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사상 최대 규모” 인도 증시 상장했다는 국내 기업, 이곳이었다

조용현 기자 조회수  

현대차 인도법인 상장
해외 자회사의 첫 상장
정의선 회장 직접 타종

“사상 최대 규모” 인도 증시 상장했다는 국내 기업, 이곳이었다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현지 시각으로 지난 22일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이 인도 증권시장에 사상 최대 규모로 신규 상장했다. 이는 현대차 해외 자회사의 첫 상장이며, 완성차 기업으로는 인도 증시 사상 두 번째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이번 상장을 통해 약 4조 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해 인도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1위 자동차 기업을 발돋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날 현대차는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인도법인 현지 증시 상장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현대차 인도법인 상장 기념식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장재훈 현대차 사장, 김언수 인도아중동대권역 부사장, 타룬 가르그 인도권역 최고운영책임자(COO) 등 250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촛불 점화로 시작된 기념식에서 정의선 회장은 증시 상장을 알리는 의미로 직접 타종에 나서며 주목받기도 했다.

“사상 최대 규모” 인도 증시 상장했다는 국내 기업, 이곳이었다
출처 : 뉴스 1

정의선 회장은 인도법인의 상장에 대해 “현대차 인도법인은 인도 진출 이후 인도의 일부가 됐다”며 “인도가 곧 미래이므로 투자를 늘리고, 연구개발(R&D) 역량을 확장해 25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현대차 인도법인은 이사회를 통해 신중하고 투명하게 시의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것이며 현지화에 대한 헌신도 지속하겠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현대차가 가진 인도법인 지분 17.5%(1억 4,219만 4,700주)를 인도 주식 시장에 공개 매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기업공개(IPO)는 흥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공모가는 희망 가격 최상단인 1,960루피(약 3만 2,000원)로 책정됐으며 청약에선 기관투자자들의 관심에 힘입어 공모 주식 수의 2.39배에 달하는 예약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사상 최대 규모” 인도 증시 상장했다는 국내 기업, 이곳이었다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역대급 흥행을 기록한 현대차 인도법인의 전체 공모 금액은 33억 달러(약 4조 5,000억 원)를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현대차는 IPO 이후 인도법인의 투명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전했다.

여기에 IPO를 통해 조달한 금액을 통해 인도 기술연구소와 남양연구소 간 협력을 강화하며 신제품과 미래 첨단 기술, R&D 역량에 적극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덧붙여 크레타 EV 등 전기차 출시와 함께 배터리 시스템과 구동계 등 전기차 공급망을 현지화하고 인프라 구축에도 나설 계획이다.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또한, 현대차는 사회공헌 활동도 늘리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난 1996년 인도에 진출한 현대차가 고객과 임직원, 협력사 등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온 것에 따른 행보다. 특히 지난해 11월 현대차 인도법인은 ‘현대 사마르스’ 캠페인을 시작한 바 있다.

해당 캠페인의 일환으로 인도의 장애인 스포츠 선수를 지원했고, 현대차의 서비스 센터 등에 장애인 고객이 방문할 수 있도록 매장 개선 작업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더불어 현대차는 인도권역 사회책임 재단인 HMF(Hyundai Motor India Foundation)를 통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이어간다고 밝혔다.

이는 지역사회 쓰레기를 바이오가스와 전기로 바꿔 기부하는 자원 선 순환형 사업을 진행 중이며, 현대차 공장이 위치한 첸나이에 폐쇄회로(CC)TV 설치 등 시스템을 구축하는 활동이다.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한편, 현대차 인도법인은 상장 직후 1,931루피 수준으로 거래를 시작했다. 다만, 이후 하락세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한때 1,848.65루피 수준으로 떨어졌으나 이후 낙폭을 일부 만회해 한국시간으로 오후 2시 기준 4.85% 하락한 1,865루피 수준에서 거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996년 현대차는 인도 시장 성장 잠재력을 감안해 인도법인을 설립했다.

이어 남부 타밀나두주 첸나이에 완성차 조립 1공장을 건립해 1998년 본격 가동에 들어갔으며, 첫 생산 모델 상트로로 인도 시장에 첫발을 내디딘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차 인도법인은 인도증시에 상장된 자동차 업체 중 4위를 기록해 첫 신호탄을 성공적으로 날렸다. 이에 향후 인도 증시에서 현대차 인도법인이 선보일 활약이 기대된다.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3선 할 방법 있다” 농담 아니라는 트럼프의 '충격 시나리오’
  • "한국보다 매출 높아" 중국에서 난리 났다는 한국 과자 업체
  •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추천 뉴스

  • 1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 2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3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사건사고 

  • 4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 5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국제 

지금 뜨는 뉴스

  • 1
    "비호감도 높은데..." 대선 출마 자격 얻었다는 이준석, 현재 상황

    오피니언 

  • 2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국제 

  • 3
    “너 내 여자친구 할래” 장제원과 단둘이 만난 날, 피해자는 무너졌다

    사건사고 

  • 4
    “정신 못 차렸네” 13조 혈세 투입된 신공항 사업, 충격입니다

    오피니언 

  • 5
    "사기와 다를 바 없다" 국민연금 공개 저격한 이준석 발언

    오피니언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