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용산 대통령실 폐쇄론이 정치권에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국민의힘 대권주자들까지 ‘용산 불가’ 입장을 내놓으며, 차기 대통령의 ‘청와대 복귀’ 또는 ‘세종 이전’ 가능성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15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대통령실은 사실상 ‘셧다운’ 상태다. 행정 요원과 별정직 공무원들이 속속 원대 복귀하고 있으며, 출입 기자 수도 눈에 띄게 줄었다. 주요 기능이 정지된 상황에서 정치권 전반에서도 “이제는 용산을 접어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주당 대권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내란의 본산인 용산을 단 하루도 쓰지 않겠다”며 여야가 대통령실 이전을 공동 약속하자고 제안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하루빨리 내란의 상징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전 대표 역시 대선 당시부터 ‘세종 대통령실’ 공약을 내세우며 용산에 부정적인 입장을 유지해 왔다.

용산 이전에 1조 원 가까운 세금이 투입됐다는 논란도 폐쇄론에 불을 붙이고 있다. 특히 민주당 측은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500억 원 추정 비용 외에도 영빈관 신축, 합참 이전 등으로 인해 실질적 총비용은 1조 원에 육박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 사이에서도 ‘청와대 복귀론’이 힘을 받고 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용산은 불통과 주술의 상징”이라며 “국격을 위해서라도 청와대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의원도 “청와대를 일부 개방하고, 백악관 식 모델을 도입하면 된다”고 제안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주요 주자들이 용산 대통령실과 거리를 두는 만큼, 차기 정부 출범과 동시에 대통령 집무실 재이전은 기정사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