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24시간 안 합니다” 새벽에 문 닫는 편의점이 늘고 있는 이유

윤미진 기자 조회수  

10곳 중 2곳 24시간 미운영
인건비 부담 및 전기요금 인상
24시 영업 강요한 이마트24 과징금

출처 : BGF 리테일
출처 : BGF 리테일

편의점은 일반적으로 24시간 영업하는 업종 중 하나로 인식됐다. 그러나 이러한 말은 옛말이 될 수도 있다. 편의점 점포 수는 5만 개가 넘을 정도로 증가하는 추세지만, 최근 심야 시간까지 운영하지 않는 편의점이 늘었기 때문이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편의점 GS25의 24시간 미운영 점포는 전체 점포 중 23.6%를 차지했다. 24시간 영업을 하지 않는 점포 비중은 2019년 15.0%에서 2020년 16.7%, 2021년 19.1%, 2022년 21.0%, 2023년 21.2%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4시간 미운영 점포 수 또한 2019년 2,038개에서 2023년 3,688개로 총 1,650개 늘어났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CU 역시도 24시간 미운영 점포가 지난해 17%로 전년보다 0.7%포인트 늘어났다. 세븐일레븐의 경우에는 2023년 19%에서 지난해 18.5%로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세븐일레븐 점포 수가 1만 3,130개에서 1만 2,152개로 7.4%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24시간 미운영 점포 수는 늘어난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24시간 미운영 점포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비용 문제가 크다. 최근 최저임금과 전기료 등의 인상으로 편의점을 심야 시간까지 운영해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지출되는 금액이 더 크기 때문이다. 특히 24시간 영업하는 편의점은 주휴수당, 야간근로수당 등을 지급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최저임금 인상에 큰 영향을 받는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여기에 최근 편의점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가맹점에 대한 전기요금 지원을 중단하면서 인상분은 고스란히 가맹점주의 부담이 됐다. 인건비와 임대료에 더해 전기요금까지 더해지면서 부담이 가중됐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아르바이트생(이하 알바)을 쓰지 않고 사장 본인이 가게를 경영하거나 무인화를 이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경기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 1월 도내 서비스 판매 종사자 수는 148만 5,000여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만 3,000여 명 줄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반대로 국내 편의점 빅4(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의 완전 무인점포와 하이브리드 점포 수는 지난해 기준 약 3,993곳으로 집계됐다. 특히, 편의점 빅4 모두 주야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완전 무인형보다는 24시간 운영이 어려운 편의점들이 대안으로 하이브리드 점포로 운영하는 비율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하이브리드 점포는 주간에는 유인으로 운영되며, 야간에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심야에 적자를 내는 편의점에 24시간 영업을 강요해 과징금을 부과받은 기업도 존재한다. 바로 24시간 운영 점포 비중이 약 20%로 가장 낮은 이마트24다. 이 같은 이유로 이마트24는 지난해 2월 1억 4,5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가맹사업법에 따르면 직전 3개월 동안 심야 영업 시간대에 적자를 내면 점주는 가맹본부에 영업시간 단축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마트24 측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서 문제가 됐다. 이마트는 과거 24시간 운영한다는 통념을 깨고 24시간 운영을 강요하지 않는 탄력적 시간 운영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왔던 편의점이었다.

이마트24는 이번 제재와 관련해 “공정위 판단을 존중하며, 동일한 사안이 재발하지 않도록 가맹점과의 소통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평일엔 금융인, 주말엔 가수로 활동했죠”, 제가 누구냐면...
  • 스포티파이가 세계 최대 스트리밍 서비스가 될 수 있었던 이유
  • 한화그룹 급식업체 인수에 재조명되는 ‘대기업의 횡포’, 이유가...
  •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징역" 민주당이 재판관 임명에 무리수 두는 이유
  • 올해 본격적으로 논의 중인 ‘노인 연령 상향‘, 효과는?
    올해 본격적으로 논의 중인 ‘노인 연령 상향‘, 어떤 효과 있을까?
  • "세 아들들에게..." 승계 작업 끝낸 한화 김승연, 지분 증여 구조 살펴보니

추천 뉴스

  • 1
    “인명 피해는...” 미안먀 강진에 외교부가 밝힌 한인 피해 상황

    국제 

  • 2
    "KT 계열사 아니냐구요?"…119년 역사의 공기업이었죠

    사건사고 

  • 3
    "형제간 갈등으로 탄생한 회사"...홀로서기 성공 비결 이거였다

    Uncategorized 

  • 4
    토허제 지정되자마자 '거래 급증'했다는 아파트 정체

    오피니언 

  • 5
    "정수기 설치 잘못해서..." 5년 동안 폐수 마신 여성, 결국….

    국제 

지금 뜨는 뉴스

  • 1
    KBO가 창원구장 구조물 추락 사고에도 경기 중단하지 않은 이유

    사건사고 

  • 2
    대학 등록금보다 비싸다는 강남 재수학원 수강료, 가격 보니...

    기획특집 

  • 3
    "총생산 4위지만 미분양 무덤이죠" 상황 심각하다는 지역

    오피니언 

  • 4
    "매우 유감" 트럼프 車 관세 폭탄에 일본이 받는 타격, 금액 보니..

    국제 

  • 5
    “실수였어요…” 의성 산불의 시작, 딸이 밝힌 ‘그날의 진실’

    사건사고 

adsupport@fastviewkorea.com