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나도 했는데”… 지브리 프사 저작권 침해될 수도 있다고요?

박신영 기자 조회수  

지브리 프사 열풍
챗GPT 이용 역대 최다
저작권 침해 문제 가능성 있어

챗GPT 생성 이미지/ = 백진희
챗GPT 생성 이미지/ = 백진희

최근 사람들 사이에서 지브리 프사 열풍이 불면서 챗GPT 이용이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각에서는 ‘AI 지브리풍 이미지’가 저작권에 침해된다고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AI 지브리풍 이미지’가 큰 인기를 끌면서 챗GPT의 일간 이용자 수(DAU)가 처음으로 120만 명대를 넘어섰다.

1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는 125만 2,925명으로 확인됐으며, 이는 역대 최대 수치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앞서 지난달 10일 챗GPT DAU는 103만 3,733명으로 집계되며 첫 100만 명대를 달성한 바 있다. 이에 이번 이용자 수 기록은 약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한 것이다. 지난달 1일까지만 해도 챗GPT DAU는 79만 9,571명에 그치는 수치를 보였다.

이에 업계에서는 이용자 급증과 관련해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이 모델이 공개된 이후 전 세계 챗GPT 이용자들이 디즈니, 심슨 가족 등 인기 애니메이션 화풍의 이미지를 생성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하면서 돌풍이 분 것이다.

출처 : 지브리 하울의 움직이는 성
출처 : 지브리 하울의 움직이는 성

가장 인기를 보인 화풍 중 하나는 ‘하울의 움직이는 성’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같은 일본 애니메이션의 대표적인 제작사인 스튜디오 지브리 화풍으로 전해진다.

챗GPT-4 이미지 생성 모델이 공개된 후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자신의 X(구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변경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것에 반해 일각에서는 이와 관련해 저작권 침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AP 통신에 따르면 미국 뉴욕 소재 로펌 프라이어 캐시맨에서 근무하는 조시 와이겐스버그 변호사는 “오픈AI의 AI 모델이 스튜디오 지브리나 미야자키 감독의 작품으로 훈련을 받았는지에 따라서 문제가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라고 전했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이어 그는“훈련을 시킬 수 있도록 라이선스나 승인을 받았는지 문제가 제기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즉, AI가 지브리의 허락 없이 그림을 학습했을 경우 향후 저작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그림의 스타일 자체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지만 그런데도 완전히 문제가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일각에서는 법적인 문제는 없더라도 미야자키 감독과 지브리 애니메이터들의 작품 양식을 모방한다는 것을 두고 ‘예술에 대한 모욕’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AI에 부정적이었던 미야자키 감독은 지난 2016년 이미 AI 이미지 생성과 관련해 “삶 자체에 대한 모욕이라고 강하게 느낀다”며, “이 기술을 내 작업에 절대 사용하고 싶지 않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한편, 챗GPT의 지브리 스타일 AI(인공지능) 이미지 생성이 이용자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최고경영자)가 “제발 이미지 생성 좀 자제해 달라”라고 요청했다.

30일 올트먼 CEO는 30일(이하 현지 시각) 자신의 X(엑스, 옛 트위터)에 “수요가 말도 안 될 정도로 많다. 우리 팀은 좀 자야 한다”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 27일에도 올트먼 CEO는 X에 “사람들이 우리의 새로운 챗GPT 이미지를 활용해 만들어 낸 이미지를 보는 것을 좋아한다”면서도 “이 때문에 우리의 GPU(그래픽처리장치)는 녹아내리고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author-img
박신영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100배 수익’에도 슈퍼카 15대 처분... 김준수가 밝힌 속사정
  • 신동빈 한 마디에 구조조정 돌입한 롯데 계열사, 바로...
  • 판자촌 소년가장에서 경제부총리까지...'흙수저' 성공 신화, 누구?
  • “1년치 쟁였다” 미국인들이 사재기하는 '이것' 뭔지 봤더니...
  • 집 박차고 나온 무한궤도 출신 재벌 2세가 설립한 재단
  • 세상 떠난 가족 휴대폰 볼 수 있나... 디지털 유산 접근 법안 발의됐다

추천 뉴스

  • 1
    "제2의 성심당 되나" SNS에서 난리 난 빵집, 매출만 무려...

    기획특집 

  • 2
    비트코인 1억 넘자… ‘워뇨띠’는 하루 만에 85억 벌었다

    기획특집 

  • 3
    “전세 보증금 반환도 안 해주는데”… 전세 대신 인기라는 상품

    오피니언 

  • 4
    "제복 벗고 '이것 준비 중'... 줄줄이 떠나는 젊은 경찰들, 왜?"

    기획특집 

  • 5
    “1년치 쟁였다” 미국인들이 사재기하는 '이것' 뭔지 봤더니...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부촌 명성은 어디 안 가네” 현금 부자들 다 몰렸다는 ‘노른자 땅’

    오피니언 

  • 2
    "매출 1조원 찍어" 요즘 MZ들이 엄청나게 간다는 '이 곳', 어디일까?

    기획특집 

  • 3
    "영혼까지 끌어모았는데..." 집값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지역, 어디일까?

    오피니언 

  • 4
    "지난해 2000억" 광고비 가장 많이 쓴 은행 봤더니...

    기획특집 

  • 5
    집 박차고 나온 무한궤도 출신 재벌 2세가 설립한 재단

    뉴스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