715억 원으로, 올 3분기 500대 기업 전체 잉여현금흐름 증가액(41조 7,449억 원)보다 큰 수준이다. 즉, 3개 기업을 뺀 나머지 500대 기업의 잉여현금흐름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출처 : 뉴스 1

삼성전자의 경우 올 3분기 잉여현금흐름이 13조 3,460억 원으로 전년 동기(-7조 8,785억 원)에서 플러스 전환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으로 삼성전자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41조 1,828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7조 5,031억 원) 대비 49.7%(13조 6,797억 원) 늘고, 자본적지출은 27조 8,368억 원으로 전년 동기(35조 3,816억 원) 대비 21.3%(7조 5,449억 원) 감소했다.

잉여현금흐름이 많이 증가한 3사의 뒤를 이어 삼성생명이 5조 2,845억 원 증가, 한화생명이 3조 8,970억 원 증가, HMM이 2조 9,586억 원 증가, 삼성화재가 2조 6,741억 원 증가, 삼성증권이 1조 7,199억 원 증가, 현대차증권이 1조 6,414억 원 증가, HD 현대중공업이 1조 4,593억 원 증가해 증가액 상위 10위 기업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최근 국내외 안팎으로 위기론이 대두됐던 삼성전자는 밤사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 선포로 인해 악재가 겹쳤다는 시각이 제기됐다. 다만,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처음으로 열린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가 약세를 보이며 우려됐던 폭락의 상황은 벌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출처 : 뉴스 1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코스피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0.93% 하락한 5만 3,100원에 거래됐다. 삼성전자가 2.99%로 하락 출발한 것과 달리 장중 하락 폭을 줄여나간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여파로 증권가에서는 비상계엄 사태가 증시의 변동 폭을 키울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대해 한 증권 연구원은 비상계엄이 하룻밤 사이에 해프닝으로 마무리되는 양상이나 외국인 투자자들 입장에서 단기적으로 정치 불확실성을 회피하기 위한 자금 이탈 압력이 잔존한다”라고 밝혔다.

댓글1

300

댓글1

  • 이러니 시장에서 같이 떡볶이&어묵 먹지 감세 좋지 좋아

[국제] 랭킹 뉴스

  • “3선 할 방법 있다” 농담 아니라는 트럼프의 '충격 시나리오’
  • "한국보다 매출 높아" 중국에서 난리 났다는 한국 과자 업체
  •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추천 뉴스

  • 1
    '3,000만 명 국민 앱' 만들었던 청년, 근황 전했습니다

    오피니언 

  • 2
    "10억 올라"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가 매입한 46억 건물, 어디길래...

    뉴스 

  • 3
    "이재명이 승리할 가능성은..."해외 매체가 분석한 윤석열 탄핵 확률

    뉴스 

  • 4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5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 2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 3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4
    "5월 2일 임시공휴일 확정?" 만우절 가짜뉴스 피해주의보

    뉴스 

  • 5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사건사고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