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원가 상승과 환율 폭등 원인
아이스아메리카노는 유지
따뜻한 아메리카노 200원 인상

최근 기후 변화와 고환율의 영향으로 아라비카 원두 가격이 최고가를 기록하면서 저가 커피에서도 가격을 인상하는 움직임이 보인다. 지난달 컴포즈커피가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1,500원에서 1,800원으로 올렸고, 더벤티가 이달 초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1,800원에서 2,000원으로 200원 인상했다. 이에 3월 31일 커피 프랜차이즈 메가엠지씨(MGC)커피 또한 다음 달 21일부터 아메리카노를 포함한 주요 제품 가격을 200원에서 300원씩 올린다고 밝혔다.
메가MGC커피는 “지난 한 해 동안 원두 가격을 좌우하는 국제 생두 시세가 두 배로 오르고 환율 폭등까지 이어져 원가 압박이 심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가격 조정을 통해 본사는 상승한 원가의 일부분만 보전하고 가맹점주 수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메가MGC커피의 아메리카노 가격 조정은 브랜드 론칭 이후 1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다만, ‘아이스 아메리카노’의 경우, 용량이 경쟁사(20oz) 대비 약 20% 많은 24oz임에도 불구하고 2,000원으로 현재 가격을 동결했다고 메가MGC커피는 전했다.
이에 아메리카노(핫) 가격은 1,500원에서 1,700원으로, 할메가커피는 2,100원으로, 할메가미숫커피는 2,900원으로 각각 200원 인상된다. 대용량 메뉴인 메가리카노는 3,300원으로, 왕할메가커피는 3,200원으로 300원씩 오른다. 에스프레소 샷 추가는 1샷당 600원으로 100원 오른다.

컴포즈커피와 더벤티, 메가MGC커피가 차례로 가격 인상을 알리면서 결국 대부분 저가 커피 브랜드가 가격을 올렸으며, 아직 가격을 올리지 않은 나머지 업체들도 가격 인상에 동참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커피 가격의 인상 원인은 원두 가격의 상승에 있다.
3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 통계정보 국제 원료 가격 정보를 보면, 커피 전문점 등이 사용하는 아라비카 원두 가격은 이달 평균 톤(t)당 8,648.87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1.57% 상승했다. 미국 뉴욕 ICE 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월 13일에는 t당 9,675.99달러로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이러한 원두 가격 폭등에는 이상 기후로 인한 원두 생산량 감소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커피 업계 관계자는 “주요 커피 생산지인 브라질, 베트남 등의 이상 기후로 인한 생산량 감소는 지속적인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라며 “국제 유가 상승, 물류비 인상. 고환율 등도 수입가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커피값은 조만간 최대 25%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아직 가격 인상을 하지 않은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더본코리아의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빽다방도 커피값 인상 대열에 합류할지 주목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빽다방은 현재로서는 가격 인상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빽다방은 올 상반기 중 일반 원두 대비 비싼 ‘스페셜티 원두’의 블렌딩 비율을 두 배 늘리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때문에 비싼 원두의 함량까지 높이는 데다가 이미 원두 가격 상승으로 원재료 가격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추후 가격 조정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견해다.
실제 커피 업체들은 올 들어 잇따라 가격을 올리고 있다. 투썸플레이스는 대표 제품인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 등 케이크와 커피, 음료 등 58종을 대상으로 지난 26일부터 평균 4.9% 인상했다. 이보다 앞서 스타벅스는 지난 1월부터 일부 커피 가격을 200∼300원 올렸고, 폴바셋·할리스커피도 일부 음료를 200~400원 인상했다. 인스턴트 커피 브랜드인 네스프레소 또한 캡슐 커피값을 11.8% 상승시켰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