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8일 밤 28분간 전화 통화를 갖고, 한미 양국 간 경제·안보 협력 현안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양측 정상급 직통 소통은 이번이 처음으로, 미국의 고율 상호관세 발효를 불과 16시간 앞둔 시점이었다.
국무총리실에 따르면, 한 권한대행은 이날 오후 9시 3분부터 31분까지 진행된 통화에서 △한미 동맹 강화 △무역균형을 포함한 경제 협력 △북핵 문제 등 주요 사안에 대한 협력 의지를 전달했다. 특히 조선업, 액화천연가스(LNG) 거래, 무역 불균형 분야에서 미국과의 고차원 협력 방안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총리실은 “무역균형 관련 논의에서 양국은 상호 윈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장관급 차원의 실무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라고 밝혔으나, 구체적으로 관세 부과 문제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통화 직후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통화 내용을 직접 언급했다. 그는 “한국의 대통령 권한대행(한덕수)과 훌륭한 통화를 했다”라며 “조선, 미국산 LNG의 대량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공동사업, 군사 방위비 분담 문제 등을 논의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와 군사비 부담 문제를 강조했다. 그는 “내 첫 임기 때 한국은 수십억 달러를 방위비로 지급하기 시작했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가 이 합의를 종료했다”라며 “지금은 양국 모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새 협상 가능성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의 협상팀이 미국으로 향하고 있다. 매우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동맹국에 대한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강하게 요구해 온 바 있으며, 이번 통화 역시 향후 양국 협상 재개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통화는 미국이 57개국을 대상으로 25% 고율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결정을 앞두고 이뤄진 것으로, 한국 역시 주요 대상국 중 하나로 포함돼 있어, 향후 실무 협상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