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비상등이 천장에..? 어딘가 이상한 수입차의 비상등, 다 이유 있었다

서윤지 기자 조회수  

수입차의 비상등 버튼
누르기 어려운 위치
소비자 불만 이어졌다

비상등

비상등 사용할 일이 유독 많은 우리나라. 우리는 해당 버튼을 사고나 급제동 등 비상 상황은 물론이며 길가에 잠시 정차했을 때, 주차할 때, 양보 받거나 본의 아니게 피해를 끼쳤을 때 등 의사소통의 용도로도 다양하게 사용한다.

그래서 국산차는 방향지시등 버튼이 누르기 쉬운 위치에 큼지막하게 배치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수입차들의 경우 방향지시등 버튼 위치가 사용하기 불편한 곳에 있으며 차종에 따라선 사용 자체가 불편하다는 의견도 종종 나온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실내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 실내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조수석에 더 가까운 비상등

한국지엠이 파격적인 가성비를 앞세워 출시한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출시 4일 만에 사전 계약 1만 대를 돌파하는 등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런데 일부 소비자들은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비상등 버튼이 운전석보다 조수석 쪽에 가깝게 달려 있어 어색하다는 반응을 보인다. 주행 중 이를 켜려면 몸을 우측으로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메르세데스 벤츠 E 클래스와 푸조 5008 역시 비슷한 모습이다. E 클래스의 경우 센터패시아 가장 오른쪽에 비상등 버튼이 자리 잡고 있으며 5008은 피아노 건반 형태의 토글스위치 7개 중 우측 끝에 해당 버튼이 달려 있다.

푸조 5008 실내
비상등
테슬라 모델 Y 실내

테슬라 모델 Y는 천장에
비상등 위치 관련 규정 미비

물리 버튼을 최소한으로 줄인 테슬라 모델 Y의 경우 비상등 버튼이 천장에 배치되어 있다. 이를 켜려면 실내등을 제어하는 오버헤드 콘솔 쪽으로 손을 뻗어야 한다. 금방 익숙해져서 불편하지 않다는 차주들이 있는가 하면 따로 개조 작업을 거쳐 스티어링 휠에 버튼을 다는 차주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국내법은 차량 비상등 버튼의 장착 위치를 별도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비상 점멸 표시등은 모든 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점멸할 수 있도록 독립된 조작 장치에 의해 작동될 것’, ‘수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라는 내용뿐이다.

비상등
비상등

심미적 이유로 옮기는 추세
비상시 사용에 불편 없어야

따라서 비상등 버튼의 위치 및 크기, 형태 모두 상관없이 존재하기만 하면 되지만 운전석과 조수석 정중앙에 다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러 요즘 출시되는 신차들은 심미적인 이유로 해당 버튼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추세인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업계에서는 해외의 경우 심각한 비상 상황에서만 해당 버튼을 사용하는 만큼 굳이 쉽게 닿는 위치에 둘 필요가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비상 상황에서 혼동 없이 신속하게 켤 수 있어야 하는 만큼 버튼 크기를 키우고 눈에 띄는 곳에 배치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3선 할 방법 있다” 농담 아니라는 트럼프의 '충격 시나리오’
  • "한국보다 매출 높아" 중국에서 난리 났다는 한국 과자 업체
  • "7년 뒤 1,247억 달러" 유통 대기업이 테마파크 눈독 들이는 이유
  •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 "모욕이라고 느낀다" 챗지피티 고소하겠다는 '스튜디오 지브리'
  • "윤석열 비상계엄" 환율 방어에 112억 달러 썼다는 정부

추천 뉴스

  • 1
    "10억 올라"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가 매입한 46억 건물, 어디길래...

    뉴스 

  • 2
    "이재명이 승리할 가능성은..."해외 매체가 분석한 윤석열 탄핵 확률

    뉴스 

  • 3
    "광고 경쟁력까지"...OTT 때문에 점점 몰락해간다는 방송업계 상황

    오피니언 

  • 4
    '사기' 혐의로 고소당한 홈플러스, 결국 이렇게 됐습니다

    뉴스 

  • 5
    “긴급히 뵙자” 세 번이나 요청한 이재명, 한덕수가 침묵한 이유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손이 덜덜 떨린다” 공매도 폭격에 나락간 한국 증시 상황

    오피니언 

  • 2
    "수출액 2조 5,000억 원" 프랑스 제치고 세계 1위 차지한 국산 업계, 어디일까?

    국제 

  • 3
    "5월 2일 임시공휴일 확정?" 만우절 가짜뉴스 피해주의보

    뉴스 

  • 4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에 외교부가 내린 결단

    뉴스 

  • 5
    “결국 터졌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 신청

    오피니언 

공유하기

18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