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법정에 선 가운데, 14일 열린 첫 공판에서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파워포인트(PPT) 자료를 띄워놓고 검찰의 공소사실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이걸 내란이라니, 법리에 맞지 않는다”며 날을 세웠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1차 공판을 진행했다. 직접 법정에 나온 윤 전 대통령은 “검찰 공소장 내용은 사실 왜곡과 법리 오해가 심각하다”며 피고인 신분으로 장시간 진술했다.
윤 전 대통령은 “불과 몇 시간 만에 국회의 해제 요구를 수용했는데, 그걸 내란이라고 규정한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군·경 간부들의 진술도 검찰 유도에 따른 것이며 실체적 진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특히 검찰이 내란 모의 장소로 지목한 삼청동 안가 회동에 대해선 “방첩사 역량 강화를 논의한 자리였을 뿐”이라며, 당시 문재인 정부의 방산 정보 보안 부실을 언급하며 정치적 공세라고 반박했다.
계엄 실행을 위한 인사조치라는 지적에는 “김용현 전 장관을 임명한 이유는 안보 전문가 필요 때문”이라며 “국가 기밀에 대해선 더 이상 말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내란 모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문상호 전 정보 사령관 유임과 관련해서도 “군 내 위계질서를 고려한 인사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우리가 논의한 건 평화적 계엄 메시지였으며, 군정을 전제로 한 게 아니라는 건 계엄 진행 경과만 봐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내란 혐의 첫 재판부터 강하게 반발하며 정면 대응에 나선 윤 전 대통령. 향후 증인 신문과 법정 공방에서 어떤 입장과 전략을 펼칠지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