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응급실 뺑뺑이’ 우려에 정부가 의료계에 내세운 조건, 바로...지난해 9월 추석 연휴 기간 일부 환자들이 '응급실 뺑뺑이' 사태를 겪으며 의료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시민들 사이에 번진 가운데 설 연휴가 열흘 앞으로 다가오자, 정부가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서 응급실 이용하는데…진료비 부담금 70% 올린다고요?”6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는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으로 의료 공백 사태가 불가피해진 가운데 최근 경증 환자의 응급실 쏠림과 코로나19 재확산의 여파로 일부 지역 응급실 운영이 중단되는 등의 일이 발생해 보건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의료소송은..." 전공의 이탈 6개월에 응급의학회 이사장이 한 '소신 발언'최근 의료진 부족 등을 이유로 응급실 이송이 지연되는 등의 응급상황이 증가한 가운데 대한응급의학회 김인병 이사장이 한 소신 발언에 이목이 쏠리는 상황이다. 김인병 이사장은 인터뷰를 통해 “한시적으로 의료 소송 면제와 같은 특단의 대책이 당장 나와야 한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의정갈등 5개월차'…위기 직면한 대학병원 수익 처참했다전공의들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하여 집단 사직을 제출한 이후 5개월이 흘렀다. 이후 의사협회와 정부의 갈등으로 상황이 변화하면서 실질적으로 대학병원이 입은 피해액이 하루 10억 원 수준으로 집계되어서 화제다.
"의외네" 세브란스 병원의 무기한 휴진 첫날...현장 분위기는 달랐다세브란스 병원 교수들이 예고했던 대로 지난 27일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다음 달 4일, 휴진을 강행하겠다고 밝히며 의정 갈등의 여파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의사 파업 때문에 암수술도 미뤘는데…이젠 이런 문자까지 오네요"최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결정하고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8일 집단휴진’을 예고한 이후 환자단체가 연일 “환자 생명을 존중해 달라”고 절규하고 있지만 집단휴진의 움직임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