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외교부가 심우정 검찰총장 딸 A 씨가 국립외교원과 외교부 직원으로 채용되는 과정에서 ‘특혜’가 있었다는 야당의 의혹 제기와 관련해 감사원 공익 감사를 청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검찰총장 자녀의 외교부 공무직 근로자 채용과 관련해 제기된 문제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구하기 위해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감사원 감사가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채용에 관한 결정은 유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앞서 더불어민주당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등이 재기한 검찰총장 자녀 채용 특혜 의혹에 대해 외교부가 본격적인 해명에 돌입한 것이다.
민주당에 따르면 현재 이들은 A 씨가 자격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데도 지난해 국립외교원 기간제 연구원에 채용돼 8개월간 근무했고, 올해는 외교부 연구원에 최종 합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앞서 외교부는 지난 1월 ‘경제 분야 석사 소지자’로 채용 공고를 냈다가 2월 ‘국제정치 석사 소지자’로 자격 요건을 변경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최종 면접까지 진행한 다른 응시자가 불합격 통보를 받은 이후 응시 요건이 변경됐고, 이를 통해 A 씨가 합격했다는 것이 민주당 측의 주장이다.

이에 반해 외교부 측은 “내부 규정과 법령, 지침에 따라 선발했다”라며 “제도 운영 과정에서 미흡했던 부분이 지적될 수는 있겠지만, 이를 특정 인물에 대한 특혜로 연결 짓는 것은 부당한 주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 측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비리 관련 진상조사단’을 공식 가동해 의혹을 철저히 규명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해당 의혹을 조사하는 조사단장은 의혹을 최초 제기한 4선 한정애 의원이 맡기로 했다.
이날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심 총장 자녀의 특혜 채용 비리 문제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진상을 파헤치고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당이 발족한 조사단은 심 총장 띨 특혜 채용 의혹과 함께 서민금융 대출 논란, ‘문과’ 심 총장 아들의 ‘이과’ 장학금 수령 특혜 의혹 등을 들여다볼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야권에서는 이날 외교부가 감사원 공익감사를 청구한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두고 있지 않은 행보를 보인다.
이는 앞서 민주당이 “감사원이 노골적으로 윤석열 정부 편에서 ‘정치 감사’를 하고 있다”라며 지난해 최재해 감사원장을 탄핵한 바 있기 때문이다. 외교부의 공익감사 청구는 감사원의 감사를 통해 야당이 제기한 의혹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로 추측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