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한하율 기자 조회수  

흑백요리사 시청 1위 기록 
넷플릭스 회장, 해리스 지지
트럼프 지지자 집단 해지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variety

최근 넷플릭스의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이하 ‘흑백요리사’)이 한국을 비롯해 해외에서도 큰 사랑을 받으며 남다른 화제성을 이어가는 가운데 오히려 넷플릭스의 구독 취소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이목이 쏠렸다.

이는 넷플릭스 공동 창립자이자 수장인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이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공개 지지하고 거액을 기부한 데 따른 현상이다. 30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최근 미국의 넷플릭스 구독 해지율이 증가했다.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지난 7월 넷플릭스 구독 해지율은 2.8%로 올해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보였다. 이에 대해 업계는 최근 넷플릭스가 광고 없는 요금제 가운데 가장 저렴했던 베이식 요금제 서비스를 중단한 것이 주요한 원인이라면서도,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이 해리스 후보자 지지 선언 이후 5일간 해지율이 이례적으로 치솟은 점을 지적했다.

앞서 지난 7월 22일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카멀라 해리스 후보에게 축하를 보낸다”라며 “이제는 승리할 때다”라는 글을 게재하며 공개적으로 지지의 뜻을 표명했다.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뉴스1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이 글을 올리고 하루 뒤 IT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이 카멀라 해리스 슈퍼팩(특별 정치활동위원회)에 700만 달러(한화 약 92억 원)를 기부했다고 보도하면서 더욱 화제 됐다.

이후 공화당 대통령 후보이자 미국 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의 지지자들은 넷플릭스 이용 중단을 촉구하는 운동을 벌이는 등 대대적인 반발을 보였다. 실제 일부는 ‘#캔슬넷플릭스(#CancelNetflix)’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구독 해지를 인증하는 사진을 SNS에 게재하기도 했다.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뉴스1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리드 헤이스팅스의 카멀라 해리스 후보에 대한 정치 기부 관련 보도가 나오고 3일 뒤인 지난 7월 26일이 올해 들어 넷플릭스 취소 건수가 가장 많았던 날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블룸버그는 넷플릭스 최고 경영진인 리드 헤이스팅스 회장의 정치적 입장이 회사 영업에 미친 영향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는 오는 10월 중순 예정된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올해 2분기 넷플릭스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 7월 18일(현지 시각) 넷플릭스는 2분기 매출이 95억 6,000만 달러(약 13조 2,500억 원)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규모다.

"흑백요리사로 잘되는 줄 알았더니..." 넷플릭스 본사가 난리 난 이유
출처: 뉴스1

또한 2분기 기준 총가입자 수는 2억 7,765만 명으로, 스트리트어카운트 예상치인 2억 7,440만 명을 넘어서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한 수치다.

한편, 최근 넷플릭스 제작프로그램인 ‘흑백요리사’는 지난달(9월) 23∼29일 490만 시청 수를 기록했다. 이는 비영어권 TV 시리즈 시청 수(Views·시청 시간을 재생 시간으로 나눈 값)에 해당하는 것이며, 한 주 전에도 380만으로 1위였다.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3선 할 방법 있다” 농담 아니라는 트럼프의 '충격 시나리오’
  • "한국보다 매출 높아" 중국에서 난리 났다는 한국 과자 업체
  •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추천 뉴스

  • 1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 2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3
    "떠넘기려는 듯" NC다이노스 공문 받은 창원시에서 보인 반응

    사건사고 

  • 4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 5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국제 

지금 뜨는 뉴스

  • 1
    "비호감도 높은데..." 대선 출마 자격 얻었다는 이준석, 현재 상황

    오피니언 

  • 2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국제 

  • 3
    “너 내 여자친구 할래” 장제원과 단둘이 만난 날, 피해자는 무너졌다

    사건사고 

  • 4
    “정신 못 차렸네” 13조 혈세 투입된 신공항 사업, 충격입니다

    오피니언 

  • 5
    "사기와 다를 바 없다" 국민연금 공개 저격한 이준석 발언

    오피니언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